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의 신화] 수행자는 작은 성취에 만족하지 않는다
상태바
[붓다의 신화] 수행자는 작은 성취에 만족하지 않는다
  • 동명 스님
  • 승인 2020.09.04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 원제 스님.
라지기르(라자가하) 산에서 나무를 해오는 사람들과 안개 속에서 떠오르는 태양. 사진 원제 스님.

 

|    육사외도를 찾아가지 않은 이유

선정수행을 해본 사람은 선정에 들어가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안다. 

“그는 마음의 오염원이고 통찰지를 무력하게 만드는 이들 다섯 가지 장애를 제거하여 감각적 욕망을 완전히 떨쳐버리고 해로운 법[不善法]들을 떨쳐버린 뒤, 일으킨 생각[尋]과 지속적인 고찰[伺]이 있고, 놓아버림으로부터 비롯된, 희열[喜]과 행복[樂]이 있는 초선(初禪)을 구족하여 머문다.” 1

색계(色界)의 네 단계 선정 중 초선에 대한 경전 말씀이다. 초선은 욕망의 세계를 떠났으나 물질적인 세계를 떠나 완전하게 정신적인 세계까지는 도달하지 못한 단계이다. 이 색계 초선이 본삼매(本三昧)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데, 이 선정의 출발 단계에 도달하는 것이 쉽지 않다. 오늘날 많은 수행자들이 몇 년을 수행해도 본삼매는커녕 근접삼매(近接三昧)조차 경험 못 한다.

이렇게 시작된 선정의 단계는 색계 2선, 3선, 4선을 거쳐, 물질적인 세계를 벗어난 무색계(無色界)의 공무변처(空無邊處), 식무변처(識無邊處), 무소유처(無所有處),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 그리고 상수멸진정(想受滅盡定)까지 도달하게 된다. 색계 4선의 단계를 지나 무색계 선정의 세계에 들어가기도 힘들진대, 무색계 선정의 최고단계인 무소유처나 비상비비상처는 말할 필요도 없다. 그런데 출가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청년 싯다르타가 선정수행을 시작하자마자 무소유처, 비상비비상처 등 최고의 경지에 단숨에 도달했다는 것은 가히 신화적이라는 것이 범부의 생각이다. 

붓다가 성도 전에 만난 스승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은 알라라 깔라마(ⓟĀḷāra Kālāma)와 웃다까 라마뿟따(ⓟUdaka Rāmaputta)였다. 두 사람이 중요한 이유는 붓다가 훗날 강조하는 계(戒)・정(定)・혜(慧) 삼학(三學) 중에서 정학(定學)에 관한 상당 부분이 이 두 스승에게 영향받은 것이기 때문이다.

싯다르타가 출가했을 무렵에는 나름대로 깨달음을 얻은 수행자들이 큰 교단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른바 육사외도(六師外道)라고 불리는 여섯 개의 수행자 집단이 그것이었다. 그런데 싯다르타는 그 육사외도를 외면하고 알라라 깔라마와 웃다까 라마뿟따를 찾아간다. 육사외도를 찾아가지 않은 이유도 사뭇 신화적이다. 밍군 사야도의 『대불전경』은 붓다의 전생인 보살이 91겁 전부터 외도의 실천 체계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조사해왔고, 그 결과 그들의 실천법이 매우 공허하다는 사실을 철저히 알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육사외도에게는 가지 않았다는 것이다. 2

 

|    알라라 깔라마와의 만남

알라라 깔라마는 무소유처정을 증득했고, 웃다까 라마뿟따는 비상비비상처정을 수행하고 있었다. 두 사람은 4선 4처 중에서 최고의 경지에 올라 있었다고 하겠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