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덕전등록
상태바
경덕전등록
  • 관리자
  • 승인 2007.08.0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전해설(禪典解說)

  신선풍(新禪風)의 싹틈

  이 문답은 「전등록」과 「조당집」과는 약간 다르다. 즉 「전등록」에는 조사가 말하기를, 「그대는 심히 무생(無生)의 뜻(意)을 얻었다. 분별도 또한 뜻이 아니다」라는 부분이 「조당집」에는 전반(前半)의 문답에서 「朝曰 如是如是」의 앞에 들어가 있는 것이 그것이다. 그런데 이는 어느 편이건 별로 문제는 없다.

  현각이 처음 6조를 뵈었을 때, 이름도 대지 않고 어디서 왔는가의 물음에도 대답하지 않고 더구나 가르침을 청하는 태도가 없었다는 등 상식적으로는 의문될 여지가 있다. 그런데 후세의 선종에서 일반화되고 있는 이러한 몰상식한, 사람의 의표(意表)를 붙인 언동은 6조의 제자들 시대에는 이미 있었다고 봐도 좋다. 우두(牛頭)계의 선객에는 특히 그렇게 말한 태도가 많았고, 마조가 남악의 내방(來訪)에 일고(一顧)도 하지 않았다는 태도나 남악의 마전(磨전)도 그러하다.

  현각과 6조의 초대면은, 현각이 31세 때였다. 어려서 불문에 들어가 천태학을 연구하여 지관(止觀)에 마음을 경주하고, 선에 대해서는 북종 신수에게서 배우고 동양(東陽)과 교우한 현각으로서는 31세 때이며 선(禪)에 조예가 깊었을 것이다.

  송나라 혜홍각범(慧洪覺範, 1071~1128)이 쓴 「임간록(林間錄)」에 6조를 처음 보기 이전에 이미 현각은 「유마경」에 의하여 불심종(佛心宗, 선종)의 뜻을 자득하고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31세라는 객기(客氣) 왕성한 현각으로서 감히 6조의 역량을 시험해 봤으리라고 짐작이 충분히 간다.

  선승들이 석장을 휘두르며 조실 스님이 앉은 주위를 3잡(三잡, 세 번 도는 것)하고 탁연히 그 앞에 서서 상견하는 풍습은, 마조하의 마곡보철(麻谷寶徹)이 같은 마조하의 장경회운(章敬懷운, 756~815)에 상견하여 위의 행작(行作)을 했고, 또 마조하인 남전보원(南泉普願, 748~834)에 알현했을 때도 위의 행작을 했다는 일화가 있다.

  어쨌든 이러한 비상식이라고 할 즉물적(卽物的)이고 초논리적(超論理的)인 언동은 이 때로부터 점차 많아졌고, 급기야는 그것이 중국 선종의 종풍을 형성하는 중대한 요소가 되었다.

  북종(北宗)의 배격

  서경(西京, 장안) 하택사(荷澤寺)의 신회선사는 양양(호북성 양양현) 태생이다. 속성은 고(高)씨로, 14세 때 출가하여 사미가 되었다. 그때의 수업사(受業師)를 「송고승전(宋高僧傳)」에 국창사의 현원법사(顯元法師)로 전하고 있으나 상세한 것은 잘 모른다. 또 출가한 후 얼마 안 되어 6조의 문을 두드렸다는 인상을 받으나 실제는 34세 때로 보고 있다. 출가하여 6조 문하에 들어가기 까지 20년간의 수행에 대해서도 신수(神秀)에 입참(入參)한 3년을 제하고는 그 다음 일은 전혀 모른다. 신회가 신수 문하에 있던 시기는 698~701년의 3년간이고 701년(大足元年) 후는 6조 문하에 있었으리라고 본다.

  초대면 때, 6조가 일문을 던졌다. 『선지식이여, 멀리서 오느라고 수고가 많았겠군. 그런데 불법의 근본의를 회득(會得)하고 왔는가. 만약 회득하고 있다면 당연히 자기 심성은 철견하고 있을 테지. 그것을 말해 보라. 내가 점검하리라.』

  『무아(無我) 인연소생의 제법에는 조금이라도 편견 망집을 품지 않은 무주(無住)라는 것이 근본의와 심득(心得)입니다. 따라서 자기 심성도 철견하고 있습니다.』

  신회가 이렇게 대답하자 6조는 갑자기 큰 소리내며, 「이 쥐새끼 같은 놈, 알지도 못하는 주제에 어떻게 그렇게 잘 지껄이느냐」라고 일갈(一喝)하고 죽장으로 신회를 몹시 쳤다. 신회는 아픔을 참고 생각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