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단법석]‘한상균 조계사 피신’을 보는 시선들
상태바
[야단법석]‘한상균 조계사 피신’을 보는 시선들
  • 김성동
  • 승인 2016.01.27 17: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화쟁和諍. 2015년 11월 중순부터 12월 중순까지 근 한 달간 불교계에서 가장 많이 회자된 단어다.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는 검색어 순위에 노출되기도 했다. 근래에 화쟁이란 단어가 이토록 격렬하게 현실 속에서 모습을 드러낸 적이 있었을까 싶을 정도로 ‘화쟁’이란 단어는 불교계와 사회 속에 깊이 기억된다.

2015년 11월 16일 밤 폭력시위를 주도한 혐의로 경찰의 수배를 받던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의 조계사 피신을 두고 정부와 노동계, 보수층과 진보층이 “범법자이기에 즉각 사찰에서 내보내야 한다.”는 주장과 “약자를 보듬어야 한다.”는 목소리로 팽팽하게 갈렸다. 이 갈등은 불교계 내부에서도 나왔다. 조계사 신도회 일부 불자들이 조계사 관음전에 진입해 한상균 위원장을 강제로 끌어내려고 했다. 불교 시민단체들은 조계사 앞에서 한상균 위원장을 보호하자는 작은 법회를 열었다. 언론은 연일 조계사 상황을 보도했고, 수십 명의 기자들이 조계사 내에 상주하면서 긴장감은 더해갔다. 바로 이런 긴장과 갈등 상황의 한 가운데 조계종이 자리하고 있었고, 더 중심에는 조계종 화쟁위원회(위원장 도법 스님, 이하 화쟁위원회)가 두 갈등의 중재자로 위치했다.

갈등은 박근혜 대통령이 11월 24일 국무회의에서 “수배 중인 민노총 위원장은 종교단체에 은신해 2차 불법집회를 준비하면서 공권력을 우롱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증폭되었고, 마침내 12월 8일 경찰이 조계사 관음전에 경찰 병력을 투입하겠다는 결정으로 더욱 뜨거워졌다. 이 때부터 조계사 주변의 경찰력은 2천여 명으로 늘어났고 민주노총, 불교 시민단체 등에서도 조계사 일주문 앞에서 항의 집회를 이어나갔다. 조계사는 일반인은 물론이고 기도하거나 절을 하러 오는 신도도 들어올 수 없었다. 조계사와 조계종 중앙종무기관 종무원들은 병력 투입을 막고자 인의 장막을 형성하였으며, 경찰의 일부가 관음전 입구에 진입하는 사태가 발생하였고, 이 과정에서 종무원 한 명이 부상을 당하기도 했다. 경찰은 금방이라도 조계사에 경찰 병력을 투입할 것처럼 두터운 매트리스를 관음전 둘레에 배치했다. 조계사 주변은 경찰, 종무원, 기자, 민주노총, 불교 시민단체, 보수단체 등의 목소리가 얽히면서 탁한 공기가 무겁게 내려왔다.

한상균 위원장은 왜 조계사로 들어왔을까? 그는 교계 매체(법보신문, 2015.11.25)와 인터뷰에서 “벼랑 끝에 내몰린 노동자와 농민의 간절함에 귀를 기울여 달라는 의미에서 마지막 보루인 종교, 조계사를 찾았습니다. 무례하고 어려운 부탁이라도 부처님 화쟁의 마음으로 껴안아 주실 것을 거듭 청원합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또 “현재 고통의 목소리가 제도권에 전달되지 않고 있는 게 가장 큰 문제다.”라고 했다. 그는 화쟁위원회에 △12월 5일 2차 민중총궐기의 평화적 진행 △노동자 대표와 정부 간 대화 △정부의 노동개악 정책 강행 중단 등의 중재를 요청했다. 첨예한 사회적 갈등이 예정된 문제였다. 화쟁위원회는 이 중재 요청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풀어갔을까? 지난 2010년 6월 8일 출범한 조계종 화쟁위원회는 주로 사회 현안 갈등(4대강 사업, 한진중공업 사태, 제주 강정마을 해군기지 조성 등)의 중재 역할을 자임한 조계종 공식 기구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