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보살행론] 공경과 헌신
상태바
[입보살행론] 공경과 헌신
  • 재마 스님
  • 승인 2018.01.02 1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리심을 보호하는 마음 코끼리 길들이기 3

聞 

큰 축복은 세 가지 복전에서 나오나니 공덕의 복전(경전敬田-삼보)과 은혜의 복전(사전思田-부모)에 헌신하고 고통받는 중생(비전悲田)들에게 공성의 지혜를 가르쳐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 주는 것이라네. 부처님의 가르침을 제대로 수행하려면 그것을 분명하게 이해하여 악행을 하지 않고 선을 행함에 능숙하고 깊은 신심이 있어야 하고, 다른 사람을 볼 때마다 내가 부처님의 깨달음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은 이 중생들 덕분이라 생각하고 그들을 자비심으로 바라보아야 한다네.(5:80~82)

思 

우리는 복을 많이 받고 싶어 합니다. 이제 곧 새해가 시작되면 서로 나누는 인사도 “복 많이 받으십시오.”입니다. 요즘은 “복 많이 지으십시오.”라고도 합니다. 우리는 복을 어디서 어떻게 지을 수 있을까요? 복福은 ‘아주 좋은 운수’, ‘큰 행운과 오붓한 행복’이라는 사전적인 뜻을 갖고 있습니다. 복福이라는 한자는 ‘시示’와 ‘복畐’이 합쳐진 문자로 ‘시示’는 하늘이 사람에게 가르치고, 알리고, 보인다는 뜻이고, ‘복畐’은 배가 불러 오른 단지를 표현한 상형문자로 가득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복은 이 두 글자가 합쳐져 인간을 넘어서 초월의 힘을 입은 운과 넉넉함이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샨티데바 스님께서는 큰 행운과 오붓한 행복을 가져오는 공덕의 밭을 셋으로 들고 있는데요, 삼보三寶와 부모, 그리고 고통받는 중생들입니다. 이 세 가지 복 밭은 공경과 헌신과 연민의 마음으로 가꿀 수 있다고 합니다. 초기경전 『상윳따니까야』 「알라와까 경」에서도 “삼보께 대한 믿음이 인간의 으뜸가는 재화이며, 법을 잘 닦아야 행복이 온다.(S10:12)”고 전하고 있습니다. 『앙굿따라니까야』 「재산경」(A7:5~6)에서는 7가지의 재산이 믿음과 계, 양심, 수치심, 배움, 베풂, 통찰지라고 설하는데 여기서도 가장 먼저 등장하는 것이 삼보께 대한 믿음입니다.

두 번째 복전은 은혜의 밭인 부모님입니다. 『상윳따니까야』 「진리 상윳따」에서는 이렇게 말씀합니다. “어머니와 아버지를 존중하는 중생들은 적고, 어머니와 아버지를 존중하지 않는 중생들은 많다.(S56:66)” 『앙굿따라니까야』의 「바탕경」의 “은혜를 알고 은혜에 보답하는 것이 참된 사람의 바탕(A2:4:1)”이라는 경구들은 예나 지금이나 부모님의 은혜를 갚는 것이 쉽지 않은 일임을 보여줍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