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쉬운 교리강좌] 산승불교의 법풍
상태바
[알기쉬운 교리강좌] 산승불교의 법풍
  • 해주스님
  • 승인 2009.09.2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억불에 의해 산승불교로 특징되는 조선불교시대도 법풍 법맥은 계속 이어져 왔다. 산승불교의 특성 또한 한국불교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통불교적인 총림불교요, 회통불교이며, 따라서 선 · 교 · 염불의 원융수행으로 드러나 있다.

 조선조의 억불숭유정책에 의해 중앙정계에서 밀려난 불교는 산간 총림에 축소되어 명맥을 유지할 수밖에 없었으나, 오히려 종교적 순수성을 산간 총림에서 간직할 수 있게 된다. 국가의 수탈과 핍박에도 불구하고 총림에는 진지한 수행자들이 모여 수도와 노동을 병행하였다. 그러한 총림에서 주종을 이룬 것은 선과 교 그리고 정토의 셋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불교는 고려불교의 과제였던 선교대립의 지양에 의한 선교겸수의 원융사상에 이어서, 유불대립이라는 새로운 문제의 등장으로 인한 유불선 삼교의 회통까지도 행하고 있다.

 조선시대 불교는 비록 산승불교로 밀렸으나 국가에 전혀 무관심한 것은 아니었다. 국가의 척불정책에 대해 끊임없는 항소를 올렸으며, 세조나 문정 왕후와 같은 호불의 정치가가 출현하였을 때는 곧 중앙에 진출하여 적극적으로 불교중흥을 협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선조 25년)과 병자호란(인조 14년)과 같은 국가 유사시에는 무기를 들고 나가 국가를 수호하였다.

 사상적으로도 당시의 지배관념이었던 유교와 끊임없는 교섭을 행하고 있다. 조선 초 무학의 수제자인 함허당 득통, 선사 기화(己和, 1376 ㅡ 1433)는 유교측의 척불론에 대한 답변을 자세히 함과 아울러 유불도 삼교가 근본에 있어서는 다르지 않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유불교섭은 그 뒤해석 계속 등장하고 있다.

 함허는 임제종풍을 주축으로 하였으나 선가의 여러사상을 두루 수용하였으며, 교도 아울러 선으로 해석 융회하고 있다. 교로서는 초기에는 법화경이 국역도 되는 등 대표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나 함허 이후에는 화엄사상이 중시되어졌다. 이런 경향은 설잠 김시습(1435 ㅡ 1493)에 이르도록 내려 온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