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남, 인터뷰] 역사학자 이이화 선생
상태바
[만남, 인터뷰] 역사학자 이이화 선생
  • 유권준
  • 승인 2018.10.26 13: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뜨겁게 역사를 기록해온 사관, 李離和”
사진: 최배문

역사학자 이이화 선생이 불광출판사에서 『이이화의 이야기 한국불교사』라는 책을 냈다. 1995년 『한국사 이야기(22권)』을 펴내 대중역사서의 시대를 열었던 선생은 불교신문에 연재했던 글을 묶어 사상사 중심의 불교사에서 벗어나 민중사, 생활사 관점으로 풀어낸 한국불교사를 담았다. 이이화 선생은 현재 파주 헤이리에 집을 짓고 집필에 몰두하고 있다. 그를 만나 그의 삶과 불교와의 인연이야기, 그리고 책에 얽힌 이야기를 들었다.

교유명야당蛟猶明也堂! 

역사학자 이이화李離和 선생이 살고 있는 파주 헤이리 자택의 당호堂號다. 교유명야蛟猶明也는 선생이 존경하는 네 명의 역사인물의 호號에서 따왔다. ‘교蛟’는 허균의 호 교산蛟山에서, ‘유猶’는 정약용의 당호인 여유당與猶堂에서, ‘명明’은 전봉준의 어릴 적 이름이었던 명숙明叔에서, 그리고 ‘야也’는 선생의 선친 호인 야산也山에서 가져왔다. 선생께 의미를 물었다.

“아웃사이더들입니다. 시대의 잘못된 질서에 저항했었고 차별없는 세상을 꿈꾸셨던 분들이셨죠”

내친 김에 선생의 이름의 뜻도 물었다. 이이화 선생의 이름은 주역의 대가였던 선친 야산也山 이달(李達·1889~1958) 선생이 지었다. 주역의 팔괘중 하나인 이괘離卦에 돌림자인 ‘화和’자를 썼다. 주역의 이괘離卦는 불(火)을 의미한다. 불은 뜨겁고 왕성함을 상징한다. 불의를 참지 못하고, 항상 뜨거운 마음으로 민중의 역사를 살핀 선생의 삶이 이름에 녹아있다.

|    순탄치 않았던 어린 시절

그는 대구에서 태어났다. 한학을 했던 부친에게 한문을 배웠다. 부친 야산也山은 뜨거운 사람이었다. 야산에 관한 일화를 보면 알 수 있다. 강호의 동양학자 조용헌 선생이 중앙일보에 썼던 글을 보자.

일제는 1944년 무렵 부소산의 삼충사三忠祠터에 신궁을 짓기 위한 기초공사를 시작하였다. 일본신日本神을 조선 땅에 이식시킴으로써 영적靈的 차원에서마저 조선을 병합하고 말겠다는 의도가 담긴 공사였다.

조선 주역의 대가이자 조선의 호국신護國神을 신봉하였던 야산 이달은 이 공사현장을 지켜보다 미친 사람처럼 소리를 질러댔다. “네놈들은 상량식上樑式을 하기도 전에 망할 것이다!” 현장에서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는 야산을 일본 경찰이 잡아다 취조하였지만 광인으로 판정되어 곧 풀려날 수밖에 없었다…(중략)… (1945년) 8월 13일 (경남 산청) 화계리 주막집에 머물렀던 야산 일행은 다음날인 14일 경북 문경군 문경읍 문경리로 이동한다. 왜 문경입니까? 하고 제자들이 물으니, 야산은 “경사스러운 일을 듣기 위해서는 문경으로 가야 한다”는 대답을 하였을 뿐이다.

문경聞慶이라는 글자 자체가 ‘경사스러운 일을 듣는다’는 뜻이 아닌가. 14일 저녁 문경리에 도착한 야산은 그 제자들에게 잔치판을 벌이라고 명령했다. 문경리의 촌로들을 모아놓고 닭고기와 술을 대접하는 춤판을 벌인 것이다.

야산은 “오늘같이 기쁜 날, 내가 닭춤을 한번 추겠다”고 하면서 멍석 위에서 덩실덩실 춤을 추는 것이 아닌가. 내막을 모르는 제자들은 “우리 선생이 진짜로 돌았나 보다” 라고 생각하면서 걱정스러운 표정으로 스승의 닭 춤을 구경하였다. 한판 신나게 놀고 난 다음날 8월 15일이 밝았다. 그날 해방이 되었음을 알았다.(중앙일보 2004년 4월 8일자)

부친은 신식학교에 가면 서양식으로 세뇌가 된다면서 자식들을 학교에 보내지 않았다. 하지만, 야산도 뜨거운 사람이었지만, 이이화 선생도 뜨거운 사람이었다. 이이화 선생은 학교에 보내주지 않는 부친을 떠나 가출한다. 그의 나이 15살이었다. 

집을 떠난 그는 부산과 여수의 고아원을 전전했다. 그러다 전남 광주의 명문이었던 광주고에 입학한다. 그는 광주고에서 낮에는 학교에서 학예부장을 하고 저녁에는 여관에서 일을 했다.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에는 셰익스피어나 톨스토이, 카뮈의 작품을 읽었다. 선생은 2층 서재에서 당시 썼던 ‘까뮤와 창조적 윤리’라는 글을 보여줬다. 누렇게 바래고 으스러지는 책속에 선생의 소년시절이 담겨 있었다.

 

|    「불교시보」 에서 기자생활도

광주고를 졸업한 선생은 문청文靑의 꿈을 안고, 서라벌 예대 문예창작과에 입학한다. 동국대 총장을 지낸 홍기삼, 소설가 김주영, 천승세, 시인 이근배와 함께 학교를 다녔다. 

“돈이 없어 해보지 않은 일이 없어요. 술집 웨이터에 보험 외판원 등을 전전했습니다. 명동에서 군밤 장사도 했는데 삼일빌딩 뒤에 리어카를 숨겨놓고 밤이 되면 명동으로 가 군밤을 팔았죠. 한번은 한옥집에 빈대약을 뿌려주는 일을 했는데, 약을 뿌리다 쓰러져 죽을 뻔한 적도 있었죠. 또 가루치약을 기차에서 팔다, 불량배들에게 끌려가 모든 것을 빼앗긴 적도 있었어요. 세상이 두렵고 무서운 시절이었습니다.”

생활고로 대학을 중퇴한 그는 당시 을지로 입구 지금의 롯데호텔 주차장 자리에 있었던 국립도서관을 제집 드나들 듯 했다. 고교시절부터 문학에 심취해 문학평론을 하고 싶었지만, 이곳에서는 역사책에 빠져들었다. 그러던 그에게 불교와의 인연이 찾아왔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