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말을 걸다] 전영관 ‘부왕사터에서’
상태바
[시가 말을 걸다] 전영관 ‘부왕사터에서’
  • 동명 스님
  • 승인 2021.12.07 11: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인이자 출가수행자인 동명 스님의 ‘시가 말을 걸다’를 매주 화요일마다 연재합니다. 원문은 다음카페 ‘생활불교전법회’, 네이버 밴드 ‘생활불교’에서 볼 수 있습니다. <편집자 주>

부왕사터에서 바라본 북한산.
부왕사터에서 바라본 북한산.

부왕산터에서

기단도 버젓한데 기둥 없다고
기와가 스러졌다고 공간까지 무너진 건 아닙니다
바람은 누대의 습성대로
추녀에 달려 있던 쇠붕어를 찾습니다
잔해를 헤치고 마루판까지 뜯어간 산촌 필부들도
쉽게 아궁이에 던지지는 못했을 일입니다
사천왕이 출타 중이니 승병인 양 불두화가
법당 협시를 지속합니다
동지까지는 달포도 남지 않았는데
초록 발심(發心)을 견지합니다
나의 문장은 삽날에 찍힌 뱀의 몸짓
계절병으로 흔들리다 풍경에 밑줄을 긋습니다
구름이 백운대 이마를 훤하게 씻어놓았습니다
터라는 어휘는 과거형이면서
다가올 것에 대한 예감이기도 합니다
종결과 착수가 맞물리는 11월
폐업과 개업이 하나의 화환에 나란한 문구로 걸린 11월
끝까지 폐허라고 말하지 않은 까닭이
여기에도 있음을 부언하지 않겠습니다

(전영관 시집, ‘부르면 제일 먼저 돌아보는’, 실천문학사 2016)

부왕사터에 남은 부도.
부왕사터에 남은 부도.

[감상]
폐사지! 한때 수많은 스님이 예불 올리고, 밥을 짓고, 공양하고, 공부하고, 열띤 토론도 하고, 허허 웃으며 차도 마셨던 곳! 깨진 기왓장과 벽돌과 그릇 조각에서 옛사람의 체취가 물씬 풍기는 곳, 아 이곳은 얼마나 많은 사람의 눈물이 스며 있는 곳인가? 아 이곳은 얼마나 많은 사람의 사랑이 담겨 있는 곳인가?

폐사지에서 눈을 감으면 우리는 저절로 과거로 갑니다. 폐사지에서 귀 기울이면 시간의 저쪽에서 선배들이 손짓하는 것이 보입니다. 다가가 그 손을 잡으려 하면 어느새 사라져버리는 폐사지!

부왕사터는 북한산성 내에서 이제 대표적인 옛 절터가 되었습니다. 절터가 있을 리 없을 것 같은 깊은 골짜기에, 참으로 아늑하면서도 의외로 드넓고 해맑은 곳에 부왕사터가 있습니다. 약 300여 명의 스님이 기거했으니 중흥사와 더불어 북한산성 내에서 가장 많은 수의 스님들이 주석한 곳이라고 하겠습니다.

여러 개의 돌 기단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제법 큰 건물이 들어서 있었음을 알려주는 건물터에 들어서면, 옛 스님들의 숨소리가 들리는 듯합니다. 돌 기단에 앉아 명상하노라면, 옛 부왕사 누각에 앉아 있는 상상을 하게 되지요. 300여 명의 스님이라면 하루에 얼마나 많은 쌀이 필요했을까? 얼마나 많은 물이 필요했을까? 300여 명의 스님이 한꺼번에 들어갈 법당은 없었을 것 같은데, 예불은 어떻게 했을까? 목욕은 어떻게 했을까? 삭발은 어떻게 했을까? 그렇게 폐사지의 명상은 계속됩니다.

전영관 시인은 폐사지의 풍경을 서글픈 듯 익살스럽게 묘사합니다.
“사천왕이 출타 중이니 승병인 양 불두화가/ 법당 협시를 지속합니다”

시인이 부왕사터를 방문한 것은 11월 말, 동지가 달포도 남지 않았을 때입니다. 그런데도 불두화 이파리는 초록을 견지하고 있습니다. 불두화 이파리가 은근히 오래 초록을 유지하는가 봅니다.

“나의 문장은 삽날에 찍힌 뱀의 몸짓
계절병으로 흔들리다 풍경에 밑줄을 긋습니다”

시인의 문장이 ‘삽날에 찍힌 뱀의 몸짓’이라고 한 이유는 폐사지의 감회를 표현하기 힘들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계절병으로 흔들리다 풍경에 밑줄을 그을 뿐입니다.

부왕사터 돌 기단과 부도.
부왕사터 돌 기단과 부도.

부왕사터를 얘기하면서 백운대를 얘기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아주 깊은 곳에 들어왔다 싶은데, 부왕사터에서는 북한산 정상 백운대가 훤하게 보입니다. 햇살 비치는 백운대의 모습은 그야말로 부처님의 광명과 같은 느낌입니다.

터라는 말을 자주 하다 보니, 그 터의 의미도 새겨봐야겠습니다. 시인은 ‘터’라는 어휘는 과거형이면서, 미래에 대한 예감이라고 합니다. 다시 말해 터는 과거에 절이었음을 표방하고, 미래에 어엿한 절이 될 것을 말해준다는 것이지요.

글쎄요? 혹자는 폐사지는 당대에는 필요했으나 그 기능을 다 한 것으로 보고, 복원을 꿈꿀 필요는 없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래도 전영관 시인은 폐사지는 곧 복원될 것을 예감케 해준다고 긍정적으로 노래해 주십니다.

11월, 12월도 마찬가지겠습니다. 시인은 폐업과 개업이 하나의 화환에 나란한 문구로 걸린 계절이라고 말합니다. 그렇지요. 올해의 폐업이자 내년의 개업이 이루어지는 시기이지요. 시인은 ‘터’라는 의미가 그렇다고 말합니다. ‘터’는 과거형이면서도 미래형이기도 하기 때문에 끝까지 폐허라고 말할 수 없다는 것이지요.

폐사지를 반드시 복원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그 절의 복원이 현대에도 의미가 있다면 필요한 일이겠지요. 복원 여부를 떠나서 폐사지의 명상은 참으로 소중한 경험입니다. 그야말로 과거의 역사가 명상 속에서 복원되는 것이니까요.

동명 스님
중앙승가대 비구수행관 관장. 1989년 계간 『문학과사회』를 통해 등단, 1994년 제13회 김수영문학상을 수상했다. 시인으로 20여 년 활동하다가 지난 2010년 출가했다. 저서로는 시집 『해가 지지 않는 쟁기질』(제13회 김수영 문학상 수상작), 『미리 이별을 노래하다』, 『나무 물고기』, 『고시원은 괜찮아요』, 『벼랑 위의 사랑』과 산문 『인도신화기행』, 『나는 인도에서 붓다를 만났다』 등이 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