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 너머] 씨앗, 인류 생활사의 시작과 끝
상태바
[생태 너머] 씨앗, 인류 생활사의 시작과 끝
  • 최원형
  • 승인 2016.03.03 1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원형 불교생태콘텐츠연구소 소장

‘이 음식이 어디서 왔는가’

내가 처음 오관게五觀揭를 만났던 건 귀가 아닌 눈을 통해서였다. 한 사찰 공양간 벽에 적혀 있던 오관게를 우연히 발견하고는 배고픔도 잠시 잊은 채 읽고 또 읽었던 기억이 있다. 음식을 먹을 때 그 음식이 어디서 왔는지를 생각해본 경험이 그때까지 전무했던 터라 실로 그 충격은 컸다. 내 앞에 놓인 음식의 인연에 대한 성찰에서 출발해 개인의 수행에 이르는 길을 제시한 그 통찰과 혜안이 놀라웠다. 다섯 줄로 적혀 있던 오관게는 그 사찰에서 공양을 하는 동안 어느 때는 ‘내 덕행으로 받기가 부끄럽기’도 했고, 또 어느 때에는 ‘마음의 온갖 욕심을 버리겠’다는 심정으로 오관게를 암송하며 밥을 먹었던 것 같다. 그 뒤로 오관게를 잊고 지내다 어느 해 한 사찰에서 템플스테이 어린이 생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다시 내 기억 저장소에서 꺼냈다.

템플스테이에 참가한 아이들이 공양 때마다 읊조리는 오관게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시켜보자는 취지였다. 쌀 한 톨에서 시작된 마인드 맵이 햇빛과 비, 바람을 거쳐 자동차와 빌딩으로 연결되었고, 지구촌 아프리카에 살고 있는 친구들에게도 가 닿았다. 쌀 한 톨에서 시작된 생각들로 전지 한 장을 다 채우고 나더니 아이들은 쌀 한 톨이 놀랍다 했다. 아이들에게 쌀은 그동안 뭐였을까?

마트에 진열된 여느 상품들처럼 쌀 역시 마트에서 돈을 치르고 가져오면 되는 것 이상은 아니었던 듯싶었다. 그런 아이들이 쌀 한 톨에서 시작된 여행을 하고 나더니 농부의 땀방울과 바람과 햇빛 그리고 지렁이 도움까지 받고서야 밥이 우리 밥상에 오를 수 있다는 사실에 꽤 신선한 충격을 받은 듯 보였다.

겨울에서 봄으로 계절이 바뀌며 온갖 풀이 돋고 꽃망울이 터지기 시작하는 3월이다. 겨우내 그저 얼고 녹기를 반복하며 생명이라곤 하나도 없을 것 같은 땅에 날이 풀리자 봄나물이며 봄꽃이 쏙쏙 올라오는 일은 볼수록 신기하기 짝이 없다. 그 놀라움이 오죽했으면 저쪽 사람들은 봄을 ‘spring’이라 했을까? 짐작하듯 비밀은 씨앗에 있다. 그리고 그 씨앗들은 인류에게 농업혁명을 가져다줬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