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불교미술(5)
상태바
중국의 불교미술(5)
  • 관리자
  • 승인 2009.07.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교미술의 이해

북위 태무제에 의한 전대미문의 대법난(446 A.D)의 폭풍이 지난 북위 불교교단은 다시는 이러한 법난을 만나서는 안 된다는 자성의 소리와 함께 문성제(文成帝)의 복불(復佛)조칙 발표(452 A.D)와 함께 새로운 불교상 정립과 인도로부터 새로운 불교수용으로 불교 중흥운동이 열화같이 일어났다.

불교중흥의 기반을 다지는 데는 당시 교단을 대표하던 2대 사문통 담요(曇曜)가 크게 기여하게 된다. 초대 사문통이었던 법과(法果)의 논리대로 '황제 즉 여래' 북조의 불교적 성격을 되살리는 듯 담요는 국가 권력과 불교의 밀착이야말로 다시는 법난 없는 시대로 이어져 나가리라는 자구책으로 여기면서 종교와 정치유착의 기념비적 조형물인 운강석굴을 개착한다. 담요는 문성제 화평(和平) 원년(460 A.D)에서 헌문제(獻文帝)· 효문제(孝文帝)에 이르는 3대 30년을, 황제의 측근에 있으면서 운강석굴의 발원자일 뿐만 아니라 그 재정 및 노동이 기반인 승기호(僧祈戶)와 불도호(佛圖戶)를 설립하여 사원경제의 기반을 다지면서 불교교단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운강석굴의 현황

당시 교단의 총수인 담요는 문성제의 깊은 불심에 힘입어 산서성(山西省) 대동(大同) 서쪽 약12km 무주산(武州山) 남쪽 석회암 절벽에 태조 도무제로부터 태종 명원제, 세조 태무제, 공종 경목제, 현재 문성제까지 5대 제왕에 대한 추선보리(追善菩理), 참회멸죄(讖悔滅罪)를 위하여 다섯 분의 부처님을 봉안하는 석굴사원의 조영을 시작하였다. 현재 16동에서 20동에 이르는 주존(主尊)의 다섯 부처님들은 17m에서 13m에 이르는 대불(大佛)들이다. 이 5대궁의 개착은 앞서 잠깐 언급한 승기호나 불도호의 경제적 지원 및 노동력 활용이 석굴개착의 추진력이 되었고, 황실을 비롯한 지배계층의 신심과 원력 등 국가적 차원의 지원에 힘입은 바 크다.

헌무제와 효문제 때에도 석굴을 개착하여 태화(太和) 18년(494 A.D) 평성에서 낙양으로 도읍을 옮기기까지 약 35년에 걸쳐 대규모적인 조성이 있었고, 낙양천도 이후에는 낙양부근의 용문(龍門)석굴 개착으로 국가적인 추진력은 잃었다 해도 옛 수도의 유력자의 도움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수· 당(隋· 唐)을 거쳐 요(遼)대까지 이어졌다. 그리하여 운강석굴은 중국 불상조강의 보고(寶庫)로서 그 원류는 중앙아시아에서 멀리 아프카니스탄과 서남인도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중국미술사의 우뚝 선 기념물일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전역의 불상조각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즉 운강석굴로부터 용문, 공현, 천요안을 비롯한 각지의 여러 석굴들이 파생되었기 때문에 운강석굴은 동아시아 불상조각의 모체라 하겠다.

그 후 역사의 변동을 경험하면서 특히 금세기초 역사의 격동기를 거치면서 무관심과 파괴 그리고 도굴을 당하면서 현존하는 석굴은 53굴에 이르며, 불상의 수는 대소를 합하여 5만 여존에 이른다. 운강석굴의 불상조각을 제외하고 중국조각사를 논할 수 없기에 그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다 하겠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