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유산 연등회] 연희・함께・신명
상태바
[인류의 유산 연등회] 연희・함께・신명
  • 윤소희
  • 승인 2021.05.27 21: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굉진천지(轟震天地) 다이너마이트
연등법회, 어울림마당, 연등행렬이 끝나면 회향한마당이 펼쳐진다. 
연등회의 모든 참가자는 하늘에서 쏟아지는 꽃비의 환희에 젖어 든다. 

‘연등회’라면 행렬하는 모습을 떠올리기 쉽다. 하지만 실제로 그 행렬의 몸체는 함께 신명을 내는 연희로 이뤄져 있다. 『고려사』에는 “원년 십사 년(1273년) 2월, 왕이 봉은사에 올 때 사문 밖에 등을 걸고 기회(技會)가 열렸다(王如奉恩寺. 以國家多故 除技會. 但於寺門外 設燈)”는 기록이 있다. 대회일에는 산대악인이 악관(樂官)과 함께 꽃과 주과(酒果)를 받았으며, 사문 밖까지 등을 걸고, 가무와 놀이를 했다. 이때 산대잡희를 행한 사람들을 산대악인이라 하고 이방인들을 팔방상공인(八坊廂工人)이라 통칭했다. 당시에 외국인들이 함께 춤추고 놀았음 또한 알 수 있다. 이때 기회의 규모가 1,350명이 넘었고, 이들이 주악을 연주하고, 노래하고, 북을 치고, 나팔을 불며 천지를 진동시켰다(皆監飾 入廷奏樂 絃歌鼓吹 轟震天地). 굉진천지(轟震天地)를 요즘 식으로 말하면 “천둥 벼락과 같이 천지를 들었다 놨다 했다”는 것이다. 이토록 다이나믹하게 놀 줄 알았던 우리네 조상들의 DNA는 오늘날 전 세계를 들었다 놨다 하는 한류가 되었다. 

 

집단 유희와 놀이로 발화하는 법열

인류 문명사와 음악 이야기를 엮어 출판한 『문명과 음악』에서 필자는 “생존에 유리한 것이 아름답다”는 결론을 내렸다. 붓다의 설법이 세상에 뿌리내리기 시작해 2,500여 년이 지나기까지 지구촌에는 수많은 종교가 생성되고 전파되어 왔지만, 21세기 과학의 시대를 맞아 제반의 종교는 그 빛을 잃어가고 있다. 이러한 와중에 세계 지성인들은 한결같이 미래 종교로 불교를 꼽는다. 불교가 과학 그 자체라고 할 만큼 인류의 생존에 유리한 종교이기 때문이다. 그 유리함이란 무엇일까? 필자는 그 답을 “존재의 희유”라고 말하고 싶다. 신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유일신 계열, 온갖 신들이 난무하는 힌두교와 달리 불교는 자연 현상 그대로 바라보는 합리적인 존재 방식과 희유를 제시하기에, 깨달음을 성취한 도인들은 예외 없이 “법열의 기쁨”을 노래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