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광초대석 - 잊지말아요, 4월의 그날
상태바
불광초대석 - 잊지말아요, 4월의 그날
  • 정태겸
  • 승인 2020.04.29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고통은 끝나지 않았다

서울 상수동의 어느 골목이었다. <부재의 기억>을 만든 이승준 감독이 약속 장소로 잡은 공간은 그곳에 있었다. 서울 시내 어느 곳보다도 활력 넘치는 공간, 20~30대에게 가장 각광받는 그 공간에 그가 자리하고 있었다. 아이러니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6년 전, 10대였던 지금의 20대는 또래의 친구들이 세월호 안에서 사그라져가는 걸 목격한 세대다. 이제는 20대로 자라난 그들이 ‘희(喜)’와 ‘락(樂)’을 향유하는 그 자리에서 이승준 감독은 ‘애(哀)’와 ‘노(怒)’의 감정이 뒤범벅된 6년 전 사건을 다큐멘터리로 만들었다. 인터뷰 전, 그 골목에 서서 이 아이러니를 곱씹자니 비로소 희로애락이 이 공간에서 한 몸이 된 것만 같았다.

분명하게 알아야 할 것이 있다. 이승준 감독이 만든 <부재의 기억>은 우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작품이다. 불과 29분짜리 단편 다큐멘터리지만, 미국 아카데미상에 노미네이트되어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는 한국 다큐멘터리 역사상 첫 사례. 대형 사건이다. 온 나라가 <기생충> 신드롬에 빠져 한국 영화의 쾌거를 이야기했지만, 이에 못지않은 또 다른 기적이 있었던 셈이다. 박수받아야 마땅한 이 대형 사건은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 누구도 넘지 못했던 그 문턱을, 이승준 감독은 하물며 세월호의 이야기를 들고 넘어섰다. 수상은 하지 못했다. 유일한 아쉬움이라면 그것뿐이다. 

이승준 감독을 마주하고 앉았다. 이미 이곳저곳에서 반복된 소감보다는 이 작품을 들고 나갔을 때 어떤 생각이 들었는지 궁금했다. 이 감독은 덤덤하게 말한다. “외국 사람들이 세월호 사건의 맥락에 공감할 수 있을까 싶었는데, 너무나 절절하게 공감하는 모습을 보았다”라고. 남의 아픔을 공감하게 만든다는 것, 더구나 그 사이사이에 문화의 차이마저 끼워 넣으면 이는 장벽이 되기 십상이다. 예를 들자면, 이런 장면이다. 이미 우리가 숱하게 봐왔듯, 세월호 희생자들의 장례식은 응축된 분노가 폭발하는 자리였다. 유가족뿐 아니라 많은 사람이 오열했고 분노를 어찌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미국은 그렇지 않다. 장례식에서 감정을 폭발시키지 않는다. 이 두 차이는 냉탕과 온탕만큼이나 정반대의 모습이다. 

세월호를 둘러싼 여과 없는 감정의 표출을 그들이 이해하고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을까. 편집 과정에서 수없이 고민하고 토론해야 하는 지점이었다. 그렇게 지난한 산통 끝에 세상을 향해 내놓은 게 <부재의 기억>이었다. 다행히 걱정은 기우로 끝났다. 국가와 문화의 차이를 넘어서, 가슴을 저미는 우리의 아픔은 바다 건너 그들도 눈물짓게 했다. 세월호 선장이 등장하는 장면에서는 그들도 웅성거렸으며 욕을 내뱉기도 했다. 영화가 끝난 후 발개진 눈에 그렁그렁 맺힌 눈물을 닦고는 이 감독에게 이렇게 말했다.

“우리도 이런 일이 있었다. 국가적인 참사가 있었을 때 정부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해서 국민이 희생당한 역사가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