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만나는 불교] 우리는 행복한가? / 김천
상태바
[영화로 만나는 불교] 우리는 행복한가? / 김천
  • 김천
  • 승인 2019.08.22 15:54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영화

가장 행복한 나라, 행복 지수가 가장 높은 곳으로 흔히 부탄이 이야기된다. 물질의 풍요가 행복과 반드시 일치되지 않는다는 증례로 부탄, 방글라데시, 필리핀의 국가 행복지수가 우리나라를 포함한 선진국보다 높다는 주장도 있다.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동의하지 않고 있으며 때로는 통계의 오류로 지적되기도 한다. 특히 부탄의 경우는 국가가 국민행복지수라는 것을 정해 자신들이 가장 행복하다고 주장한다. UN에서 올해 발표한 행복 지수 상위의 국가들은 모두 북유럽의 국가들이다. 2013년에 핀란드 출신의 토머스 발머 감독이 제작한 영화 <행복(Happiness)>은 소위 행복한 부탄의 가장 깊은 속살을 보여주고 있다.

80분 남짓한 다큐멘터리 영화 <행복>은 부탄에서도 가장 오지인 라야 마을에서 어머니와 함께 사는 8살짜리 소년 페양키가 출가하는 장면부터 시작한다. 장마가 끝나고 겨울이 시작될 무렵 홀로 아들을 키우던 어머니는 소년을 절로 데려갔다. “출가의 이유가 뭐냐?”는 주지스님의 질문에 “아이가 학교를 싫어한다”고 답한다. 8명이 살던 절은 “텔레비전을 보려고 떠났다”거나 “이런저런 이유로 도시로 가버려서” 이제 막 출가한 페양키를 포함해 3명의 스님이 살아간다. 자신보다 한두 살 정도 더 나이든 사형과 함께 경을 외던 페양키는 가끔 마을 학교로 가서 아이들과 함께 놀다가 돌아온다. “학교는 정말 재미있다”는 것이 그의 이야기다. 결국 그의 어머니가 말한 ‘학교가 가기 싫어’ 출가했다는 이유는 거짓이다.

부탄은 가장 은둔한 국가이다. 1999년에야 인터넷이 보급되고 텔레비전 방송이 허용됐다. 인도와 티베트 국경 히말라야에 위치한 티베트 문화권의 불교 국가로 왕은 용왕의 후손으로 불리고, 국교는 불교이며 현재의 국왕 직메 왕축이 2008년 왕국에서 입헌군주제로 체제를 바꾸었다. 부탄의 왕이 나라 곳곳을 찾아가 국민을 위해 일하는 모습이 미디어를 통해 세상에 전해지고 있다. 부탄은 자연스레 가장 행복한 나라, 사람들은 정신적 가치를 지향하며 빈곤을 극복하고 행복을 느끼는 나라로 선전한다. 그러나 그런 풍문들은 과연 사실일까?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마지막 마을 라야에 전기 시설을 하기 위해 공사가 시작되자 페양키의 삼촌은 야크 소를 팔아 텔레비전을 사겠다고 결심한다. 이웃들은 “텔레비전을 보여주고 돈을 벌 수도 있다”고 부추기고 “이왕이면 큰 거로 사라”고 이야기한다. 그가 어렵사리 사온 텔레비전은 말 등에서 흔들리다가 결국 고장이 났다. 아내는 “쓸데없는 짓을 했다”고 구박하고 그는 “또 살 것이다”라고 대꾸한다. 물질이 행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채우지 못한 욕망은 더 큰 고통을 가져온다. 욕망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불행의 상처도 더 깊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한주영 2019-10-03 18:20:15
글이 참 좋네요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