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우방의 미술 세계] 하나의 예술품과 책은 하나의 경전
상태바
[강우방의 미술 세계] 하나의 예술품과 책은 하나의 경전
  • 강우방
  • 승인 2020.10.27 17: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만병에서 수월관음이 화생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세계 최초로 조형 언어를 발견하여 읽어보니 예술품에 깊은 종교사상이 깃들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하나의 예술품에 숨겨진 절대적 진리를 읽어내니 한 권의 경전과 같았다. 이를 풀이한 필자의 저서들도 하나하나 경전이 됐다고 할까? 세상은 조형 언어를 문자 언어로 다시 풀어 읽는 낯선 설명에 당황했다. 문자 언어로 쓴 책을 읽어내려고 해도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데, 하물며 조형 언어로 이뤄진 예술품을 읽어내려면 최소 5년이 소요된다. 조형 언어를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교육하는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 ‘무본당(務本堂)’에서 배워야 하는데 관심이 적다. 

아무리 설명해도 아무도 알아듣지 못하니 자비심이 인다. 조형 언어를 배운 적이 없고 세계 어느 대학에서도 가르치는 교수가 없기 때문이다. 무본당이 조형 언어를 가르치는 유일한 교실이다. 필자는 조형 언어로 진리를 기록한 조형 예술품들을 수많은 나라에 가서 답사하고, 사진 촬영하고 연구해 논문을 쓰고 발표했으며, 저서들로 출간하고 있다. 

 

| 한국미술, 수월관음도, 괘불의 탄생

학문과 예술 연구에 기적적인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한 2000년 이후에 출간한 저서들을 살피면서 필자의 예술 연구 연대기를 정리하고자 한다. 국내는 물론 세계 곳곳에 있는 유적을 답사하고, 박물관에서 작품을 조사하고 연구했다. 동시에 일본, 그리스, 프랑스 등 각국에서 열린 학회도 참가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바쁜 일정을 소화하면서 연구 성과도 인정받은 터라 저서를 집필하기로 했다. 

박물관 퇴임 후 이화여대 초빙교수로 자리를 옮긴 뒤 학문의 변화가 잔잔한 파도처럼 일렁거리기 시작했다. 밖은 고요했으나 안은 격동하고 있었다. 고구려 벽화 연구의 성과로 풀리지 않았던 많은 문제가 풀리자 책 출간을 결심했다. 지금 되돌아보면 초보적인 접근을 한 작품도 많았지만 완벽히 풀어낸 작품도 있었다. 일본과 중국의 작품도 몇 점 다뤘는데, 앞으로 다른 나라 작품들의 조형 언어도 풀 수 있다는 일종의 선전포고였다. 

첫 저서가 바로 『한국미술의 탄생』(솔, 2007)이었다. 책에 실린 작품들이 너무 유명해서 국내 학자들은 물론 일본, 중국 그리고 서양 학자들 누구나 알고 있었다. 건축·조각·회화·도자기 등 모든 장르에 걸친 대표적인 작품들이었지만 학자들은 무엇인지 모르거나 잘못 알고 있는 작품들이었다. 그래서 첫 저서의 부제가 ‘세계미술사 정립을 위한 서장’이다. 세계에서 유명한 모든 작품을 올바로 풀어낼 수 있다는 확신이-그 약속대로 올해 출간할 『세계미술, 용으로 풀다』의 원고 교정이 끝났는데, 『세계미술, 부처님으로 풀다』와 같은 뜻이다-있었기에 달았던 부제였다. 

2007년 솔출판사 임우기 대표는 한 해 동안 필자의 강의를 듣고 책 출판을 흔쾌히 받아들였고, 가장 좋은 종이와 인쇄로 최고의 책을 제작해 선물했다. 그 책이 삼성인쇄소에서 인쇄되는 광경을 발코니에서 내려다보며 마음속으로 이렇게 확신했다. ‘저 책이 세계를 변화시키리라.’ 그러나 처음 들어보는 설명과 용어에 사람들은 당황했다. 이 책은 ‘형태의 탄생 시리즈 1’로 표기했으나, 다음에 출간한 저서가 모두 형태의 탄생 시리즈이므로 이후 책에는 번호를 붙이지 않았다. 

글항아리 출판사에서 2013년에 『수월관음의 탄생』이 출간되었다. 고려 불화 한 점으로 한 권의 책을 냈다. 당시 학계는 그 작품 하나로 논문 하나 쓸 수 없던 상황이라 큰 주목을 받았고, 출판계 불황에도 3쇄를 찍었다. 원래 다룰 작품은 따로 있었다. 가로 세로가 4m에 이르는 가장 크고 완성도가 높은 일본 경신사(鏡神社) 소장 고려 수월관음도를 일본 사가현립박물관에 가서 조사하고 채색 분석을 마친 상태였다. 

하지만 일본 대덕사(大德寺) 소장 수월관음도를 본 후 마음이 바뀌었다. 그 많은 고려 수월관음도는 높이가 대개 1m 내외로 작다. 이 작품은 완성도가 뛰어날 뿐 아니라 크기도 세로가 2.5m 되는 비교적 큰 폭으로 등장인물이 많고 수월관음의 본질을 더욱 풍부하게 설명할 수 있어서 이 작품으로 결정했다. 그 부제는 ‘하나의 불화는 한 권의 경전과 같다’이다. 이 작품을 분석하며 화면 전체를(그림 1, 그림 2) 100% 풀이하여 설명하니 한 권의 경전보다 더 감동을 주지 않는가. 모든 무늬를 조형 언어로 해독하여 문자 언어로 바꾸어 쓴다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당시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이 동숭아트센터로 옮긴 때라 출판기념회를 그곳에서 열었다. 2012년 봄부터 2014년 여름까지 동숭아트센터에서 비록 2년간 지냈지만 귀중한 체험도 했다. 동숭아트센터에는 꼭두박물관이 있는데 상여를 장식했던 용과 봉황, 그리고 갖가지 꼭두(우리나라 전통 장례식 때 사용되는 상여를 장식하는 나무 조각상)가 전시돼 있다. 마침 옮긴 해가 흑룡의 해여서 용 특별전을 기획하게 되었다. 알기 쉽게 다시 채색 분석한 용수판(龍首板)들을 작품마다 밑에 설치한 작은 모니터를 통해 조형이 단계적으로 이어지는 모습을 전시했더니 호응이 매우 좋았다. 

다음에 출간한 책이 『오덕사(五德寺) 괘불』(통도사 성보박물관, 2014)이었다. 통도사 성보박물관은 처음부터 괘불을 걸 수 있는 전시 공간을 염두에 두고 설계한 첫 건물이다. 그래서 매년 두 작품을 교대로 6개월씩 전시하고 있었다. 괘불은 대웅전 앞 넓은 마당에 걸어놓고 야단법석을 차렸던 의례용 큰 불화다. 보통 10m 이상이며, 14m 내외의 장대한 괘불도 많다. 아마도 세계에서 가장 크고 작품성도 최고인 회화는 조선 시대 괘불이리라. 임진왜란 후 죽은 수많은 사람의 영혼을 극락으로 보내기 위한 대규모 천도재를 지낼 때 두 기둥에 걸어 놓았던 불화라 괘불(掛佛)이라 부른다. 이 불화 역시 100% 해석해 한 권의 책으로 내니 불화 연구자들이 당황했을지 모른다. 원래 불상 조각이 전공이었으니 말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