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두, 마음을 사르는 칼]이는 어디에 태어났을꼬?
상태바
[화두, 마음을 사르는 칼]이는 어디에 태어났을꼬?
  • 박재현
  • 승인 2018.10.26 14: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림 : 이은영

에어컨으로도 감당하기 어려운 더위가 겨우 지나갔다. 기상학자들은 ‘북극 최후의 빙하’가 녹아내렸다고 전했다. 그들은 “이례적인 일”이고 “무섭다”고 말했는데, 그 말을 듣는 이들은 정작 별로 두려워하지 않는 눈치였다. 잘 몰라서 두렵지 않은 게 아니다. 모두가 함께 감당해야 하는 두려움은 두렵지 않기 때문이다. 모두에게 똑같이 닥치는 고생이나 불행은 어쨌든 견뎌낼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이 서운하거나 두려운 것은 내게만 닥치거나 나만 감당해야 할 때다. 

위정자들이 민심을 얻는 방법은 간단하다. 사람들이 왜 나만 손해 봐야 하는데, 왜 나만 고생해야 하는데 라는 생각만 들지 않게 하면 된다. 그렇게 하면 살림살이가 팍팍하고 살기가 좀 고생스러워도 사람들은 원망하지 않는다. 전기요금 누진제가 그렇다. 사람들은 우리나라 전기세가 비싸다는 걸 문제 삼는 게 아니다. 가정에만 누진제라는 걸 적용해서 왜 내게만 비싸게 받느냐고 원망하는 거다. 그런 마음의 이치도 모르고 몇 푼 깎아 준다고 대책이라는 걸 내놓으니 사람들의 마음은 이제 딱 한군데로 모인다. “누굴 거지로 아나!”

국민연금도 마찬가지다. 연금 수급 연령을 68세로 조정하려 한다는 말이 돌자 사람들의 마음은 또 나만 가지고 그러는 것 아닐까 의심했다. 그리고 물었다. “군인연금은 이미 45년 전에 바닥났다면서, 군인연금은 왜 나이 상관없이 막 주는데?” 이 질문에 누구도 설득력 있는 대답을 하지 못했다. 만약 군인연금을 국민연금 수준에 맞추어 먼저 개혁했거나, 국민연금을 군인연금에 맞추어 개혁하겠다고 했으면 사람들은 아무도 원망하지 않았을 것이다.

예전의 위정자들은 정책 짜는 것보다 백성의 마음을 살피는 공부에 치중했다. 한가해서 그랬던 게 아니다. 사람에게 ‘나’라는 마음이 이처럼 가까이서 모질고 질기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나’라는 마음은 젖 먹고 자란 것들이 살아생전에, 어쩌면 죽은 이후까지도 짊어지고 가야 하는 숙명 같은 것이다. 마음은 너무 질기고 집요해서 육신이 사라진 다음에도 유령처럼 떠돌다가 윤회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옛날 부처님 시절에 인도 땅에 한 의사가 살고 있었다. 이름이 기바耆婆였다. 동양의 화타에 버금가는 명의名醫였는데, 소리만 듣고도 환자의 병증을 알아내고 치료하는 신통한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하루는 세존께서 그와 함께 무덤 사이를 지나다가 다섯 개의 해골을 보시고, 그중 하나를 두드리면서 말씀하셨다.

“이는 어디에 태어났을꼬(此生何處)?”

기바가 말하였다.

“이는 지옥에 태어났습니다.”

세존이 다시 한 해골을 두드리면서 

말씀하셨다.

“이는 어디에 태어났을꼬?”

기바가 말하였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