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활약한 우리 스님들
상태바
해외에서 활약한 우리 스님들
  • 관리자
  • 승인 2009.07.2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 라 편(4)-

인도 구법(求法)의 먼 길

서역(西域)지방으로 가는 중국의 관문인 돈황(敦煌)으로부터 옥문(玉門)을 거쳐 죽음의 모래바다<流沙>라고 하는 타클라마칸사막을 가운데에 두고, 남쪽과 북쪽의 두 갈래 길이 전개된다.

북쪽은 천산산맥 남쪽의길<天山南路>인데 이 통로의 대표적인 불교국은 구자국(龜玆國)이며, 유명한 구마라집(鳩摩羅什) 법사의 본국이 된다. 남쪽은 곤륜산맥 북쪽의길<崑崙北路>인데 그 길목의 불교문화 중심지는 널리 알려진 우전국(于闐國)이다.

그 두 길이 모이는 지역에 소륵(疏勒)이라고 하는 불교문화 동점(東漸)의 역사에 있어서 중요한 지방이 있다. 이 소륵에서 서쪽으로 향하자면 큰 산맥이 가로막아 섰는데, 이것이 바로 그 유명한 총령(葱嶺) 곧 파미르고원이다. 이 총령은 옛날 중국에서 서역지방으로 왕래하는 가장 중요한 통로였는데, 특히 불교문화가 중국에 들어온 최초의 유일한 길목이며 관문인 것이다.

맨 먼저 중국에 불교문화를 전한 인도 및 서역의 스님들이 이 길을 통해 들어왔고, 나중에 바닷길이 열리기까지는 중국의 구법승이나 불교의 서역(인도포함)인들이 거의 모두가 이 길을 통해오고 갔다. 따라서 삼국시대 우리 스님들이 중국에 갔다가 다시 인도<天竺>방면으로 구법의 나그네 길을 계속하였을 경우에도 거의가 이 길을 지나갔다.

앞 고구려 장에서 본 바 있는 고구려의 현유(玄遊)스님이나, 이제 여기에서 다루고자 하는 신라의 여러 스님들이 대부분 그러한 경로를 택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예외가 없지 않으니 다음의 두 경우를 들 수가 있다. 같은 삼국시대이면서도 앞의 백제장에서 본 바 있는 백제고승 겸익(謙益)법사는 그러한 통로를 전혀 밟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는 중국에 갔다가 다시 인도로 향한 것이 아니고, 아예 바닷길로 해서 곧장 인도쪽으로 가서 구법하고 귀국하였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또 신라의 혜초(慧超)법사는 중국에서 공부하다가 인도로 향하였지마는 그 통로를 경유하지 않고, 바닷길로 해서 인도에 간 것으로 되어 있다.

그 역시 신라스님이기는 하나 그는 삼국시대가 아닌 통일기의 인물이므로 그 당시 중국에서 많이 이용한 항로(航路)편을 택하였던 것이라고 하겠다. 그러한 삼국시대의 신라 스님으로 인도에로의 구법길에 오른이가 매우 많았을 것이나, 오늘날까지 그 이름이 전하는 이로는 다음의 몇분에 지나지 않는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