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두, 마음을 사르는 칼]산에서 온 편지
상태바
[화두, 마음을 사르는 칼]산에서 온 편지
  • 박재현
  • 승인 2018.05.30 14: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일’을 궁금해 하는 이들에게
그림 : 이은영

옛 선인들은 방 한구석에 커다란 나무 상자를 놓아두었다. 종이가 귀하고 구하기 어렵던 시절에도 그들은 편지를 쓸 때면 꼭 두 벌을 썼다. 하나는 인편에 보내고 다른 하나는 글 상자에 보관했다. 인편으로 보낸 편지를 수취인이 받아 읽고 답장을 보내오면, 답장도 상자 속으로 들어갔다. 누군가에게 편지를 받을 때도 마찬가지다. 답장으로 반드시 두 벌을 썼다. 답장 역시 한 벌은 인편으로 보내졌고 다른 한 벌은 상자 속에 보관되었다.

복사기가 없던 시절에 주고받은 글들은 그렇게 상자 속에 차곡차곡 쌓였다. 편지를 보낸 이는 보낸 이 대로, 받는 이는 받는 이 대로 보관했다. 편지뿐만이 아니다. 남의 애경사에 적어 보낸 글도 있었고 시詩나 짤막한 수필 형식의 글도 있었다. 상자의 주인이 세상을 떠나고 나면 남은 이들은 상자를 열어 쌓인 글 뭉치를 정리했다. 추슬러진 글은 문집文集으로 묶였고 각수刻手를 고용해서 한 장 한 장 목판에 새겨졌다.

기록한다는 것은 그런 것이었다. 편지를 받아들 사람을 떠올리며 한 자 한 자 적어나가고, 그 마음이 사라지는 게 못내 아쉬워 한 벌을 더 남겨 못난 기억을 대신했다. 먼 훗날 편지를 주고받은 이들이 모두 세상을 떠나도, 그 마음과 기억은 글자 속에 남아 영속하기를 고대했으리니, 그래서 글은 모질고 질기게 읽는 이의 마음속을 깡그리 헤집어 놓았는지도 모른다. 아, 글이란 본래 그러한 것이었던 모양이다.

 

대혜의 편지글은 어렵다. 대혜종고(大慧宗杲, 1089 - 1163)라는 인물 자체가 워낙에 박식한 사람이었다. 게다가 천년도 더 된 옛글인 데다 선문禪門의 안쪽에서만 쓰이는 말귀가 많아 낯설고 어렵다. 이런 말귀들이 어쩌다 한 번 나오는 게 아니라, 한 줄에도 몇 번씩이나 나온다. 그래서 말귀를 놓치지 않고 다 따라가려고 하면 지레 지쳐버린다. 당시 사람들끼리는 흘리듯이 말해도 서로 알아들었을 것이다. 말을 하다가 관둬도 숨은 말귀를 짐작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이제는 안 된다. 옛말 사전을 옆에 두고 한 자 한 자 꿰맞춰도 말이 안 된다.

대혜의 어록 총 30권 가운데 왜 하필이면 편지글인 『서장書狀』이 한국불교에 전폭적으로 수용되었을까? 고려의 지눌(知訥, 1158 - 1210) 선사가 남긴 말에서 단서를 찾을 수 있다 그는 “『단경』을 스승으로 삼고 『서장』을 벗으로 삼았다”고 했다. 여기서 스승과 벗이라는 은유의 차이가 절묘하다. 선의 본령을 밝힌 문헌은 『육조단경』을 필두로 해서 차고 넘친다. 그 책들은 때로는 높고 먼 산인 듯도 싶고, 넓고 깊은 바다인 듯도 싶고, 알다가도 모를 남의 속내인 듯싶기도 하다. 하지만 『서장』은 오랜 동무처럼 편하고 가깝게 대할 수 있는 책이었다는 말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