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번뇌 끊고 진리를 찾고자 노력하는 불교 수행자를 사문(沙門, śramaṇa)이라 부른다. 기원전 6세기경부터 사회 계층 제도가 느슨해지기 시작하자 새롭게 등장한 인도의 수행자들을 일컬어 사문이라고 했다. 이들은 전통적으로 신과 조상에 대한 제사를 중시한 기득권 종교 브라만교와 대립하는 사상을 설파하면서 상가(saṃgha, 僧伽)라는 공동체를 이루어 생활했다. 이처럼 사문들은 브라마나(brahmaṇa) 전통을 이어 발전한 힌두교에 대한 반(反) 브라마나적·비(非) 전통적 경향을 주창했고, 이런 사문들에 의해 일어난 사상적 양상이 불교이다. 결과적으로 불교는 사문들에 의해 인간중심사상의 발전을 촉발했고, 동시에 신흥 종교로서 인간이라면 누구라도 무명(無明)을 벗고 성자(聖者)가 될 기회를 만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이다. 하지만 그 깨달음의 모습을 획일적으로 정의하기란 쉽지 않다. 고타마족 싯다르타 태자의 출가와 이후 수행으로 해탈에 이른 성자로서 석가모니 붓다(이하 붓다), 아비달마 불교의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깨달음 단계에 대한 구분, 그리고 기원 전후부터 현재까지도 진행되고 있는 대승불교의 성불(成佛) 등 그 양상은 복잡다단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사실은 ‘붓다의 깨달음을 닮는 것’과 ‘나도 또 다른 붓다가 되는 것’의 차이다. 즉 붓다의 일거수일투족을 표준으로 삼아 수행 정진하여 제2, 제3의 붓다가 되는 초기불교와 갖가지 방법의 수행으로 나 자신도 별도의 붓다가 될 수 있는 대승불교의 차이는 불타관(佛陀觀)과 불신론(佛身論)의 차이로도 잘 알려져 있다.
성자 경지에 오른 초기불교 수행자
그렇다면 붓다를 닮아 최고의 성자 경지에 오른 초기불교 수행자들은 누구였을까? 붓다 이전부터 인도에서는 깨달음을 얻은 이들을 아라한(나한, arhat)이라고 했다. 붓다의 제자들 가운데 이들이 도달하는 경지를 말하는 사향사과(四向四果), 즉 수다원(須陀洹), 사다함(斯陀含), 아나함(阿那含), 아라한(阿羅漢) 가운데 최고 경지이면서 최후 단계가 아라한이다. 즉, 아라한은 불교 최초의 아라한이었던 붓다를 표준으로 삼아 수행해온 붓다의 제자들 가운데 최고 수준의 수행자로, 더는 배우고 수행할 것이 없는 존재이면서 윤회에서 완전히 해방된 존재이기도 하며, 그 이상의 단계가 없으므로 당시 깨달음의 최상위에 있었던 붓다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상가 지도자 중 한 사람이었다.
월간불광 특집 기사 전문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됩니다.
회원가입후 구독신청을 해주세요.
불광미디어 로그인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