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기신론 입문
상태바
대승기신론 입문
  • 목경찬
  • 승인 2018.12.04 10: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성(佛性)의 믿음으로 가는 길
대승기신론 입문
저작·역자 목경찬 정가 17,000원
출간일 2018-11-30 분야 종교
책정보 입력하세요
구매사이트
교보문고
Yes24
인터파크
알라딘
책소개 위로

“중생의 마음[衆生心] 그대로가 대승이며,
그 마음속에 불성(佛性)이 담겨있다”

대승불교의 진의가 수록된 『대승기신론』 최고의 입문서!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5~6세기경)은 이 대승불교의 이론과 실천 양면을 요약한 문헌으로 중국, 한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의 많은 불교신자들에게 사랑받으며 전폭적인 지지를 받아왔다. ‘모든 중생의 마음에는 본래 부처와 같은 불성(佛性)’이 있다는 여래장(如來藏) 사상과 ‘일체의 현상은 마음에서 일어나는 식(識)의 작용’이라고 주장하는 유식(唯識) 사상이 결합된 내용을 다루는 불교 논서이다. 하지만 논서가 다루는 방대한 대승불교 사상에 비해 짧은 텍스트로 핵심을 응축해 설명하고 있어 불교 교리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으면 이해하기 힘든 부분도 있다. 이 책 『대승기신론 입문』은 불교사에 큰 영향을 준 『대승기신론』을 알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집필한 책이다. 크게 3부로 구성되었으며, 부록으로 『대승기신론』의 우리말 완역을 실었다.

저자소개 위로

목경찬

서울대학교를 졸업한 뒤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에서 유식철학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동국역경원 한글대장경 번역 사업에 참여하였으며, 현재 여러 불교대학에서 불교 교리 및 불교문화를 강의하고 있다. 불교문화 대중화를 위해 한겨레문화센터에서 ‘사찰기행’ 강좌를 열었고, 인터넷 카페 ‘저 절로 가는 사람(cafe.daum.net/templegoman)’에서 사찰 문화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성유식론에서 식의 상호관계 연구」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연기법으로 읽는 불교』, 『유식불교의 이해』, 『사찰, 어느 것도 그냥 있는 것이 아니다』, 『부처님께 다가가는 방법』, 『들을수록 신기한 사찰 이야기』 등이 있다.

목차 위로

제1부 『대승기신론』 소개
 1. 『대승기신론』의 이름 풀이
 2. 『대승기신론』 저자와 역자
 3. 『대승기신론』의 구조와 내용
   1) 『대승기신론』의 구조
   2) 『대승기신론』의 내용

제2부 『대승기신론』을 읽기 전에 알아둘 부처님 말씀
 1. 연기법, 마음 작용 간의 관계
   1) 연기를 보는 자, 법을 본다
   2) 연기의 핵심은 마음이다
   3) 12연기는 마음의 연기이다
 2. 행(行)과 법(法)의 의미
   1) 행은 사물의 운동이 아니라 마음 작용이다
   2) 법은 마음 작용으로 드러난 세상이다
 3. 연기와 열반
   1) 생멸이 사라지면 열반이라?
   2) 연기는 유위법이고 분별이다
   3) 열반은 무위법이고 연기가 아니다
 4. 분별과 무분별지 그리고 방편
   1) 분별을 내려놓고
   2) 열반의 자리에서 법을 설하다
 5. 일체유심조
   1) 마음먹기 나름이라는 착각
   2) 모든 것은 마음에 의해 그렇게 본다
   3) 모든 것은 마음이 실제로 만든다
   4) 유식무경
 6. 마음[식]의 분류, 제8식과 제7식
   1) 제8식의 등장
   2) 제7식의 등장
   3) 여러 식의 관계
 7. 보살 계위[단계]

제3부 『대승기신론』 살펴보기
 1. 삼보에 예를 올리다[귀경게]
 2. 논의 핵심 내용
 3. 논을 지은 인연을 설명하는 부분[인연분(因緣分)]
   1) 논을 지은 여덟 가지 인연
   2) 저술 동기에 따른 논의 특징
 4. 논의 주제를 세우는 부분[입의분(立義分)]
   1) 대승법: 일심(一心) 이문(二門)
   2) 대승의 의미: 삼대(三大)
 5. 논의 주제를 해석하는 부분[해석분(解釋分)]의 구성
 6. 일심(一心)과 이문(二門)의 관계
 7. 심진여문(心眞如門)
   1) 언설을 떠난 진여[이언진여(離言眞如)]
   2) 언설에 의거한 진여[의언진여(依言眞如)]
 8. 심생멸문(心生滅門)
   1) 염정생멸(染淨生滅)
   2) 염정훈습(染淨熏習)
 9. 대승의 의미와 삼대(三大)
   1) 체대・상대를 총괄해서 해석함
   2) 용대의 뜻을 별도 해석함
 10. 생멸문에서 진여문으로 들어감
 11. 그릇된 집착을 다스림
   1) 그릇된 집착과 아견
   2) 그릇된 집착을 다스려 떠남
   3) 그릇된 집착을 마침내 다 떠남
 12. 도에 발심 수행하여 나아가는 모습
   1) 믿음을 성취하여 발심하는 것[신성취발심(信成就發心)]
   2) 이해하고 수행하여 발심하는 것[해행발심(解行發心)]
   3) 증득하여 발심하는 것[증발심(證發心)]
 13. 신심을 닦아 가는 부분[수행신심분(修行信心分)]
   1) 네 가지 믿음[사신(四信)]
   2) 다섯 가지 수행[오행(五行)]
   3) 염불 수행
 14. 이익을 보여 수행을 권하는 부분[권수이익분(勸修利益分)]
 15. 논을 설한 공덕을 중생에게 돌리다[회향게]

부록 『대승기신론』 우리말 번역

상세소개 위로

『대승기신론』이 말하는
중생심 · 불성 · 수행 · 믿음

기원 전후 1세기경, 기존 불교를 출가자와 자리(自利) 중심의 불교라고 비판하며, 재가자와 이타(利他)를 중심으로 인도에서 일어난 불교개혁운동을 대승불교라고 말한다. 『대승기신론』은 이 대승불교의 이론과 실천 양면을 요약한 문헌으로 중국, 한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의 많은 불교신자들에게 사랑받으며 전폭적인 지지를 받아왔다.
이 논서는 인도의 마명(馬鳴)이라는 승려가 저술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중국에서 찬술됐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아직까지 명확하게 저자가 밝혀지진 않았지만, 그렇다고 이러한 논쟁이 『대승기신론』의 가치를 훼손시킬 수는 없다. 원효 스님은 『대승기신론』을 대승불교 사상의 통합을 담은 논서로 높이 평가했다.
『대승기신론』은 ‘모든 중생의 마음에는 본래 부처와 같은 불성(佛性)’이 있다는 여래장(如來藏) 사상과 ‘일체의 현상은 마음에서 일어나는 식(識)의 작용’이라고 주장하는 유식(唯識) 사상이 결합된 내용을 다루는 불교 논서이다.
이 논서의 특징은 “대승은 중생심(衆生心)”이라는 가르침에 있다. 이 말은 『대승기신론』을 관통하고 있는 용어가 ‘마음[心]’이라는 사실을 선언한 것과 같다. 논서는 불성을 지닌 잠재적 부처가 바로 중생이며, 단지 중생의 마음에 번뇌가 쌓여 불성이 드러나지 않을 뿐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불성을 드러내기 위한 실천적 수행을 강조하고, 대승의 믿음으로 향하는 이론체계를 설명한다. 『대승기신론』은 예로부터 일심(一心), 이문(二門), 삼대(三大), 사신(四信), 오행(五行)으로 요약해 왔다. 가장 핵심인 일심을 진여문(眞如門)과 생멸문(生滅門)의 이문으로 설명하고, 여기서 다시 일심의 특성을 체(體), 상(相), 용(用)의 삼대로 전개하여, 궁극적으로 대승에 대한 믿음을 일으키며 나아가 실천적 행을 닦도록 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대승기신론』을 알기 위해 필요한
교리 · 배경지식의 총망라

『대승기신론』은 방대한 대승불교 사상을 다루고 있지만, 그에 비해 문장은 짧고 간결하다. 내용을 응축해 핵심만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교 교리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으면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
오랫동안 사찰 교육기관에서 대중과 함께 공부해오며 누구보다 독자의 눈높이를 고민해온 저자는, 이 책에서도 『대승기신론』의 핵심을 바로 알 수 있도록 적절한 비유와 핵심을 추려 간결하게 구성했다. 크게 3부로 나누었고, 부록으로 『대승기신론』의 ‘우리말 완역’을 실었다.
제1부는 『대승기신론』에 관한 소개로 해제에 해당한다. 『대승기신론』의 이름 풀이, 저자와 역자 및 주석서, 『대승기신론』의 구조, 내용 요약 등의 순서로 서술한다. 제2부는 『대승기신론』을 읽기 전에 알아두면 좋은 부처님 말씀, 즉 교리의 사전 지식을 담았다. 제3부는 『대승기신론』을 저자의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을 재구성하여 핵심을 자세히 설명한다.
이 책은 원문을 해석하고 그에 대한 뜻을 설명하는 기존 방법을 가져옴과 동시에 저자의 해석을 기반으로 『대승기신론』을 조명한다. 그러나 독자를 최대한 배려하여 다소 어려운 용어나 내용은 과감하게 생략해 ‘입문서’로서의 역할을 극대화했다. 여기에 부록으로 ‘『대승기신론』 현대어 완역’을 실어, 책을 순서대로 통독한 후 읽으면 『대승기신론』의 핵심을 파악할 수 있다. 『대승기신론』을 알기 위해 필요한 모든 지식을 망라했다고 보아도 좋으며, 『대승기신론』을 이해하는 최고의 입문서라고 할 수 있다.

책속으로 위로

지금까지 여러 훌륭한 논사들의 『대승기신론』 주석서가 많이 남아있고, 현대 불교학자들의 번역도 많이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일반 대중은 물론 어느 정도 교리를 공부한 이들조차 전문가의 도움을 받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이러한 사정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주로 사찰 교육기관에서 대중과 함께 공부하는 필자로서는 조금이라도 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만 했다. 그래서 원문을 해석하고 그에 대한 뜻을 설명하는 기존 방법을 가져오지만, 『대승기신론』을 필자 나름대로 이해한 뒤 내용을 재구성하여 설명하는 방법을 선택하고자 한다. _5~6쪽

『대승기신론』을 읽는 이가 최소한 『대승기신론』에는 이런 내용이 있구나 하는 정도는 알 수 있도록 서술하고자 노력했다. 하지만 그 작업은 너무나도 어려웠다. 욕심을 버리고 필자 능력 밖의 것을 넘보지 않으면서 과감한 생략, 자세한 설명 그리고 적절한 비유로 조심스럽게 시도해 보았다. _8쪽

『대승기신론』에서 말하는 ‘대승’은 무엇일까. 이 대승은 우리가 상식으로 알고 있는 의미의 대승이 아니다. 가령 ‘대승적으로 해결하자’나 ‘대승적 차원에서 보자’라고 말하는 것처럼 단순하게 ‘전체적인 큰 틀’이나 ‘넓은 마음’의 의미가 아니다. 소승불교와 구분되는 대승불교의 대승에서 우리가 느끼는 ‘큰 가르침’이라는 의미하고도 차이가 있다. 『대승기신론』에서는 “대승은 중생심이다”라는 핵심 주제를 풀이하는 과정에서 대승이라는 용어를 ‘진여’ ‘법신’ ‘여래장’ ‘법계’ ‘일심’ 등의 용어와 동일한 의미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_20쪽

일심인 진여법은 내면에서 끊임없이 신호를 보낸다. ‘이왕 분별하려면 생사의 괴로움을 싫어하고 열반의 즐거움을 좋아하라. 그리고 네 안에 진여가 있다고 믿고, 발심하여 수행하라.’ 진여가 우리로 하여금 좋은 방향으로 분별하고 우리 안에 진여[대승, 불성(佛性)]가 있음을 믿고 나아가라고 영향을 준다는 말이다. 양심의 소리라고 표현하듯이, ‘대승의 소리’라고도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대승이 믿음을 일으킨다’는 뜻이 된다. _21쪽

『대승기신론』의 구분법에는 크게 두 가지 견해가 있다. 원효 스님 등 많은 이들이 귀경게를 서분, 본론을 정종분, 회향게를 유통분으로 구분한다. 이를 전통적인 구분법이라고도 한다. 한편 명나라 지욱 스님처럼 귀경게와 정종분을 제외하고, 본문 가운데 인연분을 서분, 권수이익분을 유통분으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_26쪽

대승불교의 중심 사상은 일승(一乘) 사상이다. 일불승(一佛乘) 사상이라고도 한다. 이 사상은 쉽게 말하면 ‘우리가 바로 부처다’라는 말이다. 이 핵심 내용을 중생들에게 알려주고자 불보살님과 스님들께서 다양한 가르침으로 자비를 베푸셨다. 『대승기신론』 역시 마찬가지로 이렇게 외친다. “당신이 바로 부처님이니, 한번 믿고 제 이야기 좀 들어보세요.” _27쪽

“대승은 중생심(衆生心)”이라는 가르침은 『대승기신론』의 핵심 사상 가운데 하나이다. 이 말은 『대승기신론』을 관통하고 있는 용어가 바로 “마음[心]”이라는 사실을 선언한 것과 같다. 따라서 이 마음을 중심으로 부처님의 주요 가르침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_34쪽

일체유심조는 ‘모든 것은 마음에 의해 그렇게 본다’로 풀이한다. ‘본다’는 말은 ‘인식한다’ ‘이해한다’는 뜻이다. 그리고 이때 그 마음은 ‘저장과 생성’의 뜻을 지닌다. _68쪽

한 걸음 더 나아가 일체유심조는 ‘모든 것은 마음이 실제로 만든다’는 뜻으로 확대된다. 이 부분은 참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부분이다. 이때 마음 역시 ‘저장과 생성’의 뜻이다. _69쪽

능력이 뛰어난 중생도 있고 뛰어나지 않은 중생도 있으며, 자세한 설명을 담은 많은 양의 글을 좋아하는 중생도 있고, 짧은 글에 많은 의미를 담은 글을 좋아하는 중생도 있다. 따라서 이 논은 짧은 글에 많은 의미를 담은 글을 좋아하는 중생을 위해 “여래께서 설하신 광대하고 깊은 법의 한없는 뜻을 총괄하여 담아내고자” 쓴 글이다. 이처럼 짧은 글에 광대하고 깊은 법의 한없는 뜻을 총괄하여 담은 논이기 때문에 『대승기신론』은 결코 쉬운 내용이 아니다. 그러므로 이 논 또한 상황에 따라 여러 스님이 중생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풀이한다. _96쪽

대승의 체가 큰[체대] 이유는, “일체법은 진여로서 평등하여 늘지도 줄지도 않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여기서는 “일체 범부・성문・연각・보살과 모든 부처님에게 증감이 없다. 앞에 생긴 것도 아니고 뒤에 사라지는 것도 아니다. 필경 늘 변함이 없다”고 한다. 같은 말이다. 대

승[진여]의 체는 평등하여 부증불감이며, 무시무종이며, 항상하다. _181쪽

이 논을 지은 이유는, “중생으로 하여금 모든 괴로움에서 벗어나고 궁극의 즐거움을 얻게 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 논을 지은 공덕을 널리 일체중생계로 회향하여 이롭게 하고자 한다…. _243쪽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