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강의실 357호] 무아無我와 자비慈悲
상태바
[불교강의실 357호] 무아無我와 자비慈悲
  • 홍창성
  • 승인 2018.10.26 14: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의가 거듭될수록 학생들은 불교를 철학적으로 더 깊이 이해한다. 대부분 미국학생은 내 강의를 듣기 전까지 불교를 종교로만 여겨 왔다. 그들은 철학으로서의 불교가 동시에 종교도 되는지 궁금하다.

불교는 창조주이고 절대자인 신을 믿지 않습니다. 그런 불교가 어떻게 종교가 됩니까? 그리고 영혼의 존재조차 믿지 않는 불자들이 어떻게 도덕적으로 올바른 삶을 살 수 있습니까?

기독교도가 절대다수인 미국학생들을 가르치다 보면 이렇게 서양적 사고思考에 치우친 질문을 받게 된다. 나는 이 질문에 직접 답하기보다는 질문을 둘로 나누어 에세이 과제로 내준다.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해 보고 깨닫게 하기 원해서 그렇게 한다.

(1) 창조주이며 절대자인 신을 믿지 않는 불교가 종교인가?

(2) 불교는 영혼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면 불자들이 어떻게 도덕적이고 이타적利他的인 삶을 살 수 있는가?

학생들은 이런저런 자료를 찾고 또 서로 토론을 통해 꽤 열린 관점에서 에세이를 쓴다. 첫째 질문은 쉽다. 사전을 찾으면 ‘종교’에 대한 여러 정의定義가 있다. 위대한 성인聖人이 있고 내세來世를 인정하며 도덕률을 제시해서 권선징악의 가르침을 보여주면 종교라고 할 수 있다. 불교는 이를 모두 충족하기 때문에 종교로서의 자격이 있다. 절대적인 신의 존재는 필요조건이 아니다. 지난 10여 년 동안 가르친 거의 모든 미국학생이 불교도 종교라고 인정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