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가와 농사
상태바
출가와 농사
  • 관리자
  • 승인 2010.06.0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연 따라 마음 따라

이른 봄 냉이를 시작으로 꽃다지, 돌나물, 머위, 햇닢, 취나물, 고들빼기, 미나리, 씀바귀, 참나물, 고사리, 다래순, 개발딱지, 비비추, 두릅, 개두릅, 참죽 등등 그 이름을 다 알 수 없는 수많은 나물이 절 주변 들판과 밭에 고개를 내민다. 어디 나물뿐이랴. 별꽃, 쇠별꽃, 광대나물, 봄맞이, 민들레 등 작은 풀꽃에서부터 산수유, 매화, 살구, 개나리, 진달래, 앵두, 생강나무, 벚꽃, 복숭아, 사과, 배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화려한 꽃이 산천을 울긋불긋 물들인다. 매화 꽃봉오리 두어 개를 찻잔에 띄우면 가득히 풍겨 나오는 봄의 향기, 그렇게 온 산천은 긴 겨울이 지났음을 한 바탕 빛과 향기와 맛의 잔치로 축하해낸다.

잡화엄식(雜花嚴飾), 온갖 꽃들로 장엄한 화엄도량이다. 부처님께서 태어나실 때의 룸비니 동산이 이러했을까? 봄 햇살이 난연한 오후에 화엄도량을 거니는 것은 시골 살림에서만 맛볼 수 있는 호사임에 틀림없다. 세상 논리로는 도시의 삶이 좋다고 하지만, 도시를 경험한 많은 사람들이 틈만 나면 떠나려고 호시탐탐 노리는 것으로 보아 도시의 삶을 권장하는 것은 거품이 많이 끼어 있는 듯하다.

.. 세상에 권장할 만한 두 가지 일..

따뜻한 봄 햇살을 받으며, 주머니 하나 챙겨서 텃밭으로 나섰다. 대중 스님들에게 봄나물을 공양할 참으로 바삐 손을 놀리는 중에, 올해 승가대학에 입학한 청엄 스님에게서 전화가 왔다. 경전 암송대회에서 썩 좋은 평가를 받아 잠시 외출을 하게 되었단다.

우리 형제는 여섯인데 모두 남자다. 청엄 스님은 그 중에서 막내 동생이다. 부처님 인연이 깊어서인지 절반인 세 명이 절에서 살고 있다. 그러나 자식이 많다고 해도 한 아들, 한 아들 모두 곁에 두고 싶은 부모님의 마음에는 자식의 출가가 그렇게 쉽게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었다.

10년을 더 넘기고 나서야 얼마 전에 어머니가 전화로 “이왕 스님이 되려면 염불하는 스님 하지 말고 법문하는 스님 하소.” 하고 말씀하신다. 자식이 가고자 하는 길을 마침내 인정하고 축원해주는 마음이 고마우면서도 가슴 한 곳이 저려온다. 이제 막 사미계를 받은 막내 동생의 출가를 받아들이게 될 때까지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세월을 시름으로 보내셔야 할런지.

요즘 생각으로 세상에 권장할 만한 일은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출가해서 스님이 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생명을 가꾸고 기르는 농사이다. 출가는 자신의 삶을 온전히 부처님의 가르침에 입각해서 살아가겠다는 서약인데, 부처님의 정신은 한량없는 중생을 한량없는 지혜와 자비로 구제하려는 대비원력행이 아니겠는가. 그러므로 출가와 농사는 모두 생명을 살리고 기르고 가꾸는 성스럽고 뜻있는 일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