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서영의 조각은 유리창에 잠시 맺혔다가 사라지는 이슬 같다. 차 안의 따뜻한 공기와 바깥의 차가운 공기가 유리창이라는 표면에서 수분이라는 재료로 맞닥뜨렸을 때 생기는 이슬. 곧이어 사라지거나 조건에 따라 다른 모양으로 탈바꿈하기도 하는 공기 중의 결정체. 이슬을 대수롭지 않게 ‘보지 않는’ 사람은 있어도, 이슬을 ‘해석하려는’ 사람은 없다. 보거나, 보지 않거나. 이슬을 대하는 우리에게는 단 두 가지의 선택지가 존재할 뿐이다.
| 때론 모르는 게 약이다
아, 차가 참 맛이 좋다! 다음 순간, 패키지를 살펴본다. 브랜드도 산지도 가격도 살펴본다. 포털사이트에 검색도 한 번 해본다. 유명한 차일까? 어떤 종류의 차일까? 다른 사람들도 좋아하는 차일까? 슬슬 머리가 아파지기 시작한다. 뭔가 거대하고 심오한 차의 세계에 갓 발을 들여놓은 입문자가 되어, 차에 관한 지식 1부터 100까지를 모두 파악해야만 이 차의 진가를 알 수 있을 것만 같다.
예술을 난해하다고 느끼게 되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이것이다. 눈앞에 놓인 이 작품이라 불리는 사물의 이면에 내가 알지 못하는 수많은 지식과 계보와 의미들이 숨겨져 있을 것이라는 부담감 말이다. 물론 한 사물이 ‘예술’로 불리기까지 거쳐온 지난한 역사적 순간들이나 작가가 어떤 생각으로 이런 ‘작품’을 만들었는지에 대한 지적 호기심을 완전히 잊기란 어렵다. 그러나 내가 마시는 차의 정보를 알지 못한다고 하여 차 맛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아니, 오히려 모르는 게 약일 수도 있다! 내 혀가 느끼는 맛에, 내 코끝에 와 닿는 향기에 조금 더 집중해보기를, 정서영은 ‘조각적으로’ 제안한다.
월간불광 과월호는 로그인 후 전체 열람 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