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좌담-(가칭)열린비구니모임이 바라본 오늘의 비구니승가공동체, 그 문제와 해결방향
상태바
기획좌담-(가칭)열린비구니모임이 바라본 오늘의 비구니승가공동체, 그 문제와 해결방향
  • 불광출판사
  • 승인 2015.03.31 15: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좌담. 임대 스님, 재범 스님, 진명 스님 / 사회. 김성동 / 정리. 하정혜 / 사진. 최배문

작년 10월부터 나타난 ‘전국비구니회’와 (가칭)‘열린비구니모임’의 갈등은 한국불교사에서 비구니 문제를 최초로 드러낸 사건이다. 본래 갈등은 수많은 사건이 얽혀있는 것이기에, 어느 하나의 조건과 원인의 결과물이 아니다. 그동안 켜켜이 쌓여진 것들이 어느 순간, 표출된 것일 뿐이다. 때문에 하나의 원인으로 문제를 풀 수 없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월간 「불광」은 이런 문제의식에 접근해 (가칭)열린비구니모임 스님들이 생각하고 있는 갈등의 현상적 원인과 함께 한국불교 비구니승가공동체 문제를 듣고자 좌담의 자리를 마련했다. 이는 열린비구니모임이 바라보는 문제의식을 드러내어 갈등을 푸는 단초를 제공하고, 나아가 비구니승가공동체가 한국불교에 어떤 의미인지 묻는 작업이기도 하다. 이번 좌담은 지난 2월 5일 오후 4시 월간 「불광」 회의실에서 진행했으며 임대 스님(공동대표), 재범 스님(섭외담당), 진명 스님(홍보담당)이 참여했다.

12.png
 

 | 왜 지금과 같은 상황이 발생했는가?
사회자  좌담 일정을 잡기가 쉽지 않을 정도로 많이 바쁘신 것 같습니다. 참석해주시어 감사합니다. 먼저 왜 지금과 같은 상황이 일어났는지 얘기를 해봤으면 좋겠습니다.

임대 스님  갈등의 가장 근본 요소는 대중들과의 소통부재입니다. 물론 수천 명의 비구니스님들과 일일이 다 소통할 수는 없지만, 어떤 계기를 마련해서, 즉 총회 등 공유할 수 있는 방식을 통해서 알권리를 부여해야 합니다. 그런데 알권리를 차단시켜 버리고 집행부 내에서만 일을 추진했어요. 그것도 원만하게 한 것이 아니라 독선적으로 하니 문제가 발생된 것이죠. 제 개인적으로는 이런 상황을 모르기 전까지는 (비구니 문제에 대해) 무관심 했었습니다. 그런데 직접 이 일을 살펴보니, ‘정말 이건 아니다.’ 싶었습니다. ‘이 문제가 후학들한테까지 미치는데 그 방법론이나, 제기되고 있는 제도나 수행의 문제, 관행의 문제 등을 후학들에게 물려줘서는 안 되겠다.’ 생각했습니다. ‘어떠한 상처를 입더라도 문제를 제기해야겠구나.’ 하는 마음입니다. 아직까지 갈등을 치유하지는 못했습니다. 갈등이라기보다는 문젭니다. 그 문제를 아직 치유를 못하고 있고, 서로 가지고 있는 견해와 관점이 판이하게 다르죠. 

진명 스님  임대 스님께서 이 문제를 소통의 문제가 아닌가 하고 말씀하셨지만, 저는 ‘우리 비구니스님들의 무관심이 오늘 이 상황을 만들어냈다.’ 그렇게 생각합니다. 비구니스님들이 비구니문제에 대해 너무나 무관심해요. 물론 각자 자기 위치에서 주어진 일 열심히 하고, 수행정진 반듯하게 하면 되겠죠. 그러나 우리 불교에서 잘 쓰는 용어가 있어요. 공업共業이다, 동업중생同業衆生이다, 이런 말 있잖아요. 공업과 동업중생. 이 시대에 살아가는 시점에서 보면 이러한 일들은 우리들의 무관심을 결코 배제할 수 없거든요. ‘그 동안 우리가 너무나도 무관심했구나. 그래서 이런 결론이 났구나.’ 싶습니다. 전국비구니회 집행부에서는 ‘그저 예전대로 모든 대중이 눈 감고 지나가겠지.’하고 생각하니까요. 모든 전국 비구니스님들을 그야말로 눈 먼 사람처럼, 귀먹은 사람처럼, 말 못하는 벙어리처럼 취급을 해버리는 거예요.  

재범 스님  전국비구니회에 소속된 회원이 6천여 명입니다. 그런데 그 6천여 명의 회원들이 왜 무관심할까. 그것에 관해서 스스로 생각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아까 임대 스님께서 “알 권리를 차단하고 있다.” 이런 말씀을 하셨잖아요. 그 부분이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회원들은 전국비구니회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공식적으로 알 수 있는 창구가 필요합니다. 저희들이 수없이 요청했죠. 바로 총회입니다. 어느 조직이든지 총회라는 창구가 있습니다. 지금 집행부가 4년 임기 마지막 년도입니다. 그런데 그동안 한 번도 총회를 열지 않았습니다. 대중들의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공식적인 창구인 총회조차 차단시켰어요. 
때문에 회원들이 어떻게 보면 무관심 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겁니다. 무관심한 대중에게만 원인을 둘 것이 아니라, 무관심할 수밖에 없는 전국비구니회의 비민주적인 구조가 문제죠. 소통의 부재를 말씀하셨지만, 전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창구가, 소통의 기회조차 부여되지 않고 있습니다.  

사회자  이런 말들이 있습니다. 왜 이 시점에서 문제를 제기하나? 왜 갑자기 회장 임기가 다 되어가는 이 시점에, 이전에는 문제가 안 되었던 것을 제기하고 있는가?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닌가? 또 전국비구니회 안에 들어와서 말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승가공동체를 해하는 것이다, 이런 이야기도 있었죠. 

진명 스님  현 집행부에서는 그렇게 이야기합니다. 전국비구니회가 원만하게 운영되었을 때는 전국에서 중심된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어른이 계셨고, 비구니회 운영에 다 들어와 계셨습니다. 운영위원회에도 참여하고, 부회장으로도 참여하고요. 그렇게 할 때는 조금 미비한 점이나 잘못된 것이 있더라도 어른들 뜻을 존중했습니다. 어른들의 공의가 살아있었죠. 그런데 지금은 독선이라는 이야기입니다. 그 독선에 대한 잘못을 지적하는 것이죠. 
저희들이 처음 시작할 때 고민을 많이 했어요. 그런데 안하면 더 큰 후회를 할 것 같았어요. 우리가 이 상황을 그대로 둔 채 시대가 흘러가면 돌이킬 수 없을 것 같았어요. 대중들을 많이 만나고 설득하고, 또 많은 공감을 했어요. 물론 지금도 우리가 어떤 행보로 갈 것인가 고민을 많이 합니다. 

재범 스님  비구니 회원들의 문제니까 회원끼리 해결해야 하는 문제잖아요. 그 유일한 창구가 바로 총회입니다. 그게 내부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죠. 처음에 총회의 소집을 요청했습니다. 그러나 그 부분이 계속 묵살되다보니 말하고자 하는 것이 자꾸 밖을 향하게 되는 것이지요.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