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수·원효·의상봉과 능선 사찰이 한데 어우러지니 “불국토가 예 있더라”
상태바
문수·원효·의상봉과 능선 사찰이 한데 어우러지니 “불국토가 예 있더라”
  • 박부영
  • 승인 2020.09.29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북한산과 불교 그리고 북한산성
계파성능 대사가 승군 총사령관격인 도총섭을 맡아 북한산성 축조를 책임졌다.

한반도에서 북한산은 고대부터 전략적 요충지며 불교 성지였다. 한반도 중앙에 위치하며 너른 들을 거느리고 경상도, 강원도 내륙에서 서해로 나가는 통로 한강과 한몸이다. 북한산이 방벽을 두르지 않았다면 한강은 유리 안에 갇힌 새 모양 늘 적의 위협에 떨었을지 모른다. 조선이 서울을 수도로 삼기 전부터 북한산을 중시했으니 수많은 절과 절터가 그 증거다.

 

사진. 유동영, 박부영 

 

| 한국불교 큰 맥이 북한산 능선으로

북한산은 북쪽으로 도봉산, 사패산으로 이어져 북으로 치닫는다. 서쪽 끝은 한강 하류에 펼쳐놓은 고양들에 닿는다. 남으로 수도 서울을 품고 북으로 외적을 방비한다. 능선은 화강암 덩어리다. 높고 험한 암벽으로 두른 능선과 봉우리는 과거에는 성벽이었으며 오늘날은 등반가들 성지다. 북한산은 서울 구파발 비봉에서부터 문수봉, 영봉까지를 흔히 주 능선으로 부른다. 주 능선을 등줄기 삼아 의상, 칼바위, 진달래, 원효 등이 능선을 이룬다. 능선과 능선 사이는 깊고 길며 아름다운 계곡이 자태를 뽐낸다. 북한산에 오르는 등산객들은 매 계절 옷을 갈아입고 얼굴을 달리하는 북한산 봉우리 그리고 산과 산이 어깨동무하고 지나가는 능선과 계곡에 감탄을 금치 못한다. 

북한산에는 크고 작은 사찰이 100여 곳에 이를 정도였으며 현존하는 사찰은 30여 곳이다. 수많은 사찰과 더불어 불보살의 이름을 딴 봉우리까지 북한산은 불국토다. 불보살과 더불어 봉우리에 당당히 이름을 새긴 두 고승이 있으니 의상과 원효다. 화엄과 정토라는 한국불교 큰 맥을 만든 시조(始祖)답게 두 고승은 북한산에서 보살의 반열에 올랐다. 북한산 주 능선과 서쪽 방면 비봉능선은 중간에 수직으로 꺾이는 데다 가운데 의상 능선이 막고 있어 한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그런데 북한산 전 능선이 보이는 명당 터가 한 곳 있다. 바로 문수봉이다. 향로봉, 비봉, 승가봉으로 이어지는 비봉능선과 의상능선이 만나 주 능선으로 달리는 북한산 허리 격이다. 광화문 등 서울 종로 일원이 한눈에 들어오고 행궁과 승군 사찰이 모여 있는 북한산성의 심장 중흥사 권역을 보호하는 문수봉을 북한산 주봉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묻는다. 주 능선과 의상능선이 맞닿으며 사대문에서 산성으로 들어서는 통로이자 북한산 중심에 해당하는 봉우리 이름을 왜 문수보살 주석처로 삼았을까? 오대산, 속리산에서 보듯 가장 높은 산에는 보신 화신불의 진신인 법신불 비로자나불을 따서 비로봉이라 짓는다. 북한산에는 비로봉 대신 원효, 의상이 있다. 지혜를 상징하며 행원을 대표하는 보현보살과 짝을 이뤄 석가모니부처님을 협시하는 문수보살은 수행자를 뜻한다. 진리를 체득하여 깨달음에 이르는 수행자의 산이기에 최고봉은 아니지만, 산의 허리며 중심에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을 모신 것은 아닐까? 

북한산은 크게 북한동 지역과 종로 구기동 방면, 서울 서북부의 구파발, 우이동, 수유리, 정릉 권역으로 나뉜다. 구역마다 대표사찰이 있다. 북한동 중흥사와 상운사, 구파발의 진관사와 삼천사, 구기동의 승가사와 문수사, 우이동 도선사, 수유리 화계사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