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의 신화] 붓다의 대비심과 브라흐마의 권청
상태바
[붓다의 신화] 붓다의 대비심과 브라흐마의 권청
  • 동명 스님
  • 승인 2021.01.26 09: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조의 신 브라흐마가 붓다에게 설법을 권청하는 장면. 파키스탄 라호르 박물관 소장.

 

| 신화가 된 붓다의 생애

“친구야, 조오련하고 물개하고 수영 시합하믄 누가 이기겠노?”

영화 <친구>(2001)에 나오는 유명한 대사다. 이 대사에서 ‘신화’가 어떻게 탄생하는지를 알 수 있다. 조오련은 1970년대 아시아를 대표하는 수영선수였다. 그는 은퇴한 후 대한해협을 맨몸으로 13시간 16분 만에 횡단해 1980년 다시 한번 전 국민의 주목을 받는다. 국민 영웅 조오련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가 만들어지면서 그는 신화화된다. 이처럼 영웅은 뭇 사람들의 꿈이 되고 위안이 되고 구원자가 된다. 

붓다의 일생 중 어디까지가 신화이고 사실인지 정확히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왜 신화화됐는지’, ‘그 이야기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인도는 신화가 유난히 발달한 나라다. 인도에서 신화는 곧 종교와 다름없다. 인도인들이 숭배하는 신 중에는 역사 속의 인물인지 단지 신화에 불과한 것인지 분간하기 힘든 경우도 많다. 그런 나라에서 붓다를 숭배하는 사람들도 붓다의 생애를 다른 신화 이상으로 특별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붓다의 신화에는 위대한 붓다를 더 많은 사람이 믿고 따라서 궁극적인 평화와 자유, 행복을 누리기를 바라는 사람들의 염원이 담겨 있다.

 

| 49일 동안 해탈의 지복을 누리다

마왕을 물리친 싯다르타는 보리수 아래서 7일을 변함없이 결가부좌를 하고 해탈의 지복을 누리며 앉아 있었다. 이렇게 고요히 앉아 있는 동안 세속의 이름 싯다르타는 자연스럽게 붓다가 되었다. 팔리어 율장에는 붓다가 맨 먼저 사유한 것이 연기법(緣起法)이라고 나온다. 세존은 초야와 중야와 후야에 연기법의 순관(順觀)과 역관(逆觀)을 숙고했다.

“무명(無明)을 조건으로 행(行)이 있고, 행을 조건으로 식(識)이 있고, 식을 조건으로 명색(名色)이 있고, 명색을 조건으로 육입(六入)이 있고, 육입을 조건으로 촉(觸)이 있고, 촉을 조건으로 수(受)가 있고, 수를 조건으로 애(愛)가 있고, 애를 조건으로 취(取)가 있고, 취를 조건으로 유(有)가 있고, 유를 조건으로 생(生)이 있고, 생을 조건으로 늙음과 죽음, 시름/비애/괴로움/근심/번뇌가 생겨난다. 이 모든 괴로움 다발의 일어남이 이와 같다. 그러나 실로 무명이 남김없이 사라지면 행이 소멸하고, 행이 소멸하면 식이 소멸하며, 식이 소멸하면 명색이 소멸하고, 명색이 소멸하면 육입이 소멸하며, 육입이 소멸하면 촉이 소멸하고, 촉이 소멸하면 수가 소멸하며, 수가 소멸하면 애가 소멸하고, 애가 소멸하면 취가 소멸하고, 취가 소멸하면 유가 소멸하고, 유가 소멸하면 생이 소멸하며, 생이 소멸하면 늙음과 죽음, 시름/비애/괴로움/근심/번뇌가 소멸한다. 이와 같이 이 모든 괴로움 다발의 소멸이 있다.”

흔히들 붓다가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는데, 그 깨달음의 내용은 분명치 않다고 말한다. 그러나 율장에서는 연기법으로 시작되는 세상의 이치가 바로 깨달음의 내용이라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다만 보리수 아래에서 붓다가 깨달은 바가 연기법뿐이냐 하면 그렇지 않다. 연기법을 토대로 어떻게 살아야 궁극적으로 행복해질 수 있는지를 총체적으로 깨달았다고 봐야 한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일차적인 답이 초전법륜에 나오는바, 다섯 비구에게 설한 사성제와 팔정도, 그리고 교단의 첫 출가자인 야사에게 설한 보시・지계・인욕 등 바라밀행이 그것이다.

밍군 사야도의 『대불전경』은 붓다가 깨달은 바를 더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대불전경』에 따르면 붓다는 숙명통・천안통・누진통을 얻은 후 예류과, 사다함과, 아나함과, 아라한과를 차례로 증득했으며, 4성제, 4무애지, 6불공지 등으로 구성된 붓다의 14종 지혜와 18불공법, 4무외지와 함께 일체지를 얻음으로써 삼계의 스승인 정등각자(正等覺者, sammāsambuddha)의 경지를 성취했다고 한다.1

이렇게 깨달음을 얻은 붓다는 49일 동안 여러 나무 밑을 옮겨 다니며 해탈의 지복을 누린다. 첫 번째 7일 동안 앉아 있었던 보리수 밑에서 해탈의 지복을 누렸으며, 두 번째 7일 동안은 보리수와 보리좌를 응시하면서 보냈고, 세 번째 7일 동안 천신들이 마련해준 보배 경행대 위를 경행했다. 일창 스님은 네 번째 7일 동안에 붓다는 천신들이 마련해준 보배궁전에서 아비담마를 숙고하면서 보냈다고 말한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