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백나무 할아범과 배롱나무 할멈
상태바
동백나무 할아범과 배롱나무 할멈
  • 관리자
  • 승인 2009.05.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마음으로 떠나는 산사여행 / 탕아를 거부하지 않는 변방, 영광 서운산 연흥사
▲ 서운산 깃대봉에 하늘 높이 새겨진 두 분의 마애불. 한 분은 연흥사를 수호하고, 다른 한 분은 서해안 뱃길 루트를 수호하고 있다.

연흥사(烟興寺)는 변방이다. 변방 중에서도 최변방이다. 전라남도 영광군 군남면 용암리, 서해안 끝머리에서도 한참을 더 흘러들어가야 하는 곳이다.

그러나 변방의 서정성은 중심에 비해 훨씬 정적이고 고즈넉하다. 외롭고 낮고 쓸쓸하다. 하지만 중심의 광기와 폭력에 비하면 훨씬 덜 피곤하고 정치(精緻)하고 단순하다. 그래서 변방의 삶은 오히려 더 즐겁고 기쁘다. 한적하고 여유가 있다.

그 연흥사 앞마당에 500살 된 노인 두 분이 서 계신다. 그리하여 변방의 그 한적함과 여유를 한껏 즐기고 있다. 한 분은 동백나무이고, 다른 한 분은 배롱나무이다.

변방은   탕아를   거부하지   않는다

짐작컨대 그 두 분은 전생부터 필시 부부였을 터다. 그리하여 지금은 서로 등 간지러울 때 바람결에 서로 등 긁어주는 다정다감한 할아범과 할멈일 터이다.

그럼 그 두 분 가운데 누가 할멈이고 어느 분이 영감일까. 서 있는 모양새로 보면 배롱나무가 할멈임에 틀림없다. 허리 아래로 젊은 날 다산(多産)의 애기집을 완전히 들어내고 없기 때문이다.

그 배롱나무 할멈 앞에 서면 마대 같은 늙은 가죽부대로 허공에 간신히 버티고 서 있는 그 모습이 자못 애처롭다. 그러나 그 애처로움은 어떤 세월과 비바람에도 넘어지지 않을 엄정한 애처로움이다.

무릇 늙어간다는 것은 그만큼 진리에 가까워진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하늘로 새빨간 절정의 꽃망울을 밀어올린 채 허리를 잔뜩 구부리고 있는 동백나무 할아범과 다산의 애기집을 통째로 들어내고 없는 배롱나무 할멈의 가죽부대에선 삶의 처연성을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외롭고 낮고 단호하게 서 있는 그 모습엔 오히려 상락아정의 여백과 신산의 세월을 맨살로 견뎌낸 삶의 염결성이 더 짙게 배어있다.

그러므로 처연한 건 외려 그 앞에 선 나다. 중심으로의 편입을 위해 죽어라 할퀴고 상처 내고 움켜쥐었으나 끝내 중심으로의 편입을 거부당한 채 삶의 진정성과 염결성을 탕진하고 방기한 내 삶의 껍데기다.

이제 비로소 고백하거니와 이곳은 바로 내 고향 군남 땅이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내 고향 땅 부처님 앞에 선 나는, 중심으로의 편입을 위해 그렇게 아등바등 할퀴고 상처냈던 내 삶이 결코 용서받지 못할 죄였음을 안 것이다.

그러나 연흥사 배롱나무 할멈과 동백나무 할아범은 진즉부터 그런 탕아의 귀향을 기다리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철 따라 피고 지는 꽃과 새들의 노래 속에 철 늦은 나의 귀거래사를 기다리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늦은 것이 가장 빠른 것이고 때늦은 후회가 가장 뼈아픈 시작이 될 수 있으므로.

변방의 땅 연흥사 터를 찾아 처음 절을 세운 각진국사(覺眞國師, 1270~1348)도 어쩌면 나 같은 심사로 이 절터를 잡은 것은 아니었을까 상상해본다.

송광사 16국사 가운데 한 분이자 13세 국사인 각진국사는 말년 10년을 군남 땅에서 가까운 불갑사에서 보내던 중 연흥사 터를 잡고 절을 일으켰다. 그리고 물 위에 떠 있는 한 송이 연꽃처럼(蓮花浮水形) 둥글고 소박하면서도 아늑하고 맑은 느낌을 주는 이곳에서 중심이 아닌 변방의 극락을 발견했을지도 모른다. 국사라는 그의 지위가 중심의 광기와 폭력의 집단성과 작위성을 뼈저리게 맛보았을 터이므로.

그래서 연기가 모락모락 피어오르는 절 연흥사를 자락에 껴안고 있는 서운산 깃대봉은 두 분의 마애불(磨崖佛, 암벽에 새긴 불상)을 하늘 높이 새겼는지도 모른다. 그리하여 남쪽 바위면의 마애불은 연흥사의 수호불(守護佛)로, 90도 꺾인 서쪽 바위면의 마애불은 서해바다 뱃길의 수호불로 앉혔는지 모른다(서쪽 바위면의 마애불이 서해바다 뱃길을 굽어보고 있는 까닭에, 장보고가 서해의 뱃길 루트와 뱃사람들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이 마애불을 조성했다는 설이 큰 설득력을 갖고 있기도 하다).

어쨌든 몇 십년 만에 고향 땅을 밟은 21C의 탕아 한 명이 무엄하게도 그 마애불의 정수리에 올라탔다. 그리고 반가부좌를 한 뒤, 입아아정, 내 안의 나를 들여다보았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