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고 살았던 삶의 쾌감을 되찾다
상태바
잊고 살았던 삶의 쾌감을 되찾다
  • 불광출판사
  • 승인 2010.08.31 11: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행과 만나다 / 순천 송광사 여름수련회

송광사까지 가려면 첫차 시간을 맞춰야 한다는 강박에, 또 지방에서 전날 일정이 늦게 끝난 탓에 터미널 근처에서 하룻밤 묵기로 했다. 한여름 밤 도심가는 불협화음의 오페라하우스다. 지칠 줄 모르고 으르렁대는 오토바이의 울부짖음. 목청껏 불러 젖히는 애주가의 태평가 한가락. 사이좋게 주고받는 육두문자 장단. 새벽 여명에도 희석되지 않는 이 번잡한 세계에 밤은 존재하지 않는 시간이다. 물론 꿈꿀 수 있는 권리 역시 주어지지 않는다.
버스를 갈아타는 시간 외에 정신없이 자다 눈을 뜨니 어느새 송광사에 도착했다. 완만한 숲길을 따라 걸으며 몸을 추스르고 수행에 대한 마음도 다잡았다. 문득 화두 한두 개쯤 준비해 가는 것이 수련회에 대한 예의란 생각에 이것저것 있는 것 없는 것 다 끄집어냈다. 시시콜콜한 것까지 끝도 없이 나왔다. 다 하다가는 14박 15일도 모자라지 싶어 고민 끝에 ‘선입관 버리기’로 화두를 정했다.
평소 누구를 욕하거나 해코지하는 성격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부처와 같은 아량을 가진 것도 아니다. 그저 속으로 조용히 곱씹을 뿐. 겉으로 티가 안 나니 별 문제될 건 없지만, 속으로 음흉하게 상대를 대하니 한번 거슬리면 일절 개선의 여지가 없다. 사람들은 첫인상을 보고 3초 만에 호불호를 결정한다지만 내겐 3초 만에 상대의 존재 자체를 결정하는 과단이 있다. ‘저런 망종(亡種)!’



악으로 깡으로, 용맹정진

물욕(지갑, 휴대전화)을 내려놓고 수련복을 입는 것만으로도 분별심이 한 꺼풀 벗겨진 기분이었다. 반(보시·지계·인욕·정진·선정·지혜)을 나누고, 수련회 일정 및 예불 등에 대한 습의 시간을 가졌다. 간단한 입재식이 끝나고 첫 공양 시간이 되었다. 이때부터 모든 공양은 발우공양이었다.
전발(展鉢, 발우 펴기)을 하고, 오관게(五觀偈)를 암송하는 데 모양새가 꽤나 기품 있었다. 깔끔하게 공양을 마치고 수발(收鉢, 발우 닦기)했다. 그때 지도법사스님께서 공양을 깨끗이 하지 않으면 퇴수(退水)물을 나눠 마실 거라고 으름장을 놓았다. 덕분에 이후 공양 시간은 순탄치 않았다. 발우를 닦고 또 닦아도 이상하리만치 자꾸 지저분해 보여 밥 먹는 시간보다 발우 닦는 시간이 더 길어졌다. 자연히 밥보다 물을 더 많이 마신 것은 당연지사. 수련회를 다녀오면 살이 빠질 거라더니, 과연 그럴 법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장마철이라 수련회 기간 내내 그칠 줄 모르고 비가 왔다. 그 덕에 시원한 사자루에 앉아 좌선하는 데는 도움이 됐지만, 그것도 이삼일 지나니 좀이 쑤셨다. 사실 실내에 가만히 들어앉아 있는 것만도 답답할 노릇이지만, 좌선은 모든 걸 훌훌 떨쳐버리고 뛰쳐나가고 싶을 만큼 힘이 들었다. 10분이 지나면 위로부터 잡념이 밀려오고, 5분이 더 지나면 아래로부터 통증이 시작된다. 다시 5분이 더 지나면 통증만이 남아 그 후로는 그저 악과 깡으로 악전고투. 고요히 정좌하고 끊임없이 의심하는 것이 좌선이라지만 밀려드는 통증에 눈을 감으면 수마(睡魔)가, 눈 뜨면 잡마(雜魔)가 판을 치니, 이 삼중고(三重苦)를 쉽사리 버텨낼 재간이 없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