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스크리트로 배우는 불교] 석가모니의 어원과 여러 별칭들
상태바
[산스크리트로 배우는 불교] 석가모니의 어원과 여러 별칭들
  • 전순환
  • 승인 2019.03.27 11:28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역되거나 한국어로 번역된 여러 불전들에는 음역(音譯)되거나 의역(意譯)된 용어들이 상당수 존재한다. 하지만 자주 접하더라도 그러한 단어들의 의미가 정확히 무엇인지 와 닿지 않을 때가 많다. 실제로 한자나 한글로 음역된 용어들은 그 자체로 의미를 갖지 않기에, 원어를 보기 전까지는 들어도 알 수 없는 것들이다. 최근에 한 선생님이 스바하(svāhā)의 음역인 사바하(娑婆訶)가 사바(娑婆)세계의 사바(사하, sahā)와 관련이 있냐고 물은 적이 있다. 동음(同音)이면서 한자가 같기에 충분히 나올 수 있는 질문이지만, 원어를 보면 분명하게 알 수 있듯, 각각은 다르게 발음되며 서로 다른 의미를 나타낸다. 본 칼럼의 연재 취지는 이와 같이 듣고 보아도 알 수 없는 음역된 불교 용어들을 선별하여, 그 어의(語義)를 원어인 산스크리트를 통해 이해할 수 있게끔 돕는 데 있다. 더 나아가 필자가 겪은 지금까지 경험을 비추어 볼 때, 산스크리트를 배우려는 수강자들의 관심은 대부분 원본을 읽어보고 그 의미를 올바르게 음미하려는데 있었기에, 용어들의 의미가 제대로 와 닿게 하여 범본이든 번역본이든, 텍스트를 읽어내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이끄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    불교 경전 - 범본과 역본

불전이라 하면 우리말로 번역되어 있거나 한역된 텍스트를 의미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한국어로 된 불전은 보통 한역본이나 일본어 역본을 번역한 것이고, 이 두 역본은 정확히 어떤 사본들인지는 알 수 없으나 분명 범본을 저본(底本)으로 하여 번역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사실 언어적 측면에서 볼 때, 중국어와 산스크리트는 어족이 다르고, 다른 만큼 언어 체계도 확연히 상이하다. 솔직하게 말하면, 중국어(의 한자)는 범본 텍스트를 번역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언어이다. 만약 한글이 더 빨리 창제되었다면, 우리의 고승 또는 학승들이 불경이 한창 기록되던 당시의 인도에 가서 범본을 직접 보고 우리의 말과 한글로 번역했다면, 현재 우리는 더 나은 번역본을 보며 그 의미를 더 분명하게 이해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드라마나 영화에서나 가능할 법한 이야기이다. 그렇기에 무엇인가 차선책을 찾아야하는데, 찾았다고 말할 수 있다. 왜냐하면 현재의 우리는 원본들에 가깝다고 말하는 산스크리트 텍스트들을 출판물로든 인터넷상으로든 볼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많이 늦었지만, 이제부터라도 범본들이 갖는 의미를 충실하게 반영한 번역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실제로 필자가 경험한 범본 『팔천송반야경』의 경우, 일본어 역본은 표현 방식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한역본이나 영역본과 달리 누락된 부분도 없으며 용어나 텍스트 또한 범본에 충실하게 번역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    불교 용어 - 의역과 음역

일역본과 달리, 우리는 여전히 불전의 용어와 문장을 범본보다 한역본에 따라 말하고 이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산스크리트에 대한 이해의 부족함으로, 특히 한역된 용어들의 경우 그 번역이 소리에 따라 표기된 음역(音譯)이거나 의미를 쫓은 의역(意譯)이라도 그 의미 규정이 분명하지 않거나 잘못된 경우가 적지 않다. 어떤 분야이든 용어들이 등장하며, 이 용어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면, 해당 텍스트의 이해는 어려워지기 마련이다. 15년 전 인도학 관련 한 학술대회에서 만난 모 출판사 직원이 필자에 이렇게 물은 적이 있다. ‘많은 한역 불전들이 범본들을 기저로 한다고 들었는데, 거기에 나오는 많은 단어나 용어들이 무슨 말인지 모르겠고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도대체 그 뜻이 무엇입니까?’ 당시 출판사 직원의 질문에 어느 정도 공감한 정도였지, 불전을 제대로 접해 본 적이 없었기에 제대로 된 답변을 해주지 못한 채 머쓱한 웃음만을 주고받고 헤어졌지만, 이제 필자는 이 자리를 빌려서 이 오래된 기억의 질문에 대한 해답의 여행을 떠나보려 한다. 작은 출발이지만, 불교 용어들과 함께 산스크리트 어원 여행을 떠나 그 본연의 의미를 찾아보려 한다. 알면, 이해가 더 쉬운 용어들이 있다. 알지만, 잘못 알고 있거나 안다고 믿는 용어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자가 선택한 첫 여행지는 인명(人名)이다. 반야부 불전에는 세존과 그 제자들, 팔대보살(八代菩薩), 여래(如來), 천신(天神), 성인(聖人) 등 많은 인물들이 등장하며 반야바라밀다에 대한 담론을 진행해 나아가는데, 인물에 대한 배경 지식만큼이나 인명에 대한 이해 또한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제 여래십호(如來十號)로 불리는 석가모니의 별칭(別稱)들을 대상으로 어원 여행을 시작해보려 한다. 

|    가우타마 싯다르타와 석가모니

많은 사람들이 석가모니(釋迦牟尼)란 이름을 들어보았을 것이고, ‘목표에 이른 자’를 뜻하는 싯다르타의 불명(佛名)으로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불명이 정확하게 어떤 뜻을 나타내는지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 이유는 이 단어가 의미를 이루지 못하는 한자들로 구성된 음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의미를 알기 위해 검색이 필요하며, 사전이나 인터넷을 통한 일반 검색을 해보면, 가우타마 싯다르타(gautama siddhārtha)가 가비라위(迦毘羅衛)로 음역되는 인도의 고대도시 카필라와스투(kapila=vastu)에서 정반왕(淨飯王)으로 의역되는 슛도다나(śuddhodana)의 아들로 태어났고, 출가 후 깨달음에 이른 뒤 석가모니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산스크리트 샤캬무니(śākyamuni)의 음역인 이 명칭이 ‘석가족 출신의 고행자 또는 성자(聖子)’의 뜻이라는 일련의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 우리는 지금 어원 여행을 하고 있기에 “샤캬무니와 관련하여 혹 다른 의미나 해석이 존재할 가능성은 없는 것일까?”라는 궁금함을 가져보며, 전문 검색을 통해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기로 한다. 

샤캬(śākya)는 샤카(śaka)에 ‘지역’ 또는 ‘족’(族)을 나타내는 접미사 야(ya)가 붙어 만들어진 단어이기에 ‘샤카 지역의, 샤카 족의’란 뜻이 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의미인 ‘석가족’이다. 그런데 무니(muni)의 경우 산스크리트 사전들을 들여다보니 ‘고행자, 성자, 수행자’란 일반적 의미들 외에도 유독 다른 한 의미가 눈에 띈다. 그것은 바로 ‘침묵의 맹세를 한 사람’이다. 모든 단어에는 원래의 의미가 있고, 이 의미는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상황에 따라 여러 의미들로 분화되는데, 현재 우리가 보는 사전들에는 오랜 시간 동안 분화되어 축적되어 온 그 모든 의미가 취합되어 있는 것이다. 어떤 의미가 처음이고, 어떤 의미가 이후에 생겨난 것인지를 파악하는 일은 사실상 필자와 같은 어원 관련 전문가의 몫이다. 과연 ‘침묵’이 무니가 가졌던 처음의 의미일까? 이에 대한 답은 기본적으로 산스크리트와 친족 관계에 있는 다른 언어들의 도움을 받은 후에나 가능하다. 과연 무니에 대응하는 형태의 단어를 가진 언어들이 있을까? 그런 언어들의 존재 유무에 따라 해답의 개연성은 높거나 낮아진다. 

어원사전과 전문 서적들을 수소문한 결과, 똑같은 형태는 아니지만, 다른 언어들에서 무니와 어원적 관련성이 높다고 말하는 단어들이 찾아진다. 형용사로서 ‘침묵하는’을 의미하는 희랍어의 뮨도스(μυνδος)와 아르메니아어의 모운즈(mownǰ), 그리고 명사로서 ‘말이 없는 사람’을 뜻하는 체코어(슬라브어파)의 무나(mua)가 바로 그런 단어들이다. 따라서 무니의 원래 의미가 ‘침묵 또는 묵언을 통해 수행하는 자’라는 어원학적 추론을 해 볼 수 있다. 이밖에도 언어 외적인 측면이지만, 그러한 의미의 가능성을 한층 더 높여줄 수 있는 이야기가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나후라(羅睺羅)로 음역되는, 석가모니의 유일한 아들이자 십대제자 가운데 한 사람인 라훌라(rāhula)가 침묵을 원칙으로 수행에 전념했다는 이야기이다. 이 묵언 수행은 아버지의 이름에서도 드러나 있는 것처럼, 석가모니를 따라 행한 수행법이지 않았나 하는 추측을 하게 만들기도 한다. 지금까지의 어원 여행을 종합해 보면, 두 개의 단어로 구성되는 샤캬무니의 일반적 의미인 ‘석가족의 성인 또는 현인’은 ‘석가족의 묵언 수행자’란 어원적 의미에서 출발하여 이르게 된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임성종 2020-03-17 14:46:13
감사합니다. . .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