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불교를 예증하는 화용산 관룡사
상태바
가야불교를 예증하는 화용산 관룡사
  • 관리자
  • 승인 2007.09.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라밀 국토를 찾아서

흔히 우리는 '한국불교 1,600년'이라고 한다. 이는 고구려 소수림 왕 2년(서기 372년)에 전진(前秦)에서 불교를 받아들인 때로부터 기산(起算)해서 그렇게 따지지만 일부에서는 불교의 남방전파설을 주장하며 불교의 전파시기를 약 백년 남짓 이르게 잡기도 한다.

즉 고대의 가야를 통해 불교가 전래 되었다는 설이 그것이다. 가야는 불교적인 통치이념에 의해 발생한 국가로 수로와의 왕비가 돌탑과 결정를 싣고, 스님이었던 오라비를 대동하고 들어옴으로 해서 이 땅에 비로소 불교를 전래했다고 보는 것이다.

지리산 칠불암의 창건설화는 이런 가설을 구체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수로왕비의 오라비가 칠불암에서 수도하는데 수로왕의 일곱 왕자가 모두 그곳으로 출가하여 해탈했으므로 절을 지어 칠불암이라고 명명했다거나 수로왕과 왕비가 그곳까지 찾아가 일곱 왕자를 먼 발치에서라도 보려고 하자 왕비의 오라비가 연못을 파서 왕과 왕비로 하여금 그곳에 비친 왕자들의 모습을 보게 해서 지금도 그 연못이 남아 있다는 것이 칠불암 창건설와의 대략적인 줄거리인데 이 이야기느 훗날 만들어 낸 얘기라고 하기에는 상당히 구체적이고 사실적이다.

하지만 이 이야기 하나만 의지해 불교의 남방전파설을 주장하는 것은 다소 빈약한 면이 있다. 그래서 옛 가야의 터전 어딘가에 남아 있을 가야불교의 유적을 더듬어 본다.

누구나 이런 심정으로 찾아나선다면 그리 어렵지 않게 유추하고 발견할 숭 이쓴 곳이 창녕의 관룡사다.

관룡사에는 가야 불교의 유적이 남아 있다거나 설화가 전래되는 것은 아니지만 절의 창건연대를 기원후 349년으로 표기하고 있는 사기(寺記, 도지방유형문화재 183호)가 남아 있어 고구려의 불교 전래 시기인 372년 보다 20여 년 빠름을 알 수 있다. 이 사기가 기록하고 있는 창건 시기가 학술적으로 고증된 것은 아닐지라도 그 연도가 역시 구체적이라는 점에서 그냥 무시하지 못할 의미가 숨어있다.

칠불암이 가야의 중심에서는 외따로 떨어진 지리산 서쪽 골짜기 안의 이야기라면 창녕의 관룡사는 바로 여섯 가야 가운데 가장 강성했다고 하는 대가야의 영역에 남아 있는 곳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