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남덕 칼럼]길 떠날 준비
상태바
[이남덕 칼럼]길 떠날 준비
  • 관리자
  • 승인 2007.09.1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묵은 유행가 가사처럼 '인생은 나그네 길' 이라고 할 때 상당히 감상적인 말로 들릴 수 있 다. 그런데 실상 80고개를 눈앞에 둔 늙은이 심정으로 비록 지금은 건강해도 '죽음'이 남의 일 이 아니고 당면한 나의 일이기 때문에 감상에만 머물러 있을 수가 없다.

죽는 그 순간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 평화로운 마음으로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마음 의 자세 같은 정신적인 문제와 더불어 신변정리와 같은 실제적인 문제를 생각해 두어야 할 것 같다. 우선 빚(負債)은 다 갚아야 하고, 상례(喪禮) 같은 사후(死後) 처리 문제도 할 수 있는 대로 대강 생각해 두어야 할 것이다.

빚이라고 할 때 꼭 물질적인 부채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내가 해야 할 의무도 다 못했으면 빚이고, 내가 받은 남의 후의(厚誼)와 은혜도 갚지 못했으면 빚이다. 사후처리 문제란 요즘 같이 전통적인 관습이 허물어지고 여러 가지 상례풍속이 난립하는 가운데서는 자손들에게 바라는 바를 명시해 두는 것이 편리할 것 같다.

며칠 전에 미국에 살고 있는 큰 아들이 직장 일로 한국 출장을 나왔다. 마침 하안거가 해제 되어 집으로 돌아와 오랜만에 세 아들이 다 모이게 되었다. 나는 이 기회에 상례와 관계된 몇 가지 문제를 유언삼아 일러두었다.

이 일은 누구나 당하는 일이고, 불교적 가르침으로 보면 죽음이란 크게 야단스럽게 떠들 일 도 아니다. 나고 죽음이 바닷물에 물방울이 생겼다가 다시 바닷물로 돌아가는 연기연멸(緣起緣滅)의 현상일 뿐이니 임종석에서 소리내어 통곡하며 떠나는 사람 정신 헛갈리레 하지 말라는 부탁부터 시작했다.

두 번째로는 장의(의식)절차는 불교식으로 하는데 수년 전에 제자가 부친상 만났을 때 나와 언약한 바가 있으니 거기 연락해서 적에서 집행하도록 부탁하였다. 그리고 화장(火葬)하기를 바란다고 일렀다.

그 다음에는 장지(葬地)문제인데, 이미 화장하여 재가 된 후이니 산천이나 연고지에 뿌려도 되지만, 남은 자손들의 결속이나 화합을 위해서는 장지를 한군데 정할 필요가 있다. 이미 화 장하였으니 하토(下土)하여 묻을 봉분(封墳)이 없으므로 어떤 형태의 표지물을 세워야 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