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만나는 불교] 여성 수행자들의 유리천장 깨부수기 / 김천
상태바
[영화로 만나는 불교] 여성 수행자들의 유리천장 깨부수기 / 김천
  • 김천
  • 승인 2020.07.29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달라이 라마가 게셰마 학위를 주고 있다. 출처 달라이 라마 공식 홈페이지.

미국 불교 잡지 「트라이시클(Tricycle)」이 주관하는 북미지역 불교 축제 ‘붓다페스트(BuddhaFest)’가 개막했다. 지난 6월 22일 시작한 제10회 붓다페스트는 8월 16일 막을 내린다. 불교에 관한 강연, 법문, 명상 그리고 음악과 영화가 축제의 주된 내용이다. 올해는 행사 대부분이 온라인으로 치러지는데, 이번 영화제에는 7편의 불교 영화가 초청됐다. 그중 가장 눈길을 끄는 영화는 다큐멘터리 <게셰마의 탄생(The Geshe Ma is Born, 2019)>이다. 

 

| 수행의 길은 여성에게만 다르다?

인도 출신의 마라티 라오 감독은 티베트 승가에서 벌어진 조용하면서도 혁명적인 사건을 영화에 담았다. ‘게셰’란 ‘지혜의 덕목을 갖춘 자’란 뜻으로 티베트 주요 종파인 겔룩파(Gelug)에서 학승이 받는 최고 학위다. 불교학 박사 또는 삼장(三藏) 박사에 해당할 것이다. 17년 동안 강원 교육을 마치고 시험을 통과하면 게셰 학위를 받는다. 이후 2~3년간 공부를 해 스스로 논지를 세울 정도가 되면 ‘하람 게셰’라는 학위를 취득한다. 게셰는 강사, 하람 게셰는 강주 또는 강원장 정도가 되는 셈이다. 게셰를 받은 이들은 한마디로 거의 모든 경전과 논서를 외울 정도로 오랫동안 열심히 공부해 까다롭고 복잡한 시험을 치열하게 통과한 학승들이다. 오랜 세월의 학습 덕에 지혜가 몸에 배어 언행 또한 고요해지고 부처님의 가르침에 어긋나지 않게 된다. 

티베트 승가에서 정규 강원 교육은 전통적으로 남성들에게만 허용됐다. 여성 출가자들이 있음에도 비구니 계맥(戒脈)이 끊긴 관계로 비구니가 아닌 ‘아니 라(Ani La)’, 즉 여성 수행자란 어중간한 호칭으로 불리고 가톨릭의 수녀처럼 보조적인 존재로 치부됐다. 이 같은 경향은 티베트뿐 아니라 전 세계 거의 모든 종교가 갖는 근본적인 문제다. 여성도 똑같은 신의 피조물이지만 원죄의 근원이며, 같은 진리를 향해 나아가지만 깨달음과는 먼 존재로 치부된다. 과연 이것이 올바른 태도일까?  

영화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인 남돌 푼촉 스님은 고향인 티베트에서 불교를 공부하려 했지만 여자라는 이유로 거절당한다. 히말라야를 넘어 인도에 도착한 후에야 강원을 갈 수 있었다. 데릭 왕모 스님은 히말라야를 넘을 때 겨우 글씨를 읽을 수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