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 불교] 부처님의 나라, 백제
상태바
[백제 불교] 부처님의 나라, 백제
  • 조경철
  • 승인 2021.06.29 15: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 드높고 은미한 이름 백제 불교 | 오랜 전생의 업을 맺다
뚝섬 출토 여래좌상. 우리나라 최초 불상으로 알려진 이 여래좌상은 백제 불상인지 전고려 불상인지 확실치 않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신라 말 고려 초 경남 창원 봉림사의 진경 대사 심희에게 누군가 물었다.

“스님은 왜 중국 유학 안 가십니까?”

“이미 여러 선승이 중국에서 달마와 혜가의 선종을 배워왔거늘 굳이 또 유학 갈 필요가 있겠느냐?”

사상과 종교를 받아들인 이후 그 사상과 종교는 변하기 마련이다. 받아들인 나라의 역사와 풍토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변한 모습을 보지 않고 중국에서 받아들인 모습 그대로만 해석하는 것은 중국사이지 한국사가 아니다. 백제 불교도 마찬가지다. 불교를 중국에서 받아들였지만, 중국사와 백제사의 전개 과정이 달랐다. 역사에 녹아든 불교도 중국 불교가 아닌 백제 불교인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