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강의실 357호] 미국 대학생들이 보는 불교의 문제
상태바
[불교강의실 357호] 미국 대학생들이 보는 불교의 문제
  • 홍창성
  • 승인 2018.09.03 14:02
  • 댓글 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는 지난 일 년 동안 학기마다 강의의 약 2/3 정도를 마쳤을 때 일부러 시간을 내어 학생들에게 불교에 대해 가진 의문점이나 비판할 것들을 솔직히 말해 보라고 부탁했다. 그동안 강의교재를 읽으며 좋은 점은 지루할 정도로(?) 충분히 논의했으니 이제 좀 솔직히 흉도 보는 시간을 갖자고 제안했다, 그래야 모두가 불교에 대해 더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질 수 있고, 또 그래야 불교공부가 더 재미있을 것이라고 하면서. 코멘트를 유도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먼저 중국 송나라 성리학자 정이Cheng Yi가 거의 천 년 전에 불교에 흠집을 내려고 쓴 글을 보여주었다.

“사람은 살아있는 존재다. 그런데 불교도들은 삶이 아니라 죽음을 이야기한다. 사람의 일이란 모두 눈에 보이는 것들이다. 그런데 불교도들은 분명한 것이 아니라 감춰진 것을 말한다. 사람이 죽으면 귀신이라고 불린다. 그런데 불교도들은 사람이 아니라 귀신에 대해 거론한다. 사람이 피할 수 없는 것은 일상(평상, 평범)의 도道인데, 불교도들은 일상이 아니라 굉장한 것을 말한다. 일상을 일상이게끔 하는 것은 원리(理)인데, 불교도들은 원리가 아니라 환상을 논한다. 우리는 출생과 사망 사이의 시간에, 즉 삶에 마음을 기울여야 하는데 불교도들은 현생이 아니라 전생과 내생을 이야기한다. 보고 들음, 생각과 토론이 제대로 된 증빙證憑들인데, 불교도들은 이들을 참되다고 간주하지 않고 눈과 귀를 통해 얻을 수 없고 생각과 토론이 닿을 수 없는 것들을 말한다.” (한문 텍스트를 구하지 못해 영어로 번역된 것을 다시 한국어로 번역하느라고 어색한 곳이 많아졌다.)

중국에도 이렇게 오래전부터 불교에 대해 참혹할 정도로 비판적인 논의가 있었다는 점을 소개하면서 내 미국 학생들도 한번 불교의 문제점을 논의해 보자고 제안했다. 꽤 여러 코멘트를 받았는데, 네팔과 몽골 그리고 일본에서 유학 온 너무 공손한 학생들은 한 마디도 안하고 비판적이고 공격적이며 도전하기 좋아하는 (그래서 가르치기 신나는) 미국 학생들이 여러 문제를 지적해 주었다. 

이때 나는 학생들이 제기하는 비판에 대해 그 자리에서 반박하려 하지 않고, ‘고맙다’고 말하며 열심히 받아 적기만 한다. 내가 20여 년 전 대학원생 시절 당시 심리형이상학 분야 세계 최고 권위자였던 내 지도교수님으로부터 배운 지혜 가운데 하나는, 사람들이 비판적 논점을 제기해 올 때 그 자리에서 지지 않겠다고 싸우려 하면 안 되고, 그것을 겸허히 그리고 감사히 받아들이고 나중에 논문에서 그것을 다루며 긍정적인 논의의 자료로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나도 학생들의 논점을 하나하나 반박해 불교를 옹호하려 하지 않고, 그 대신 고맙다고 하면서 그들의 코멘트가 내 공부를 위해 도움이 될 것이며, 또 한국의 불자들에게도 전하겠다고 말해 주었다. 그러면 학생들은 신이 나서 이야기를 더 잘하고 수업이 끝나면 밝은 표정으로 강의실을 나선다. 두 학기 동안 제기된 문제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았다. 

(1) 왜 쇳덩어리 불상에다 그렇게 절을 하는가. 혹시 절하는 행위에 어떤 긍정적인 효과가 있더라도, 굳이 우상숭배라는 소리까지 들어가며 그렇게 해야 할 필요가 있는가.  

(2) 불교는 너무 허무주의적인 것 같다. 삶이 고해苦海이고 모든 것이 환상이며 또한 공(空 empty)하다고 하는데, 왜 삶과 세계를 꼭 이렇게 염세주의적(pessimistic)으로만 보아야 하는가? 반쯤 빈 술병을 보고 “아, 벌써 술이 반밖에 안 남았네.”라고 한탄할 것이 아니라, “와, 술이 아직도 반병이나 남아 있구나!”라고 낙천적으로 생각하는 편이 좋지 않은가.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6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올바른 속 이 해 2018-09-11 19:46:06
동양은 인간이 말을 할 때 그 마음을 보지 말만 듣지는 않는다.
반면, 서양은 말만 듣지 그 마음을 보지않는다
그래서 그 문화가 탐을 본질로...

이미희 2018-09-06 18:13:48
너무나도 같은 마음 입니다 종교적인 폐쇄성이 드러나는 곳이 특히 불교인듯요 다 돈으로 쳐바르고 제대로된 가르침은 없어요

배문희 2018-09-12 13:59:35
불교의 무아론은 나라고 할 것이 없다.는 것이지..
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즉, 내가 고정된 실체가 있는게
아니라는 겁니다.

예를들어 한 아이의 엄마이고, 직장에서는 상사도 되고,
아랫사람도 되고.. 이렇게 인연 지어진 것에서 이름이
붙는 것이며, 내가 '고정되어 있는 무엇이다' 라고
주장하는 순간 어긋난다는 것을 이야기 합니다.

저도 처음엔 참 어려운 종교 였는데, 배우면 배울수록
이렇게 과학적이고 심플하게 마음을 바로 보여주고 알려
주는 종교도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럴수있어 2018-09-12 14:06:57
대부분 아시아권 문화에 대한 이질감과 불교에 대한 피상적 이해로부터 기인한 질문들이라고 봅니다. 초심자가 할만한 질문들이고 공부와 수행이 익어가면 모두 답을 찾을 수 있는 질문들입니다. 다만 상좌부, 대승 등 불교 종파마다 가르침이 다르고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길잡이가 되어줄 스승과 경전을 찾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그럴수있어 2018-09-12 14:22:05
초심자에게는 경장보다는 잘 구성된 교리서나 논장부터 공부하는 것이 공부의 뼈대를 세우는데 도움이 되리라 봅니다. 유교에서 "삼강령팔조목"이란 요점을 밝힌 <대학>을 가장 먼저 배우는 것처럼 말이죠. 대승불교를 공부하는 이에게는 <대승기신론>, <선종영가집>이나 <입보살행론(입보리행론)>,<보리도차제론(람림)>을 추천드립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