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를 품은 지리산] 백두대간의 종착지
상태바
[불교를 품은 지리산] 백두대간의 종착지
  • 박두규
  • 승인 2021.12.28 15: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랜 마음속의 어머니 지리산

 

지리산은 오랜 역사 속에서 우리를 품어온 산이다. 그 옛날 산 아래 세상에서 더는 버틸 수 없었던 사람들이 지리산으로 왔다. 절망의 끝에서 차마 버릴 수 없는 목숨 하나 이끌고 이 산에 들어왔다. 그들은 지리산 깊은 골짜기에 들어 스스로의 어둠을 풀었고 산은 그들의 어둠을 품어줬다. 지금도 세상살이에 지치고 힘든 자들이 지리산에 온다. 세상 사람 모두가 등을 돌려도 산은 언제나 그곳에 있다. 오랜 마음 속 어머니처럼 부르지 않아도 항상 먼저 따뜻한 말을 건네주고 품에 안아준다. 그 사무치는 그리움이 깊을 대로 깊어 산 빛 너울이 아프다.

 

지리산의 이름

우리는 지리산을 어머니의 산이라 부른다. 실제로 그 품이 넓어 3개 도에 걸쳐 있으며 약 483km2(1억 4,600여 평)이라고 한다. 이 산 속에 나무며 짐승이며 꽃이며 벌레들 그 무수한 생명이 하나로 어울려 있는 생명공동체가 지리산이다. 그리고 이 지리산 자락 골짜기마다 그곳에서 태어나 자란 사람들과 자본의 폭력과 병든 도시를 외면하고 귀촌한 사람들까지 하나의 지리산이 되어 잘 어울려 살고 있다. 그들은 산이 거느린 어머니의 품성을 배우고 숲의 모든 생명과 하나로 어울려 산다. 인간의 이기적 산물인 자본의 풍요와 편리함에 묻히지 않고 자연과 더불어 살고 있는 이런 이들이야말로 ‘지혜(智慧)로운 이인(異人)’이며 지이산(智異山)의 사람들이 아닌가. 

지리산은 한자로는 지이산(智異山)으로 쓰고 지리산으로 읽는다. 지리산의 ‘지리’ 한자 표기는 智異, 智利, 知異, 地理, 地利, 地而 등 다양하지만 현재 쓰고 있는 지리산(智異山)이라는 이름은 쌍계사에 있는 국보 진감선사 대공탑비에 보인다. 이 탑의 비문은 신라 정강왕 2년(887)에 최치원이 썼는데 ‘지리산(智異山)’이라는 단어가 나온다. 그리고 고려시대의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조선시대에 편찬한 『고려사』에도 다른 한자 표기와 함께 ‘지리산(智異山)’표기가 나온다고 하니 ‘智異山’ 표기가 오랫동안 일관되게 쓰인 듯하다. 특히 불교에서는 지리산을 문수도장으로 부르며 지혜의 문수대성이 이산에 머물며 불법을 지키고 중생을 깨우치는 도량으로 삼았다 해 지리산의 ‘지리’는 ‘대지문수사리보살(大智文殊舍利菩薩)’에서 지(智)와 이(利)를 빌려 지리산(智利山)이라 하나 이는 후대에 불가(佛家)적 입장에서 불린 것으로 보인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