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현행자의 목소리] 실상사 : 한국 선불교의 시원
상태바
[보현행자의 목소리] 실상사 : 한국 선불교의 시원
  • 김종학
  • 승인 2007.09.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현행자의 목소리

법화 제일의 근본사상인 제법실상(諸法實相)을 떠오르게 하는 방장산 실상사, 이 땅 선불교의 시원을 만날 수 있는 곳.

신라 홍척증각 대사가 구산선문의 하나를 이곳에서 개산했다. 화엄, 천은, 연곡, 쌍계 등 지리산 내 대찰들이 산지에 자리잡고 있는데, 이 실상사는 주변 산들이 연꽃같이 감싸고 있는 고원평지에 가람이 앉아 있는 것부터가 이채롭다.

창건에 얽혀서 전해오는 얘기로는, 남원 출신인 홍척 대사가 당에서 수학하고 돌아와 이곳에 터를 잡고 우리 땅의 정기가 일본으로 흐르는 것을 막고자 했다고 한다(창건 신라 흥덕왕 3년 AD 828년). 풍수지리상 그 길목이 되는 곳이 바로 이곳이란 얘기다.이 절의 역사와 유서는 보광전 앞 3층 석탑(보물 37호)을 비롯하여 12점이나 되는 보물급 유물들을 보아도 쉽게 알 수 있다.

홍척 대사의 실상사문을 비롯한 구산 선문의 개산은 화엄과 법화 등의 교학중심의 신라 불교가 선 수행 불교로 발전하는 큰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실상사 참배길에는 먼저 실상사 못미쳐 대정리 백장마을 뒷산 중턱에 있는 산내 암자 백장암을 찾아야 한다. 차량도 오르기 허우적거리는 가파른 길을 한참 오르면 송림과 대나무 숲이 울창하게 어우러져 옛가람의 흔적이 역력한 자리에 백장암 3층 석탑과 석등이 각각 국보 10호와 보물 40호라는 대한민국 문화재 관리국이 세워둔 석조문패를 앞세우고 참배온 후손을 맞는다.

백장암 3층 석탑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져 높이가 5 미터에 이른다. 신라탑의 전형을 벗어난 이형(이형)탑의 대표적인 것이라 한다. 낮은 단층의 방형기대석 위에 세워진 탑신과 옥개석은 모두 방형 3층으로 쌓아졌고 목탑형을 기본으로 하였다. 탑신 네 면에는 아래층에는 보살상과 신장상이 선 모습으로 양각(돋을 새김)되고, 이층 탑신에는 천인좌상이 악기를 연주하는 모습(주악천인상)으로 새겨져 있다. 삼층탑신에는 한 면에 한 분씩 천인좌상을 아름답고 섬세하게 새겨 놓았고, 옥개석에는 보살상과 좌우에 비천상이 방금 내려앉은 모습으로 조각되어 있다. 상륜부에 방형의 노반석 위에 복발, 보륜, 보개, 수연 등의 탑의 상륜부 부재가 정연하게 남아 완전한 옛모습을 볼 수 있게 한다.

탑을 우요(오른쪽으로 도는 것)하면서 자비로운 보살의 설법 자리에 무장한 신장이 호위하고 있는 모습을 바라보면 저토록 살아있는 표정, 자비한 모습을 어떻게 화강석에 조각할 수 있을까 하는 경이로움이 앞선다. 이층 탑신의 천인들은 하늘의 노래를 주악(奏樂)하며 하계(중생계)로 내려와 탐, 진, 치 삼독심에 찌든 중생의 고뇌를 순화하려는 것같다. 또한 3층 탑신의 면마다 모셔진 상락아정(常樂我淨)의 열반의 경지에 이른 듯한 평화스러운 천인의 모습은 바라보는 마음을 무아경에 이르게 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