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와 붓다] 가장 드높게 삶을 꽃피운 분. 가장 따라서 가고 싶은 분. 붓다
상태바
[나와 붓다] 가장 드높게 삶을 꽃피운 분. 가장 따라서 가고 싶은 분. 붓다
  • 불광출판사
  • 승인 2016.05.18 2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한실 대표

경북 상주에 있는 ‘푸른누리 마음닦는 마을’(이하 푸른누리) 최한실(68) 선생을 인터뷰해야겠다는 마음을 낸 것은 우연한 기회였다. 선생은 한살림 괴산 모임방 ‘무위당학교’ 겨울공부에서 강의를 했는데 그 강의 제목이 ‘고타마 붓다의 삶과 가르침’이다. 불교계 밖에서 비불자를 대상으로 한 강의 주제가 역설적이게 불교의 핵심인 것이다. 강사가 궁금했다. 최한실. 푸른누리 마음닦는 마을 주인장. 1995년부터 생태공동체 운동을 시작해 지금은 이곳 상주에서 마음닦기 공동체를 꾸리고 있다. 정토회 문경수련원에서 초기 ‘깨달음의 장’을 이끌었던 이. 그 이전에는 한국불교환경교육원 운영과 교육에 참여했다. 더 멀리 그는 급진적 사회운동에 깊이 관계하기도 했다. 이런 이력의 귀결점이 ‘마음닦기’이며 ‘붓다’이다. ‘푸른누리 마음닦는 마을’이 생태공동체인가, 라고 질문하자 선생은 아니라고 했다. 생태공동체로 출발하였지만, 지금은 마음닦기 공동체라는 것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위빠사나 수행공동체다. 그러나 이곳에서는 이 말을 쓰지 않는다. 마음닦기. 이렇게 말한다. 특이한 점은 선생은 한자어, 일본어 등의 말투를 의도적으로 쓰지 않는다. 대신 그 자리에 겨레말을 채운다. 인터뷰 내내 불교식 한자어는 여지없이 겨레말로 ‘옮겨’ 나타난다. 불교식 한자어에 익숙한 우리 일행은 ‘겨레말’을 이해하지 못해 한자어로 다시 뜻을 묻기도 했다. 이 인터뷰에는 한자어에 익숙한 독자를 위해 겨레말과 한자어와 혼용해 썼다.    

“스스로 부지런히 마음닦아 모든 마음더럼에서 벗어나서 고요하고 흐뭇하고 사이좋게 어울려 살아가고 싶은 사람들이 모여 하늘 땅 사람, 모든 목숨붙이가 한데 어울려 함께 사는 삶터이다. 모든 목숨이 똑같이 주어진 목숨을 한껏 누리도록, 그래서 어떠한 고기도 먹지 않고, 술, 담배를 비롯하여 마음을 흐리게 하는 것도 먹지도, 마시지도, 피우지도 않는다. 메와 들에 저절로 나는 멧나물, 들나물 뜯어 먹고, 똥과 오줌을 따로 모아두었다가 낟과 남새를 기를 때 푸나무거름과 함께 써서 좋은 먹거리를 길러 먹는다.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고 날마다 아침 저녁으로 마음닦아 몸튼튼, 마음튼튼하다. 겨레말 살려 쓰기를 나날살이 말마디마다 힘써 알게 모르게 배워 익은 일본말, 중국말, 미국말 버릇에서 벗어나 배달말 살이를 한다. 자라나는 아이들이 어른들과 어울려 함께 살며 삶 속에서 온갖 슬기를 배우고 익힐 수 있게 삶을 꾸려간다.”

- 90년대 한국사회에 생태공동체 운동이 활발했지만, 지금은 주춤하다. 왜 지금도 생태공동체인가?

“‘푸른누리 마음닦는 마을’은 생태공동체 마을이 아니다. 처음에는 생태공동체를 지향하면서 자급자족했지만, 지금은 아니다. 개인적으로 2001년 마음닦기(위빠사나)를 처음 접하고, 6년 동안 인도 미얀마 등에서 마음닦기 수행을 했다. 이후 이곳을 마음닦는 마을을 지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곳에 머물려면 열흘 동안은 반드시 마음닦기를 해야 한다. 또 메와 들에서 나는 나물을 뜯어서 한살림에 판매해 살아간다.”    
 
이곳이 생태공동체는 아니라는 것이다. 기자 일행이 300m 고지에 널따랗게 자리잡은 ‘푸른누리 마음닦는 마을’을 찾았을 때 십여 명의 사람들이 오전에 주변 산에서 뜯어온 나물을 한창 포장하고 있었다. 포장된 나물은 한살림에 판매한다. 봄철 판매한 수익금으로 한 해를 난다. 그 외 모든 일정은 ‘마음닦기’다. ‘푸른누리 마음닦는 마을’이 어떤 공동체를 지향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기본 프로그램은 ‘열흘닦기’다. 열흘 동안 이곳에 머물면서 위빠사나 마음닦기를 하는 것이다. 참가비는 ‘무료’다. 조건이 있다. 마음닦는 내내 말없이 부지런히 마음닦을 수 있도록 서약해야 하며, ‘지킬 일 여섯 삼감’(산 목숨을 죽이지 않습니다. 주지 않은 것을 갖지 않습니다. 그릇된 어르기를 하지 않습니다. 거짓말 거친 말 헐뜯는 말을 하지 않습니다. 술ㆍ담배ㆍ마약을 하지 않습니다. 한낮이 지나서는 먹지 않습니다.)을 따라야 한다. 

- 오랫동안 사회, 환경, 생태 활동을 꾸준하게 해왔다. 지금은 ‘마음닦기’를 하고 있다. 왜 ‘마음닦기’인가?

“마음닦는 일은 붓다께서 깨달음을 이룬 뒤 괴로워하는 사람들에게 괴로움에서 벗어나도록 거저 나눠줬다. 그 뒤 2,500해 동안 스승에서 배움이로 고스란히 물려 내려왔다. 그래서  (마음닦기를) 가르치는 데 돈을 받지 않는다. 마음닦기를 배우고 나서 뒷사람이 똑같이 이 마음닦기를 거저 배울 수 있도록 돈을 내든 참섬김(가르치기, 밥하기, 일돕기 등)으로든 베풀고 싶은 사람들 스스로 베풀어서 이 가르침을 이어나가는 것이다.” 

- 붓다는 어떤 존재인가?

“붓다는 누구의 가르침을 받지 않고, 깨달음으로 가는 길을 스스로 알아내서 그것을 닦아서 깨달음에 이른 분이다. 여태까지 계셨던 모든 붓다는 스스로 깨달음을 이룬 분이다. 붓다께서 우리에게 가르쳐준 것은 ‘어떻게 사람들이 참말로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가.’이다. 이 점이 없어지지 않고 내려와 그 가르침의 알맹이를 지니고 살았던 사람들에게 흐믓하고 느긋하고 고요하게 괴로움에서 벗어나도록 도왔다. 그것을 닦은 사람들은 옛날에도 이로움을 얻었고, 오늘날에도 붓다의 가르침을 따라서 가면 이로움을 얻는다. 종교가 천주교든, 개신교든, 불교든 껍데기가 뭐든 아무 맺어짐 없이 괴로움에서 참말로 벗어나게 가르쳤다. 아주 쉽고 누구나 배워 익힐 수 있다.” 

- 고타마 싯다르타는 왜 출가했는가?

“그것은 너무 뚜렷하다. 괴로워서 출가했다. 괴로움에서 벗어나려고. 누구라도 괴로움이 있다면 이를 벗어나려고 한다. 그런데 이분은 잠깐 벗어나려고 한 것이 아니라, 참말로 뿌리에서부터 오롯이 벗어나려고 하셨다. 삶이 통째로 괴롭다고 보셨기 때문에 통째로 벗어나려고 하셨고, 또 참(다르마, 法)을 찾아가셨고 참을 끝내 찾으셨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