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나도 모르는 이 감정, 어떻게 할까?] 뇌과학의 관점에서 본 감정
상태바
[특집: 나도 모르는 이 감정, 어떻게 할까?] 뇌과학의 관점에서 본 감정
  • 송민령
  • 승인 2019.07.25 16: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많은 사람이 감정을 불편하게 여긴다. 사회생활에서 감정을 드러내는 것은 세련되지 못하다고 여겨지며, 들쑥날쑥한 감정은 일에 집중하는 데도 방해가 된다. 어떤 상황이건 평온한 마음으로 집중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다못해 회사에서만이라도 감정이 요동치지 않는다면 얼마나 좋을까? 뇌과학(혹은 신경과학)은 뇌를 비롯한 신경계의 구조와 원리를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이다. 신경계가 마음과 가장 밀접한 신체 조직이기에, 신경계를 연구하다 보면 감정을 비롯한 마음의 작동 원리에 대한 이해도 깊어진다. 뇌과학의 관점에서 감정이란 어떤 것인지 살펴보자.

 

몸과 마음

흔히들 감정을 비롯한 정신 활동은 신체와 별개라고 생각하지만, 감정과 신체는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를 극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가 멍게류이다. 멍게류는 어렸을 때 올챙이와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살기 좋은 곳을 찾아 돌아다닌다. 이 시기에는 몸 안에 신경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적절한 곳에 정착하고 나면 모양이 변해서 더 이상 움직이지 않으며, 신경계도 몸속의 지방처럼 에너지원으로 사용해서 없애버린다. 이는 신경계가 움직임과 긴밀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움직이는 동물에게는 왜 신경계가 필요할까? 근육을 사용하면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지만 식물보다 빨리 움직여서 자신에게 유리한 환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자신에게 유리한 환경이란 천적이 없는 안전한 환경이면서 신체적 필요(수분 보충, 에너지 공급 등)를 충족하는 환경이다. 유리한 환경으로 이동하려면, 어느 쪽으로 가면 어떤 환경이 펼쳐질지 예측할 수 있어야 하고 신체의 필요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예측이 어긋났을 때 (예: 갑자기 천적이 나타났을 때) 상황에 맞게 움직여 살아남아야 한다. 이처럼 주변 상황과 신체 상태를 예측하여 적절한 움직임을 만들어내려면 복잡한 정보 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지원하는 신경계가

생겨났다.

 

감정은 상황에 대한 나의 입장과 대응 양식

상황이 나에게 어떤 의미인지 알려주면서, 상황에 맞게 몸의 반응을 준비시키는 것이 감정이다. 그래서 감정은 몸의 반응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다. 2002년 월드컵이나 중요한 시험에 합격했을 때처럼 기뻤던 순간을 생각해보자. 가만히 앉아서 머릿속으로만 ‘기쁘다’라고 생각하면 그건 기쁨이 아니다. 참으려고 해도 자꾸 웃음이 나오고 저도 모르게 소리를 지르게 되는 상태가 기쁨이다. 마찬가지로 ‘무섭다’라고 생각하는 데서 그칠 수 있으면 공포가 아니다. 몸이 굳고 냉정하게 생각하기 힘든 상태가 공포이다. 우울한데 활기차게 움직이는 사람은 없다. 우울하면 침대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뇌 속에서도 감정은 상황이 나에게 어떤 의미인지 판단하고 그에 따라 몸의 반응을 준비시키는 부위들과 관련된다. 예컨대 감정 처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뇌 부위인 편도체는 감정에 따라 신체 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양쪽 편도체가 손상된 환자들은 무서워도 심장 박동이 빨라지고식은땀이 나는 등의 신체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감정과 이성의 통합에 관여하는 안와전두엽은 상황이 나에게 좋은지 나쁜지 알려주고 그에 맞게 선택을 하도록 돕는다. 그래서 안와전두엽이 손상되면, 아침으로 무엇을 먹을지처럼 간단한 결정도 대단히 힘들어진다고 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