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지식 탐방] 팔공산 파계사 고송(古松) 큰스님
상태바
[선지식 탐방] 팔공산 파계사 고송(古松) 큰스님
  • 사기순
  • 승인 2007.09.1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교는 범부의 몸으로 성현이 되는 도리입니다.

고송큰스님은 1906년 10월 10일 경북 영천군 신령에서 출생하였으며, 1920년 팔공산 파계사에서 상운(祥雲) 스님을 은사로 출가했다. 석응(石應) 스님께 사집을 배우고 발심, 19세에 양산 통도사 선방에서 정진을 시작으로 금강산 마하연 동지에서 수행정진 하였다. 1923년 용성 스님을 계사로 비구계를 쉬, 1925년 도봉산 망월사에서 30년 결사를 하였다. 방한암 스님께 고송(古松)이라는 법호와 함께 "경도 읽지 않고 좌선도 하지 않으며 말없이 상재하니 이 무슨 종(宗)인고, 풍류 아닌 곳이 풍류가 넘치니 푸른 묏부리에 천년 묵은 고송이 빼어났네(不讀金文不坐禪 無言相對是何宗 非風流處風流足 碧峰千年秀古松)"라는 전법게송을 받았다. 족P종 감찰원장, 파계사 주지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파계사 조실, 조계종 원로회의 의원으로서 중생들에게 잔잔한 수행의 그늘을 드리워주고 계시다.

불두화꽃 이 만발한 파계사 내원 뜨락의 정경은 진정 평화로웠다. 맑고 투명한 산사의 내음, 풋풋한 그 향기... . 92세의 연세가 믿기지 않을 정도로 허리를 꼿꼿이 펴시고 앉아 계시는 고송 큰스님의 적정은 짐짓 경이로웠다.

"큰스님, 큰스님"하며 여쭙자, "큰스님 여기 없소. 키 큰스님은 아랫절에 많이 있을 거요." 일성을 터뜨리신다. "그래 어디서 왔지요?" "서울에서 왔습니다." "서울에서 왔으면 그 전에는 어디서 있었노?" 하시며 빙그레 웃으신다. 그 미소가 너무도 천진했고 그 질문은 또한 너무나 날카로웠다.

"부모미생전(父母未生前)이라, 부모 태어나기 전에는 어디 있었는가. 온 곳도 모르고 가는 것도 모르며 살아가는데 그것만 알면 됩니다."

한 말씀 한 말씀이 자비가 녹아 있는 중생사랑의 법문이었다. 가장 근원적인 문제해결의 말머리인 화두를 주신 스님, 스님께선 이미 주셨지만 그것을 이해하기에는 그릇이 작아서 이러저러 여쭐 수밖에 없었다.

"내 모양이 어디 보이겠나, 제 얼굴도 못 보면서 남의 얼굴을 그려가겠다고. 참말로 웃긴다. 내 말이 중요한게 아니예요. 세월 퍼뜩 갑니다. 공부하세요. 공부는 스스로 하는 거란 말입니다. 밖에 있는 게 아니고 제 안에 있어요. 모두가 부처예요. 알겠어요. 아이고 오늘도 쓸데없는 소리 많이 지껄였네. 저녁공양시간이니 가서 공양 드세요. 찰나찰나가 중요한 겨예요. 이 시간 지나면 다시는 안 옵니다."

하룻밤을 묵으며 가진 스님과의 대화는 이렇게 이어졌다. 우문현답, 진리는 안전에 없고 오로지 목적달성을 위한 어리석은 질문을 해대는 기자에게 스님은 자기 안에 본래 깃들어 있는 불성 드러내는 길을 은연중에 보여 주셨다.

스님께 몇 말씀 더 듣고 싶어 왔습니다.

"내 살림살이 여기에 다 들어 있어요. 볼 수 있으면 보고 가세요. 살림살이 이래 궁색하게 사는데 무슨 할 말이 있겠어요. 저기 저 꽃한테 배우고 가세요. 저 꽃이 지금 한창 만발해 있지요. 저게 영원하겠어요. 아니예요. 며칠 후면 시들기 마련이에요. 꽃이 피고 시드는 것처럼 우리네 인생도 꼭 같아요. 젊을 때 공부해야 해요. 늙으면 몸이 녹슬어서 운동을 하지 않으면 움직이기도 힘들거든요. 공부는 젊을 때 용맹정진해야 하는 겁니다."

스님, 공부방법을 일러주십시오.

"나(我相)를 버리는 공부, 욕심을 버리는 공부를 하세요. 나라는 놈만 끊으면 부천데 그게 쉽지는 않지요. 한번 질이 들으면 죽어도 끊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나에 집착하는 데 사람이 질이 들어서 그래요. 자기 마음을 제대로 바라보면 나와 남이 따로 잇는 개별적인 존재가 아니라 서로 의존해 있는 연기적 존재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지요."

스님, 평생 동안 참선수행해 오신 걸로 알고 있는데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십시오.

"자기 본래면목을 찾는 방법이 참선이에요. 끊임없이 화두를 들고 의심해 들어가다 보면 얻는 게 있어요. 그러나 얻을려고 하면 얻지 못해요. 깨달음 이라는 것도 깨달으려고 하면 장애가 생겨 깨달음은 팔만사천리로 멀어져 갑니다.

모름지기 알음알이를 떨쳐버려야 해요. 참선은 아는 것은 다 버리고 모르는 데로 들어가는 공부예요. 그런데 세상사람들은 다 알라고 설치고 안다고 설치고 제가 옳다고 설치기만 해요. 참으로 자기는 모르면서 참으로 자기를 알 수 있는, 아는 데서 모르는 데로 들어가는 것을 하려들지 않아요. 참으로 모를 때 알아지는 것입니다. 참선은 백날 설명해도 모르는 것이지요. 실제로 하루에 한 시간씩이라도 해보면 차츰 알게 돼요. 참선을 하다보면 마음 자리를 알 수 있고, 번뇌망상이 저절로 스러집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