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의 신화] 가장 위대한 정복자
상태바
[붓다의 신화] 가장 위대한 정복자
  • 동명 스님
  • 승인 2020.11.30 1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마왕과의 전쟁을 상징적으로 그린 그림. 출처 Wikimedia Commons.

 

| “자비는 적(敵)이 없다”

북한산 도선사에서 마을을 향해 내려오다 보면 ‘자비무적(慈悲無敵)’, 즉 ‘자비는 적이 없다’라고 새겨진 돌기둥을 만나게 된다. 그 말을 처음 볼 때는 공허하게 느껴졌는데, 붓다의 신화 속에서 그 말의 의미를 다시 한번 되새긴다.

깨달음을 얻기 직전 싯다르타는 그야말로 엄청난 적과 일대 격전을 치른다. 그 적은 붓다가 탄생하는 순간 입지가 위태로워지는 마라 빠삐만(Māra Pāpimant)이었다. 마라는 ‘죽음’ 또는 ‘사악함’을 뜻하며, 빠삐만은 우리에게는 마왕(魔王) 파순(波旬)으로 알려졌다. 마왕 파순은 욕계(欲界)의 여섯 번째 우주인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의 왕이기도 하다.

마라는 인도신화 속에서 애욕의 신 까마(Kāma)에 해당한다. 『붓다차리따』에서는 “욕계천의 신인 까마데와는 꽃화살로 애욕을 지배하였으니, 해탈의 적인 ‘마라(Māra)’라고 불렸어라”라고 노래한다. 까마는 인도신화 속에서 쉬와(Śiva)와 빠르와띠(Pārvatī)를 맺어준 신이다. 당시 세상은 따라까(Taraka)라는 악마가 준동했고, 이 악마는 오직 쉬와의 아들만이 무찌를 수 있었다. 그런데 당시 쉬와에게는 아들도 없었을뿐더러 혼인도 하지 않았다. 이에 애욕의 신 까마가 쉬와에게 쉬와의 아내가 될 빠르와띠에 대한 사랑을 싹틔우기 위해 그를 향해 애욕의 꽃화살을 쏘았던 것이다.

그리스로마나 인도신화의 애욕의 신은 악마가 아니라 천신(天神)인 반면, 붓다의 신화 속에서는 엄청난 괴력을 지닌 악마다. 불교에서 애욕의 신은 괴로움의 근원을 만드는 존재다. 애욕의 신은 뭇 생명체들의 욕망을 먹고 살며, 욕망이 채워지지 않으면 분노가 탄생하고, 욕망은 모든 것은 무상(無常)하다는 것을 모르는 어리석음으로부터 비롯되기 때문이다.

 

| 마왕의 군대를 물리치다

『붓다차리따』는 마왕의 말을 다음과 같이 옮긴다. 

“이 엄청난 괴력의 성자가 결연한 갑옷을 입고 용맹의 활과 지혜의 화살을 가지고 내 나라를 정복하려 하는구나. 심히 걱정이도다. 그가 지혜의 눈을 뜨기 전, 미리 그의 마음속 애욕을 넘치게 하리라. 넘치는 애욕의 물이 튼튼한 해탈의 둑을 여지없이 무너뜨리리라.”

마왕은 애욕의 활과 세상을 미혹할 다섯 개의 화살을 들고 싯다르타를 교란하려고 보리수 아래로 갔다. 악마는 말했다.

“죽음의 공포에 떨고 있는 크샤트리야여! 일어나라! 해탈의 수행을 버리고 세간법을 행하라. 싸움과 제사로써 세간을 제압하고 권력을 얻으라. 그대가 지금 일어나지 않으면 내 기필코 이 애욕의 화살을 쏘리라.”

싯다르타가 아무 반응이 없자 마왕은 화살을 날렸다. 싯다르타는 여전히 미동도 하지 않았다.

‘이 화살을 맞고 쉬와신도 사랑에 빠졌는데, 이 성자는 꿈쩍도 하지 않는구나. 안 되겠다. 애욕의 활과 화살도 소용없으니, 군대의 힘으로 해치우겠노라.’

『대불전경』에 따르면, 마왕의 군대는 엄청난 규모였다. 전방 무리의 넓이가 12요자나(1요자는 하루에 걸을 수 있는 거리)였고, 우측 무리의 넓이도 12요자나, 좌측 무리의 넓이도 12요자나였으며, 하늘로 솟아오른 높이는 9요자나였다. 마왕의 군대가 외치는 소리가 1,000요자나 밖에까지 들렸다. 마왕은 또 자신의 몸에서 1,000개의 팔을 만들어낸 뒤 각 손에 각기 다른 무기를 들고 150요자나 크기의 코끼리를 타고는 그들을 뒤따랐다. 곧 탄생할 붓다에게 존경을 표하기 위해 와 있던 천신들도 마왕의 군대를 보고는 슬그머니 꽁무니를 감추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