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처럼 미세먼지가 없는 날이었다. 며칠 만에 보는 파란 하늘을 이정표 삼아 강원도 홍천 백락사로 향했다. ‘주음치리’라는 낯선 지명의 표지판을 따라 몇 분을 더 달려 백락사(百樂寺)에 도착했다. 이름처럼 정말 백 가지 즐거움이 있는 사찰일까(백락사 홈페이지 주소가 www.100-happy.org라는 것이 꽤나 흥미로웠다). 아마 그 백 가지 가운데 하나는 분명 고양이일 것이다. 그렇다. 백락사에는 고양이가 산다. 성민 스님과 함께 살고 있는 백락사의 여섯 마리 고양이는 TV에도 소개된 적 있는 유명 인사다.
기대감을 안고 작은 다리를 건너 절 입구에 막 다다르자 대웅전 앞에서 작고 하얀 동물 하나가 반기듯 뛰어왔다. 순식간에 대웅전 앞 계단을 내려와서는 낯선 방문객 앞에서 배를 보이며 드러눕기까지 했다. 하는 짓을 보고는 처음엔 강아지인 줄 알았다. 그런데 다시 보니 고양이였다. ‘이건 내가 알던 고양이가 아닌데? 고양이라면 낯선 방문객 따위 오거나 말거나 도도하고 기품 있게 앉아 있어야 하는 거 아니야? 혹시 말로만 듣던 개냥이?’ 이런 생각들이 머릿속에 오고 가는 사이 성민 스님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청아!” 자신의 이름을 듣고 강아지를 닮은 고양이가 스님에게 쪼르르 달려갔다. ‘이름이 청이? 효심 많은 고양이인가?’
“하도 멍청해서 이름을 멍청이로 지었어요. 부를 때는 그냥 ‘청아!’라고 불러요. 원래 동물들이 낯선 사람을 보면 경계하기 마련인데, 처음 보는 기자님을 반기는 걸 보니 기자님이 마음에 들었나 보네요. 청이가 사람 관상을 볼 줄 알거든요.”
사람 관상을 볼 줄 아는 고양이라니, 그렇다면 이름을 잘못 지어준 게 아닐까. 멍청이가 아니라 ‘똑똑이’ 같은 이름이 더 어울렸을지도 모르겠다. 어쨌거나 관상 좋은 사람으로 고양이에게 합격점을 받은 것 같아 기분이 좋았다. 백락사 고양이와의 첫 만남, 시작이 괜찮다.
월간불광 과월호는 로그인 후 전체(2021년 이후 특집기사 제외)열람 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어쨌는 하나일이든 날일이든 일락도 좋고
백락도 좋아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