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기로운 불교 생활] 우주가 주는 힌트
상태바
[슬기로운 불교 생활] 우주가 주는 힌트
  • 원제 스님
  • 승인 2020.06.23 21: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Hubble Deep Field | 1995

| 허블망원경이 발견한 지구별의 인류

1995년, 천문학자 로버트 윌리엄스는 허블망원경을 이용한 기상천외한 프로젝트를 실행합니다. 이제껏 여러 천문학자는 인류가 만든 13.2m의 정교한 장비를 우주에 있는 별이나 행성, 은하와 같은 천체를 관측하는 데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로버트 윌리엄스는 이와 정반대로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우주의 빈 곳을 들여다보기로 했습니다. 수조 원이 들어간 이 값비싼 허블망원경으로 아무것도 없는 우주의 검은 공간을, 그것도 무려 열흘 동안 관찰한다는 이 계획을 수많은 사람이 반대했습니다. 사람들은 눈에 보이는 것들을 더욱 자세히 들여다보는 데 관심이 있었습니다. 또 눈에 보이는 실적을 요구했습니다. 

그런데도 로버트 윌리엄스는 뜻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만일 이 프로젝트에서 그 어떤 흡족한 결과물도 나오지 않는다면 그는 프로젝트 책임자 자리에서 물러나겠다는 결의까지 보였습니다. 이후 허블망원경의 초점은 그 어느 것도 보이지 않는 우주의 검은 허공으로 향했습니다. 그리고 열흘 뒤, 허블망원경이 우주의 허공을 관찰하고 출력한 사진은 인류를 충격에 빠뜨리고야 맙니다. 

지구에서 보면 기껏해야 바늘구멍 같은 작은 점을 관찰했는데,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그 작은 허공에서 무려 3,000개의 은하가 발견됐습니다. 그리고 한 은하에는 대략 2,000억 개의 별이 속해 있었습니다. 지구는 은하 안의 별입니다. 이 사소하면서도 명백한 사실이 인류를 충격에 몰아넣었습니다.

로버트 윌리엄스라는 천문학자의 안목에 감탄했습니다. 평생 우주를 연구한 사람이 아무 근거나 확신 없이 우주의 텅 빈 곳을 관찰하겠다는 결심을 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인류가 만든 가장 정교한 ‘눈’으로 인류가 보지 못하는 ‘허공’을 들여다보려 했다는 그 안목에 감탄했습니다. ‘눈’에 보이는 성과에 대한 요구가 빗발치던 당시에 ‘허공’을 보기로 결심한 용기가 대단하기도 했습니다. 

바늘구멍만큼 작은 우주의 한 귀퉁이에서 3,000개의 은하를 발견한 그 사진을 통해 사람은 인류를 다시 생각해보게 됐습니다. 우주의 수많은 은하, 이루 말할 수 없는 항하수(恒河水, 인도 갠지스강의 물이라는 뜻으로 무한을 비유)와 같은 별, 그리고 지구라는 단 하나의 별에 아웅다웅 갇혀 사는 우리. 그것은 마치 전부처럼 여겨졌던 우리 존재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 검증이었습니다. 또한 이 드넓은 우주에서 이 먼지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로 작은 지구에 사는 게 인간이라는 사실에 겸허함을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