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의 세계] 육상원융과 십현연기의 내용
상태바
[경전의 세계] 육상원융과 십현연기의 내용
  • 관리자
  • 승인 2009.08.1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華嚴經의 世界

 육상원융설(六相圓融設)

 지난 호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세상에서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상호 의존의 관계에서 성립되고 있는데 이 법칙을 불교에서는 연기법이라 하며 화엄에서는 이 연기의 관계를 법계연기라고 하고 무진연기라고도 합니다. 그런데 이 무진연기의 실상을 설명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육상원융(六相圓融)이란 것과 십현연기(十玄緣起)라는 게 있습니다.

 여기서 육상이라고 하는 것은 총상(總想)과 별상(別相), 동상(同相)과 이상(異相), 성상(成相)과 괴상(壞相)등 세 가지 서로 반대되는 개념을 말하는 데, 이들 육상은 서로서로 원융해서 자기를 내세우고 여타의 다섯을 죽이거나 자기를 죽이고 여타를 내세움이 없이 상호가 걸림이 없는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즉 각자 자기의 개성을 잃지 않고 자기의 분수를 지키면서도 조금도 서로가 걸림이 없는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 육상원융의 이론은 당역(唐譯)인 80화엄경에 그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즉, 화엄경에는 십지품(十地品)이라는 것이 들어 있는데 그 십지품의 초지(初地)에 나오는 환희지(歡喜地) 보살에게 조도법(助道法)을 설하는 곳에 이 육상이란 말과 유사한 용어들이 나옵니다. 이 십지품의 환희지에서 연유되어 육상의 이론이 전개되었는데 이를 맨처음으로 알기 쉽게 해설한 분이 저 인도의 세친(世親)보살이십니다. 세친보살께서는 십지경론(十地經論)이란 책을 쓰셨는데 이곳에서 육상의 이론을 설명하고 계십니다.

 그후 이 육상원융설을 좀더 구체적으로 말씀하신 분은 화엄종의 제2조로 불리우는 지엄(智嚴)대사인데 그가 지었다고 하는 육상장(六相章)은 유감스럽게도 현존하지 않아 그 구체적인 내용은 알 길이 없습니다. 이 지엄스님의 문하에는 걸출한 두 인물이 있었으니, 신라의 의상(義湘, 625 - 702)스님과 중국의 현수법장(賢首法藏) 스님이었습니다.

 현수 법장스님께서는 오교장(五敎章)이란 책을 지으신 일이 있는데 이 오교장 속에 육상원융의 이론이 자세히 알기 쉽게 예를 들어 설명되고 있습니다.

 육상(六相)이란 전술한 바와 같이 총상과 별상, 동상과 이상, 성상과 괴상을 말하는데 이를 전문용어로 설명해 봐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법장스님께서는 집이라고 하는 한옥 건물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이를 알기 쉽게 이야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집 전체는 총상(總相 )입니다. 그런데 그 집을 구성하고 있는 내용물을 살펴보면 기둥, 서까래, 기와 그리고 주춧돌 등으로 이루워져 있습니다. 이것은 별상입니다.

 다시 말하면 기둥, 서까래, 기와 주춧돌 등이 모여 하나의 통일체로서의 집을 이룰 때 이를 총상이라 하며, 집을 이루고 있는 그 구성물, 즉 기둥 서까래 기와 그리고 주춧돌 등은 각기 그 모양과 맡은바 역할이 다른데 이와 같이 그 모양과 그 직분을 달리하는 구성물의 차별상에서 본 것을 별상(別相)이라 합니다.

 이 총상과 별상은 그 표현방법에 있어 서로 다르지만 따로따로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며 그러므로 이름은 둘이면서 실체에 있어서는 하나인 것입니다.

 다음 동상(同相)과 이상(異相)의 설명인데, 건물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물들이 그 모양이 다르고 그 맡은 바 직분이 다르지만 집을 이룬다고 하는 그 목적성은 동일합니다. 다시 말하면 기둥, 서까래, 기와, 주춧돌 등은 집을 이룬다고 하는 것울 전제로 했을 때, 그 이름과 그 직분이 주어지는 것이며 이들 구성물이 존재하는 존재 이유는 집을 이루기 위한 것이며 그 목적이 동일하다는 측면에서 본 것을 동상(同相)이라 합니다. 

 이 구성물들의 존재 이유는 동일하나 그 모양과 역할은 서로 상이(相異)한데 이와 같이 차별상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이를 이상(異相)이라 합니다. 다음 성상(成相)이라고 하는 것은 집을 구성하는 있는 그 구성물들은 그 모양과 직분이 달라, 각지 차별상으로 존재하고 있지만 이들이 모여 집을 성립시키고 있는 측면에서 보면 집이라고 하는 하나의 목적을 성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성상(成相)이라 부릅니다.

이에 대칭되는 것이 괴상(壞相)인데 괴(壞)란 부작(不作)이란 뜻입니다. 즉 변괴(變壞)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집을 구성하고 있는 내용물들은 집을 이루려고 하는 성취 목적은 동일하지만 기둥은 기둥의 직분을, 서까래는 서까래의 역할을, 기와는 또 기와대로 주춧돌은 주춧돌대로 그 본분을 상실하지 않고 각자 특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그 본래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서로 섞여 혼란됨이 없이 본래의 직분을 유지하는 것을 괴상(壞相)이라 부릅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