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선대는 운달 스님이 김용사를 창건하기 이전부터 운달산에 처음 자리를 잡은 암자다. 현대에 와서는 성철 스님이 김용사에서 처음 설법한 뒤 금선대를 중창함으로써, 많은 스님이 용맹정진 수행터로 삼았다. 성철 스님을 비롯해 서암, 서옹, 법전 스님 등 기라성 같은 스님들이 다녀갔다. 한때 사람이 지내기 어려울 만큼 스러져, 잠시 비었던 암자였다. 김용사 주지스님이 2년 전 새롭게 불사를 했고, 지금은 효원 스님이 정진 중이다.
“신구의 삼업 가운데 가장 점검하기 쉬운 게 몸뚱이에요. 다음이 말이고 제일 어려운 게 우리 마음이잖아요. 가장 움직이기 쉬운 게 몸뚱이라서 몸부터 시작해요. 단단히 결심하고 와도 마음은 내 마음대로 안 되잖아요. 언젠가 시계 알람을 잘못 맞춰서 도량석 시간인 새벽 4시에 일어나지 못한 거예요. 산신각 풍경이 어찌나 요란스럽게 울리던지…. 산신님이 경책하는구나 싶으니까 그 뒤로는 도량석을 잘 지켜요. 여기 다녀가시는 분들이 빈손으로 오지를 않아요. 김용사 아랫마을에 사는 부부는 매일 같이 오시면서, 어떤 날은 무배추를 또 어떤 날은 깨강정을 만들어 오시기도 해요. 한 번에 다 못 먹으니까 하루하루 조금씩 순서대로 다 먹어요. 오늘은 누룽지에 된장이랑 김치를 좀 넣었어요. 이분들 생각하면 정신이 번쩍 들어요. 어째 먹을만한가요?”
“지난봄에 말한 산신각이에요. 어때요? 딱 한 사람 누울 정도의 크기라도 편안하고 아늑하죠? 제가 산신각을 좋아해서 올봄부터 추워지기 전까지 여기서 지냈어요. 전각에는 아궁이를 안 두는데, 여기는 갑작스럽게 누구라도 오면 머물러야 하니까 예전 스님 때부터 매일 불을 넣었어요.”
월간불광 과월호는 로그인 후 전체(2021년 이후 특집기사 제외)열람 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