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기(甕器) 어머니같은 푸근함
상태바
옹기(甕器) 어머니같은 푸근함
  • 관리자
  • 승인 2009.05.0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얼 우리문화
▲ <사진 1> 어느 집 뒷뜰의 장독대

 옛부터 우리의 어머니들이 생활 속에서 가장 가까이 했고 소중히 다루었던 생활용기는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아마도 옹기였을 것이다.

 현재 우리의 삶 속에서 가장 쉽게 버려지고 잊혀지는 물건은 무엇일까?

 그것도 역시 옹기일 것이다.

 우리의 조상들은 긴 겨울을 나기 위해서 가을부터 저장식품을 마련해야 했고, 그 식품을 저장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그릇들이 필요하였으며 이러한 요구에 의해 옹기는 우리의 생활 곁에 언제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의 주위환경이 급속도로 바뀌면서 아파트식 생활을 하게 되자 그 전에는 그렇게도 많이 소용되었던 옹기들은 이삿짐에 끼지도 못한 채 천덕꾸러기가 되어 주인 떠난 빈집에 쓸쓸히 버려지게 되었다. 세계의 생활용기 중에서 옹기처럼 다양하고 옹기처럼 큰 그릇은 찾을 수 없건만 이처럼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모습을 볼 때 이것도 인연의 법칙인가 하여 마음 속에서 울적한 파도가 인다.

 옹기는 질그릇과 오지그릇을 함께 부르는 명칭이다. 질그릇은 진흙만으로 초벌구이하여 구운 것으로 잿물유약을 입히지 않아 윤택이 없고 매우 약한데 떡시루나 밥솥 등이 대개 여기에 속한다. 오지그릇은 진흙으로 모양을 만든 다음 햇볕에 말린 후에 잿물유약을 입혀 구운 것으로 윤택이 나며 단단한 도기를 말한다. 오지라는 말은 오자기(烏磁器)의 준말로 원래는 그 표면의 색이 매우 검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른이었으나 조선조 말기에 그 색깔이 불그스름하게 변화하였어도 그 오지라는 명칭은 그대로 사용되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