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암자의 숨은 스님들] 기도는 선(禪)과 같은 것, 하루하루의 약속이다!
상태바
[지리산 암자의 숨은 스님들] 기도는 선(禪)과 같은 것, 하루하루의 약속이다!
  • 이광이
  • 승인 2019.11.06 14: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원사 법원 스님

지리산의 북사면, ‘속(內)지리’를 다니다가 천일 기도를 두 번 한 스님이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 지리산은 남쪽 구례 화엄사, 하동 쌍계사 방면을 ‘겉(外)지리’라고 한다. 남향이라 볕이 양명하여 시고로 절과 중이 많았던 곳이다. 반면 북사면은 볕이 덜 들고 더러 습하고 바람도 차다. 이른 봄 남북으로 성삼재를 넘어보면 그냥 안다. 이쪽이 남원 실상사, 함양 벽송사, 산청 대원사로 이어지는 속 지리다. 암자도 많지만, 당(巫堂)은 더 많았다. 그 당집의 흔적들이 지금도 곳곳에 남아있다. 겉 지리는 ‘대중살이’의 맛이 있고, 속 지리

는 ‘독살이’의 맛이 있다고들 한다. 그래서 그런지 겉 지리 쪽은 큰 절 본사가 2개나 있고, 속 지리 쪽은 암자 토굴이 많다. 1,000일이면 3년에서 석 달 빠진다. 그토록 갈구하는 것이 무엇이길래, 100일도 긴 시간인데 1,000일을, 그것도 두 번씩이나 기도를 올렸을까? 그리하여 영원사(靈源寺)로 간다. 함양 마천 삼정산, 주능선 동향 길에 토끼봉 명선봉 지나 연하천에서 별바위등으로 빠지는 지리산 중북부 능선이다. 절 들어가는 길에 가을이 깊다. 단풍이 제일 빠른 산벚나무는 벌써 나목(裸木)이다. 앙상한 가지만 남아 싸리비를 거꾸로 세워 놓은 것 같다. 갈색으로 변한 참나무 잎들과 누런 은행잎들이 바람에 우수수 지고 있

다. 저런 풍경은 사람을 애잔하게 한다. 절에는 봄에도 가고 여름에도 가는 것이지만, 가을이 깊어질 때 혼자 산길을 걸어 찾아가는 것은 다르다. 그 자체로 하나의 기도처럼 보인다. 법당에 서서 올리는 기도와, 그 경건함에 있어서 무엇이 다르겠는가. 이런 산속의 애잔하고 쓸쓸한 마음을 잘 간직하여 돌아오면, 세상의 어지간한 슬픔 정도는 견뎌내는 힘이 생기지 않을까 하는 것이고, 그 힘은 암자를 향해 가을 산길을 느릿느릿 걸어 올라가는 그런 데서 나온다고 나는 믿는다.

“스님, 기도는 무엇입니까?”

“기도요? 기도가 기도지요. 진짜 기도는 바라는 것이 없어야 돼요.”

영원사 법원 스님. 구(求)하는 것이 아니고, 구하는 것이 아니어야 기도라는 것이다. 불교는 어딜가나 역설이다. 금강경의 어법, 그것이 그것이면 그것이 아니고, 그것이 그것이 아니어야 비로소 그것이라는 말씀. 헛것을 따라 애먼 데로 가지 말라는 뜻이다. 법원 스님은 2011년 해인사 비로전에서 천일기도를 했다. 그리고 법당에서 염불하며 향촉(香燭)을 올리는 노전(盧殿) 소임을 2년 살았다. 그 뒤 다시 천일기도에 들어갔는데 1년쯤지난 즈음에 발령이 나서 영원사 주지로 왔고, 여기서 천일기도를 회향했다고 한다. “기도는 선(禪)하고 같은 거예요. 시작도 없고 끝도 없어요. 발심을 단단히 해서 한 바퀴를 마치려고 기간을 정해서 하는 거지, 사실 1,000일 자체에는 의미가 없어요. 천일기도 우리가 하는 것은 아무것도 아니지, 설산 스님은 건봉사에서 염불만일기도(27년 5개월)를 회향했잖아요? 기도는 뭘 성취하려고 하는 게 아닙니다. 그냥 수행이고 삶인 거예요. 천일기도를 회향하고 그다음 날 다시 천일기도 입재하는 스님도 있잖아요? 안거 끝나고 산철에도 참선하듯이, 하루하루의 약속입니다. 저녁 잘 먹었다고 내일 아침은 안 먹나요?” “하루 종일 기도만 하십니까?”“보통 사분정근(四分精勤)하지요. 새벽예불, 사시예불, 2시예불, 저녁예불해서 하루 네 번 해요. 예불 마치면 다 법당을 나가지만, 기도하는 스님은 보통 한 번에 2시간 정도, 하루 8시간 기도를 합니다. 기도하고 공양하고 기도하고 공양하고 기도하고. 무슨 생각 하냐고요? 아무 생각도 없어요. 화두 들고 삼매에 드는 것과 같아요. 나도 선방에 다녀 봤는데 똑같은 겁니다. 아니 기도하

는 염불선이 좌선보다 훨씬 어려워요. 좌선은 앉아서 졸면 되는데, 서서 염불하다가 졸면 꽈당 넘어지거든….” 영원사는 삼국 시대 영원 스님이 창건해서 영원사인데 그 득도의 이야기가 재미있다. 스님은 지금의 영원사에 토굴을 파고는 8년간 정진했다. 하지만 깨달음을 얻지 못하여 수도처를 옮기려고 산길을 내려간다. 그런데 길가에서 한 노인이 낚시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물도 없는 산중에서 낚싯대를 드리우고 있던 그 노인 왈, “8년간 낚시를 했는데 고기 한 마리를 못 낚았네. 하지만 2년만 더 있으면 큰 물고기를 낚으리라” 하였다. 스님이 이 말을 듣고 크게 깨친 바 있어 다시 토굴로 돌아가 2년을 더 수도하고는 대오했다고 한다. 그리고 절을 지은 것이 영원사다. 그 노인은 문수보살이었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역시 끝에 붙어 사람들의 입을 따라 내려온다. 영원사는 앞으로 도솔암, 뒤로 상무주암을 산내 암자로 두고 있는 천혜의 수도처다. 한때 100칸이 넘는 전각 아홉 채가 늘어선 웅장한 가람으로 속 지리에서 제일 큰 절이었다고 한다. 영원사에는 고승들의 방명록이라고 할 수 있는 ‘조실안록(組室案錄)’이 전해온다. 그것은 부용영관, 서산, 청매, 사명, 지안, 포광 스님 등 당대의 쟁쟁한 선사 109명이 이곳에서 수행했다는 기록이다. 영원사는 스님들의 법명을 적어 병풍으로 만들고는 소박한 조사실 안에 모셔 놓았다. 그 끝부분에 독립 운동가이자 강백으로, 영원사에 출가했던 ‘백초월 스님’도 나온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