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위의 마애불] 홍성 용봉사마애불입상과 신경리마애석불입상
상태바
[길 위의 마애불] 홍성 용봉사마애불입상과 신경리마애석불입상
  • 이성도
  • 승인 2018.09.28 17: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성 용봉산에서 내포신도시를 굽어보는 두 마애불을 만나다
사진 : 최배문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충청도에서는 내포內浦가 가장 좋은 곳이다”라고 했는데, 가야산의 앞뒤에 있는 열 고을을 일컬어 내포라고 한다. 예산, 당진, 서산, 홍성 등이다. 이곳은 구릉 같은 야산과 함께 평평하고 넓으면서 기름진 땅과, 소금과 물고기가 많아 대를 이어서 사는 사대부들이 많았다. 조선시대에는 한양에서 가깝고 풍토와 지리적 조건이 좋아 재경在京의 벼슬아치들이 많이 살았다. 당시에는 홍주목이 지역의 중심이었지만,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항만과 산업이 발달한 당진과 서산이 부상했다. 또한 충남 행정 중심의 내포 신도시 조성, 장항선 복선 전철화 및 서해선과 익산문산고속도로 등 주변 발달이 기대되는 곳이다.

홍성 용봉산은 381미터의 낮은 산이지만 비산비야인 내포일대의 우뚝한 홍성의 진산이다. 내포 신도시를 굽어보는 용봉산은 용의 몸체에 봉황의 머리를 얹은 형상이다. 용봉산 정상에서 굽어보면 내포 신도시가 한눈에 들어온다. 충남 도청을 비롯한 주요 기관들이 발아래에 있다. 이제 용봉산은 내포 신도시의 진산이다. 용봉산은 크고 작은 바위들이 소나무와 어우러져 암산의 기품을 드러내고, 용봉사는 산의 중턱에 자리 잡고 있다.

 

홍성용봉사마애불입상은 일주문 왼편 위쪽 바위 면에 돋을새김으로 만든 통일신라시대 작품이다. 실제 인체보다 조금 큰 마애불은 큰 절벽의 바위 면이 세모꼴로 떨어져 나간 곳에 감실형으로 쪼아 양각으로 새긴 불상이다. 230cm(현재의 높이 210cm)의 불상은 머리 부분을 고부조로 표현하고 하체로 내려갈수록 저부조로 표현하고 있다. 

머리 정상부는 육계가 펑퍼짐하게 낮으며 육계와 머리는 선으로 구별 짓고 있을 뿐, 나발이 없는 맨머리(素髮)다. 목은 짧고 세 줄의 삼도三途가 있다. 불두가 큰 데 비하여 어깨, 팔, 다리의 비례에서 자연스러움을 잃어 불신이 평면적이면서 경직되어 보인다. 전체적으로 대장부의 균형 잡힌 건장한 몸매가 아닌 어린이나 노인처럼 유약해 보이면서 천진스럽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