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를 품은 지리산] 지리산의 암자들
상태바
[불교를 품은 지리산] 지리산의 암자들
  • 이광이
  • 승인 2021.12.28 16: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에 사는 사람은 산이 집이요
우리나라의 일반적 탑과 다른 이색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한 삼층석탑이 있는 실상사 백장암. 실상산문이 이곳에서 시작됐다. 

지리산은 동으로 머리를 들고, 서로 꼬리를 내려 엎드린 거대한 황소 모양의 지형이다. 표피는 잿빛 초록이고, 육신은 사방팔방 비탈을 이루며 헤아릴 수 없는 겹겹의 주름 폭을 이루고 있다. 소의 등뼈를 따라 구불구불 끊어질 듯 이어지며 좁은 길이 나 있는 능선이, 사람들이 허허로울 때 걷는 종주 1백 리 길이다. 그리고 소의 육신, 산과 골과 곡을 감싸 안은 너른 품이 21개 구간, 7백 리에 이르는 둘레길이다. 이 길을 쫙 펴면 지리산에서 서울까지 가는 거리다. 지리산은 구례 하동 남사면을 ‘겉지리’, 남원 함양 산청의 북사면을 ‘속지리’라 한다. 겉지리는 양명(陽明)해 예로부터 절집이 많았고, 속지리는 해가 짧아 당집(巫堂)이 많았다고 한다. 

지리산 산사는 크게 4개 본사 권역으로 나뉜다. 남사면 서편에 화엄사, 동편에 쌍계사의 두 본사가 수많은 사찰과 암자를 거느리고 있고, 북사면은 동편이 벽송사, 대원사가 자리한 해인사 권역이고, 서편이 실상사가 있는 금산사 권역이다. 암자는 드러나지 않는 곳에 있다. 산길을 걷다 보면, 산모퉁이 너머 비탈이 치마폭처럼 휘어지는 안쪽에 비바람을 피할 작고 아늑한 공간이 있게 마련인데, 암자는 영락없이 그곳에 있다. 찻길이 끊기고 꽤나 걸어 들어가야 하는 암자가 진짜 암자이지만 노령화된 우리 불교 형편에 찾는 이가 드물어, 대개 가난하게 산다. 

스님 혼자 사는 암자에 갈 때는 무엇을 얻어 올 것인가보다는 무엇을 갖다줄 것인가를 생각해 쌀이나 마른 소채를 싸서 가지고 가면, 인법당에 불전 놓는 것보다 더 좋아한다. 우리는 그저 물처럼 청한 기운 하나 느낄 수 있다면 그보다 더한 회향이 어디 있을까 싶다. 오랜 세월 불교를 지탱하는 힘이, 오후 4시면 해가 넘어가는 깊은 암자에서 무욕의 삶을 사는 가난한 스님들 덕분이라고 필자는 믿는다.  

 

남사면 서편 암자들 

화엄사는 산내 암자들이 많다. 지장암, 금정암, 봉천암, 길상암, 미타암, 청계암, 연기암 등. 이런 암자들이 본사 좌우로 늘어서 있어 힘 안 들이고 두루 들러보면 좋다. 화엄사 뒤편에 삼층석탑과 기둥으로 쓰인 늙은 모과나무가 일품인 곳, 구층암이 있다. 암주가 덕제 스님이다. 화엄사 야생차를 총괄하는 스님이다. 화엄사와 쌍계사 일대가 우리나라 차의 시배지이니 꼭 들러 차를 한잔 얻어 마시고 가야 한다. 어느 해 차 박람회 때 부스를 차리고 나온 덕제 스님이 남이 먹다 남긴 자장면을 스스럼없이 먹어 치우는 것을 보면서 ‘스님이 도인이구나’란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난다.

성삼재로 입산해 30분 걷다가 남으로 꺾어 내려가면 ‘지리 10대(臺)’ 중 하나로 꼽히는 ‘우번대’가 있다. 신라 우번 선사가 토굴을 짓고 살았고, 근래 경허의 삼월(三月) 중 하나인 수월 스님이 머물다 가기도 했다. 지금은 팔순의 노스님 혼자 산다. 법종 스님이다. 스님은 1970년대 백운 스님을 은사로 출가해 화엄사, 범어사에 살다가 여기 들어온 지 40여 년으로 반생을 지리산에서 보냈다. 

우번대는 마당에서 보면 숲에 가려 풍경이 별것이 없지만 5분쯤 걸어 남쪽 높은 곳에 이르면 과연 이곳이 전설의 ‘아란야’로구나 하는 감탄이 절로 나온다. 눈 내린 산맥 위에 바람이 불고, 바람결에 운무가 흩어지는 변화무쌍한 풍경들. 겹겹이 굽이치는 봉우리들이 밀려오는 파도의 포말처럼, 꼭 정토의 바다 같다. 멀리 붉게 물든 산하, 광주 무등산이 한눈에 들어오는 비경 중의 비경이다. 

스님이 “정말 극락 같지요?” 한다. 꼭 한번은 호텔서 자보고 싶어 도반스님에게 부탁해 대전 유성 최고급 호텔에 들었는데, 별것도 없더라, 냉장고에 든 것은 비싸기만 하고, 마음은 불편하더라, 그래서 그날 밤에 방을 나와 버스 타고 지리산으로 돌아와 버렸다고 한다. 산에 사는 사람은 산이 집이다. 

노고단대피소에서 능선을 따라 3시간 정도 걷다가 북사면으로 내려가면 지리산의 제2봉, 반야봉 아래 ‘묘향대’가 있다. 예로부터 하늘이 숨겨 놓은 땅, 이 땅의 아란야로 딱 둘을 꼽으면 이북의 묘향산 법왕대와 이남의 지리산 묘향대였다. 어느 선방은 1년, 어느 암자는 한 달, 어느 토굴은 열흘 안에 도통한다는 구전들이 구구한바, 이곳은 문고리만 잡아도 성불한다는 그야말로 전설의 성지다. 호림 스님과 처사님 둘이 산다.  

묘향대 마루에 서서 바라보는 풍광이 일품이다. 이곳은 태양광 덕분에 전기 맛은 보는데 법당과 방에 등 켜고, 라디오 듣고, 휴대전화 충전하는 데 쓴다. 여기서는 휴대전화가 필수품이다. 험한 산길로 5시간 걸리는 암자를 누가 찾아오겠는가? 초파일 절에 온 사람이 많아야 5명이라 하니, 살길이 막막한데 그래도 살아가는 비법이 있다. 스님이 휴대전화로 법문을 하는 것이다. 전화 법문을 하면, 보시는 계좌로 들어온다. 문명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서 최첨단의 텔레콤으로 소통이 이뤄지고 있으니, 산꼭대기 암자는 그 덕에 살아간다. 절 아래에는 빨치산의 토굴이었던 ‘박영발 비트’가 남아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