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시대의 불타관] 사람이 부처다
상태바
[우리 시대의 불타관] 사람이 부처다
  • 조성택
  • 승인 2014.03.21 21: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교의 중심은 ‘부처님’이다. 불교佛敎라고 하는 종명宗名 또한 그것이 부처님의 가르침이요, 부처님에 의한 종교라는 의미에서다. 오랜 불교사를 통해 불교전통은 불타관, 즉 ‘부처님’을 이해하는 다양한 관점들을 발전시켜 왔다. 상좌부, 대승, 선불교, 정토교, 밀교 등 오늘날 불교가 전승하고 있는 다양한 지역불교 전통에도 사실은 그 근저에 ‘부처’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자리잡고 있다. 오늘날 한국의 불교인들이 신행하는 불교가 다양하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일부 불교인들은 마치 장님이 자신의 코끼리만이 진짜 코끼리라 우기듯이 자신의 ‘불교’만이 진짜 불교라고 주장한다. “간화선이 최상승이요, 간화선만이 진정한 부처님의 종지宗旨”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는가하면, 또 다른 쪽에서는 “간화선은 ‘불교’가 아니”라면서 아함경이나 팔리어 경전만이 부처님의 가르침이라고 한다. 그런 가운데 여전히 대승과 소승이라는 낡은 패러다임으로 자신의 불교관을 보수保守하고자 하는 이들도 있다.

 

| 불佛,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이러한 혼란 상황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현대’라고 하는 환경이다. 한때는 이러한 혼란의 원인이 한국불교의 대표 종단인 조계종단의 무능력과 무기력함 때문이라고 생각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종단에 책임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혼란의 상황이 일차적으로는 교통의 발달과 지역간의 인적·물적인 활발한 소통에서 초래되었다는 것 또한 사실이다. 다양한 지역불교 전통들이 지역의 경계를 넘어 한국으로 유입되고, 또 전통으로 묻혀있던 불교경전들이 불교학의 이름으로 다시 오늘날의 언어로 번역 소개되는 등 시간적 격절과 공간적 경계가 무너진 현대사회에서 불가피하게 겪어야 할 불교사의 문제인 것이다. 그렇게 볼 때 다양한 ‘불교들’이 공재共在하는 지금의 상황은 문제적 상황이 아니라 이해되어야 할 상황이다. 다시 말해서 지금의 상황은 서로가 ‘진짜불교’임을 주장하는 쟁투적 상황이 아니라 현대불교사의 한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서두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불교의 근저에는 ‘부처님’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가 자리 잡고 있다. 한국의 불교인들이 가지고 있는 불타관을 네 가지 유형으로 정리해서 그 각각의 특징들을 살펴보기로 하자.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