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을 밝히는 등불들] 우리시대 민족시인 고은
상태바
[오늘을 밝히는 등불들] 우리시대 민족시인 고은
  • 사기순
  • 승인 2007.05.1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또다시 벌거숭이가 되어

고은 선생,

그의 삶은 그의 문학보다 명성보다 아름답다.

경기도 안성 대림동산 장미골. 선생을 뵈러 가는 길목에서 기자는 내내 아련한 그리움을 품고 있었다. 바다, 늘 생동하는 열정을 안고 있으면서도 잔잔한, 잔잔하면서도 끊임없이 변화하는 영원한 바다.

"1950년대 후반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국문학의 가장 빛나는 부분을 대표하는 존재 가운데 하나로서 시종일관 부동의 자리를 지켜왔다"는 문학계의 선생에 대한 평가는 합당하다. 그러나 부족하다. 지난 여름 선생의 22년 동안의 번뇌와 열정을 담아 펴낸 구도소설 [화엄경]을 읽어 가면서 536면 장장마다 얼마나 커다란 법열을 느끼고 그것에 충만했던가.

[화엄경] [입법계품], 선재동자의 구도역정을 새로운 빛과 향기로써 높게 형상화시킨 선생의 정신이, 편편마다 우러나는 민중에 대한 선생의 사랑이, 불자로서, 아름다운 모국어의 세례를 받은 독자로서 기자에게는 고마울 따름이었다. 선생 특유의 화려하고 발랄한 선적(禪的) 필치로 거침없이 더듬어 간 소설 [화엄경]은 '나와 함께 가자' '...'로 매듭져 있다.

불제자 고은의 '함께 성불하여지이다. 고통바다 어서 건네지이다'라는 발원은 100여권이 넘는 경이적인 분량의 작품집을 탄생시킨 생명력이자 이 땅 민족문학의 새 지평을 연 민족시인으로서 갖는 내적인 버팀목인 듯싶다. "이미 모든 직책들을 벗어 던졌어요. 강연이다 뭐다 오라는 데는 많지만 그것도 줄이려고 합니다. 벌거숭이가 돼서 살아볼 생각이에요."

벌거숭이, 그렇다. 선생은 이순의 나이로 여태까지 이뤄놓은 문학적 업적과 여러 감투(?)들을 벗어 버리고 새롭게 태어나려 하는 것이다. 욕망과 어리석음의 너울들을 훨훨 벗어 던진 벌거숭이만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른다는 [치문(緇門)]에 끄달려 기자는 넌지시 선생의 출가에 대해 그리고 출가를 통한 불교문학적 성취에 대해 여쭤 보았다.

"내 개인의 운명이라기 보다 우리의 험난한 역사가 빚은 출가였다고 보는게 더 옳겠지요. 나는 수도없이 많은 죽음을 보았어요. 그 죽음들 속에서 아파하면서 이 아픔을 끝내는 일이 죽음이라고까지 생각하고 늘 죽음만을 꿈꿔왔고 자살 미수도 몇 번이나 했지요. 불교를 만나고 나서야 나의 극한적인 절망이 극복되기 시작했지요."

1933년 군산에서 태어난 선생은 병약한 체질과 부끄러움을 많이 타는 내성적인 성격에 군산중학을 수석으로 입학할 정도로 공부 잫하??그림 잘 그리는 소년이었다. 17세때 6.25가 발발하였다. 그때부터 처참한 살륙의 현장을 목격하고 정신적인 충격을 받는다. 자살에의 충동은 너무나도 많은 죽음 앞에서 익힌 존재의 허무였다. 바다에 빠져, 혹은 귀에 청산가리를 부어서 수차례 자살을 시도하지만 미수에 그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