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와 붓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혁명가, 붓다
상태바
[나와 붓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혁명가, 붓다
  • 김성동
  • 승인 2016.05.17 2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광수 교수

이광수 교수(부산외대 인도학부, 58)는 역사학자다. 인도 델리대학교 대학원에서 인도 고대사를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논문을 쉽게 풀어쓰고, 한국 사회 문제를 함께 이야기해서 쓴 책이 2013년에 나온 『슬픈 붓다』다. 그에 따르면 별로 팔리지 않았다고 한다. 그는 불교 신자가 아니다. 그렇다고 타 종교인은 더욱 아니다. 종교인도 아니고, 철학자도 아닌, 역사학자의 눈으로 붓다를 본다. 때문에 그가 붓다를 바라보는 눈은 마치 사진을 찍듯 ‘고타마 붓다’를 ‘있는 그대로’ 본다. 그를 인터뷰하려는 이유다. 불교인의 시선이 아닌, 종교인의 눈이 아닌, 역사를 다루는 사람은 실존 인물로서의 붓다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 2천 7백 년 전 불교를 세상에 보여준 인간, 역사인 붓다의 모습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그는 어떤 사람이었고, 어떤 삶을 살았고, 무엇을 가르치고, 어떻게 행동했는가? 그는 인터뷰 전에 “스님들이 나의 불교에 대한 생각을 불편해한다.”고 말했지만, 인터뷰 내내 그는 불교계에 적지 않은 애정과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역사학자가 본 붓다. 이번 인터뷰 주제의식이다.

 

- 싯다르타의 출가 이유를 사문유관四門遊觀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데, 교수님은 이렇게 이해하는 것을 ‘역사에 무지하기 때문’으로 판단한다. 출가 이유가 사문유관이 아니라면 무엇인가?

“붓다는 인류 역사상 가장 혁명적인 분이다. 어느 날 병들고 죽는 모습을 보고 출가했다는 것은 붓다에 대한 모독이다. 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장면일 뿐 역사적 사실과는 거리가 멀다.”

 

- 경전에는 그렇게 기술되어 있다.

“(후대의 불교인들은) 붓다의 애민정신, 인간에 대한 존중, 사회 혁신, 사회적 고민 등의 모습을 굳이 경전에 옮길 필요가 없었다. 싯다르타가 어렸을 적부터 봤던 것은 사람들의 끔찍한 모습이다. 사람이 죽고, 병들고, 이를 누구도 돌보지 않는다. 또 위에서 군림하고, 때리고, 전쟁도 난다. 이런 모든 것들이 괴로운 것이다. 근본 원인이 무엇인가? 사료를 볼 때 붓다는 제일 경계했던 것이 ‘제사’다. 제사는 블랙홀이다. 제사는 당시 최고의 의례 행위였다. 제사에 소를 바친다. 소는 제사장인 브라만에게 간다. 누가 바치는가? 평민인 바이샤다. 때문에 평민으로 생산을 담당하는 바이샤 계급들은 괴롭다. 또 바이샤가 내는 세금이 나오지 않으니까 끄샤뜨리야도 괴롭다. 붓다는 제사를 반대했고 브라만을 부정한다. 오죽했으면 평민들에게 ‘소를 뺏기지 말라’고 했겠는가. 소를 뺏기니까 가난해진다고 했다. 붓다는 모든 악의 근원은 가난, 제사, 전쟁 등에서 나오며, 사람이 재물에 대해 명민해야 한다고 했고, 재물을 지킬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경전의 사문유관은 붓다가 당대 모든 사람들의 괴로움을 보면서, 그때의 마음 상태를 상징적으로 기록한 것이다.”

 

- 붓다는 왜 출가했는가?

“당대 사람들이 처해있던 사회, 경제적인 고통의 상황 속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출가했다. 세상을 버리고 출가한다는 것은 유일하게 인도에서 나온다. 당신 인도에서 제사 전통은 이미 1천 년 이상됐다. 이 제사 전통을 반대하는 이들이 주변인(marginal man)들이다. 그런데 이 제사 전통이 워낙 강고해서 깰 수 없었기 때문에 사회 밖에서 궁극을 찾고자 하는 이들이 나타난다. 바로 출가자들이다. 싯다르타는 사람들의 고통을 없애기 위해 사회 혁명을 하거나, 사회 경제 시스템을 바꾸는 것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 당시 출가자들이 대부분 그랬다. 오히려 궁극을 찾고자 했다. 세상의 악의 뿌리, 그것에 문제를 두었다. 궁극이다. 이를 향해 극단적으로 갔던 이들은 삶 자체를 부정해 자살을 택했을 것이다. 온건하면 세상 속에서 제사 전통을 이어가는 브라만으로 간다. 궁극, 고통의 뿌리를 찾는 것이 당시 인도사회에서는 너무나 자연스런 흐름이었다. 우리는 세상에 불만이 있으면 세상을 때려 엎으려고 한다. 그런데 인도 사람들은 세상 안이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로 인해서 세상에 고통이 나타나는데, 그 드러난 고통이 문제가 아니라, 그 고통의 근원을 문제로 본 것이다.”

 

- 당시 출가 수행자들은 싯다르타가 느꼈던 문제의식을 동일하게 가졌다는 것인가?

“그렇다. 그래서 사성제 중에 고苦, 집集, 멸滅에 대해서는 당시 출가자들이 동일하게 인식했다. 세상이 고통이고, 그것은 욕망이 모여 생기는 것이며,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을 찾고자 한 것이다. 붓다가 다른 출가자들과 갈라진 것이 바로 도道다. 세상이 왜 이렇게 고통스러운가, 하는 문제의식은 같았지만, 그 해결의 방법을 달리한 것이다. 다른 출가자들이 극단적인 고행이나, 추론 등으로 네 번째 길을 찾으려고 했지만, 붓다는 중도中道, 팔정도의 길을 찾는 것이다. 그래서 붓다의 진리의 핵심은 중도인 것이다.”

 

- 붓다의 중도는 무엇인가?

“수행적 의미에서 중도는 극좌적 고행, 카스트에 집착하는 극우적 모습을 버리고, 팔정도로 가는 것이다. 사회적 의미로 볼 때 붓다는 사회 바깥으로 나간 출가자들만 챙기는 것이 아니라, 사회 안에 있는 사람들도 챙긴다. 자비심인데, 결국 이것이 대승불교로 가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그의 색깔과 기본 지평이 나타나는 대목이다.”

 

- 붓다는 무엇을 깨달은 것인가?

“연기緣起다. 모든 것은 다른 것과의 관계 속에서 생성하고 소멸하기에 어떤 것이든 혼자 존재할 수 없고, 반드시 원인과 결과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 깨달은 자로서 붓다의 삶에서 가장 중요하고 역사적인 장면이 있다면 어떤 것인가?

“붓다의 제자인 아난다가 여성을 승가 안으로 받아들이자고 제안한 장면이다. 여기서 붓다의 뛰어남은 권위의 카리스마를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 말이 맞네, 하고 아난다의 제안을 받아들인다. 당시 인도사회는 강고한 카스트 가운데 출가할 때 종을 데리고 오는 경우도 많았고, 또 수드라 계급도 출가했다. 그런데 여성은 아니었다. 사람의 축에 속하지 않았다. 승가에 여성의 출가를 허락한 것은 혁명적인 것이다.”

 

- 붓다의 삶 중 후반기의 기록이 거의 없다고 했다. 왜 그런가?

“제자들이 붓다라는 한 개인의 삶에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오직 진리에 관심이 있을 뿐이다. 붓다가 살아계실 때의 승가는 아주 느슨한 공동체다. 조직이 없다. 초기 승가는 각 개인이 수행을 할 뿐이다. 그래서 기록이 없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