삶은 고통이어라_툴루즈 로트렉
상태바
삶은 고통이어라_툴루즈 로트렉
  • 보일 스님
  • 승인 2022.02.07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림 속에서 찾은 사성제 이야기
<세탁부(Rosa la Rouge)>

여기 한 남자가 있다. 홀로 앉은 남자가 재빠른 손놀림으로 무희들의 춤 동작을 잡아낸다. 그의 조그마한 손에 쥐어진 데생 목탄이 덩달아 같이 춤추는 듯하다. 이따금 독한 압생트 한 잔을 들이켜지만 눈은 여전히 무희들의 몸짓을 좇는다. 크고 반짝이는 그의 눈동자가 펼쳐지는 것들을 그대로 비추고 있다. 지금 그에게는 두 가지의 움직임만이 전부다. 그림을 그리거나 아니면 술잔을 들어 마시는 것. 밤새 술 마시고 그림 그리다 새벽녘이 되어서야 무도회장 밖을 나선다. 안개가 자욱하게 내려앉은 파리, 작은 키에 왜소한 체구의 남자는 지팡이를 짚고 몽마르트르 언덕의 새벽길을 뒤뚱거리며 힘겹게 오르고 있다. 이 남자의 본명은 ‘앙리 마리 레이몽 드 툴루즈-로트렉 몽파(Henri Marie Raymond de Toulouse-Lautrec Monfa, 1864~1901)’. 이름에서부터 귀족 느낌이 물씬 난다. 로트렉 스스로 매우 부담스러워했을 이름이다. 실제 명문 귀족이었지만 그의 부모는 사촌지간이었고, 로트렉은 근친혼의 결과물이었다. 그로 인해 로트렉에게 주어진 희소병 ‘농축 이골증’(현재는 로트렉 증후군이라고 함)이 가져온 병약함은 온전히 그의 몫이었다. 

로트렉은 어려서부터 자주 병마에 시달렸다. 특히 뼈가 쉽게 부서지곤 했는데, 14세에 낙상을 당해 허벅지 뼈가 성장을 멈췄다. 그래서 항상 사람들을 올려다보아야 했다. 당시 귀족 남자들이라면 당연하게 즐기던 승마나 사냥 같은 거친 운동은 애당초 그가 발을 디딜 수조차 없는 영역이었다. 

평생을 불편한 몸으로 지팡이 하나에 의지한 채 살아간 로트렉. 그러나 가문의 천형과도 같은 지병은 오히려 그의 예술적 감성을 날카롭게 일깨웠다. 훗날 그는 만약 다리가 조금만 더 길었더라면 그림 따위는 그리지 않았을 거라고 고백했다. 진심이었다. 다리에 문제가 없었다면 아마도 그는 화려한 연회장에서 귀부인들과 춤을 즐기고 낭만적인 연애에 빠져 살았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것은 그림 같은 꿈이었다. 

프랑스 귀족이라는 자부심과 선천적 장애에서 오는 열등감은 한데 엉켜 그를 더욱 깊은 절망 속으로 밀어 넣었다. 아버지에게서도 무시와 경멸을 받게 된 그는 결국 절망과 모멸감 속에서 쫓겨나듯 대저택을 빠져나와 몽마르트르 언덕으로 향한다. 로트렉에게 삶은 그 존재 자체로 고통이었다. 

그가 동그란 안경테 속에서 반짝이는 눈빛을 건네며 우리에게 말을 걸어온다. 예술은 어디에 있을까? 그림은 아름다워야 하는가? 그런데 어째서 삶은 이리도 비루한 걸까? 그런데도 과연 살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일까? 하고 말이다. 

 

물랑 루즈, ‘벨 에포크’의 추억

때는 1889년. 말도 많고 탈도 많던 그 유명한 에펠탑이 파리 한복판에 세워졌다. 만국박람회가 열렸던 해, 그 유명한 ‘물랑 루즈(Moulin Rouge)’라는 술집도 개업했다. 전쟁은 지나간 추억이 됐다. 경제는 잘 돌아갔고, 사람들에게는 활기찬 에너지가 흘러넘쳤다. 아름다운 시절, 말 그대로 ‘벨 에포크(Belle Epoque)’였다. 몽마르트르 언덕의 밤을 환하게 비추는 물랑 루즈는 새롭고 신기한 즐길 거리를 찾아 나선 사람들에게 매혹적인 장소였다. 예술가, 화가, 문인 등 새롭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곳, 새로운 에너지가 가득 찬 이곳. 로트렉 역시 물랑 루즈에 빠져들었다. 

당시의 물랑 루즈는 지금 상상하는 사교계 명사들이나 예술가들의 고급 살롱처럼 근사한 모습은 아니었다. 온갖 주정꾼과 부랑자, 건달들, 몸을 파는 여인들, 도박꾼들로 뒤섞인 난장판과도 같았다. 한마디로 다들 정상이 아니었다. 로트렉은 그 속에서 밑바닥 인생들의 다양한 군상을 관찰하고, 더 나아가 그들 무리 속 한 사람이 돼 그림을 그려나갔다. 그러다 보니, 그의 모델들은 피사체가 되는 것에 어떤 거부감이나 거리낌도 드러내지 않았다. 그들은 로트렉에게 일상의 내밀한 부분까지 가감 없이 내보였다. 로트렉이 그들을 작화 대상으로 대한 것이 아니라, 그들의 일부가 됐기에 가능했던 일이었을 것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